조기 대선 정국…충청광역연합부터 행정통합 운명은?
입력 2025.04.08 (20:19)
수정 2025.04.08 (20: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지만, 기존에 추진해 오던 정책들은 직격탄을 맞는 모습입니다.
당장 우리 지역에선 충청광역연합 운영과 대전·충남 행정통합 여부가 차기 정부 기조에 따라 향방이 갈릴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됩니다.
보도에 정재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청권 4개 시도로 구성된 충청광역연합.
출범 100일을 맞았지만,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조기 대선 정국으로 정부를 상대로 한 협상이 사실상 답보 상태에 빠졌습니다.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BRT 사무만 정부로부터 이관받은 상황에서, 다른 권한 이양 협의는 시도도 못해 본 채 비예산 사업 위주로 논의중입니다.
이러는 사이 자치단체 간 사무 이양 조차 해결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남재걸/단국대 행정학과 교수 : "4개 광역 지자체가 가지고 있는 일부의 사무를 이관받아 처리해야 되기 때문에 4개의 광역 지자체로부터 어떤 사무를 더 이관받거나 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
대전시와 충남도가 추진하는 행정통합도 조기 대선 정국을 맞아 격랑 앞에 놓였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 등을 거쳐 특별법 초안을 마련하는 등 추진에 급물살을 탔지만, 새 정부와 협의를 다시 해야 하는 큰 변수가 등장한 겁니다.
[최진혁/충남대 도시·자치융합학과 명예교수 : "새 정부가, 또 다른 정부가 들어서게 됐을 때 그거에 대해서 부담감을 갖는다든지, 정치적으로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그런 작업이 또 필요한 부분이 아니겠는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이 국회 문턱을 넘는 과정도 거대 야당의 협조를 구해야 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두 자치단체가 내년 6월 지방선거 전까지 행정통합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차기 정부가 어떤 추진 의지를 가지냐에 따라 향방이 갈릴 전망입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이처럼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지만, 기존에 추진해 오던 정책들은 직격탄을 맞는 모습입니다.
당장 우리 지역에선 충청광역연합 운영과 대전·충남 행정통합 여부가 차기 정부 기조에 따라 향방이 갈릴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됩니다.
보도에 정재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청권 4개 시도로 구성된 충청광역연합.
출범 100일을 맞았지만,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조기 대선 정국으로 정부를 상대로 한 협상이 사실상 답보 상태에 빠졌습니다.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BRT 사무만 정부로부터 이관받은 상황에서, 다른 권한 이양 협의는 시도도 못해 본 채 비예산 사업 위주로 논의중입니다.
이러는 사이 자치단체 간 사무 이양 조차 해결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남재걸/단국대 행정학과 교수 : "4개 광역 지자체가 가지고 있는 일부의 사무를 이관받아 처리해야 되기 때문에 4개의 광역 지자체로부터 어떤 사무를 더 이관받거나 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
대전시와 충남도가 추진하는 행정통합도 조기 대선 정국을 맞아 격랑 앞에 놓였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 등을 거쳐 특별법 초안을 마련하는 등 추진에 급물살을 탔지만, 새 정부와 협의를 다시 해야 하는 큰 변수가 등장한 겁니다.
[최진혁/충남대 도시·자치융합학과 명예교수 : "새 정부가, 또 다른 정부가 들어서게 됐을 때 그거에 대해서 부담감을 갖는다든지, 정치적으로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그런 작업이 또 필요한 부분이 아니겠는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이 국회 문턱을 넘는 과정도 거대 야당의 협조를 구해야 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두 자치단체가 내년 6월 지방선거 전까지 행정통합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차기 정부가 어떤 추진 의지를 가지냐에 따라 향방이 갈릴 전망입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기 대선 정국…충청광역연합부터 행정통합 운명은?
-
- 입력 2025-04-08 20:19:15
- 수정2025-04-08 20:35:06

[앵커]
이처럼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지만, 기존에 추진해 오던 정책들은 직격탄을 맞는 모습입니다.
당장 우리 지역에선 충청광역연합 운영과 대전·충남 행정통합 여부가 차기 정부 기조에 따라 향방이 갈릴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됩니다.
보도에 정재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청권 4개 시도로 구성된 충청광역연합.
출범 100일을 맞았지만,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조기 대선 정국으로 정부를 상대로 한 협상이 사실상 답보 상태에 빠졌습니다.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BRT 사무만 정부로부터 이관받은 상황에서, 다른 권한 이양 협의는 시도도 못해 본 채 비예산 사업 위주로 논의중입니다.
이러는 사이 자치단체 간 사무 이양 조차 해결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남재걸/단국대 행정학과 교수 : "4개 광역 지자체가 가지고 있는 일부의 사무를 이관받아 처리해야 되기 때문에 4개의 광역 지자체로부터 어떤 사무를 더 이관받거나 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
대전시와 충남도가 추진하는 행정통합도 조기 대선 정국을 맞아 격랑 앞에 놓였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 등을 거쳐 특별법 초안을 마련하는 등 추진에 급물살을 탔지만, 새 정부와 협의를 다시 해야 하는 큰 변수가 등장한 겁니다.
[최진혁/충남대 도시·자치융합학과 명예교수 : "새 정부가, 또 다른 정부가 들어서게 됐을 때 그거에 대해서 부담감을 갖는다든지, 정치적으로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그런 작업이 또 필요한 부분이 아니겠는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이 국회 문턱을 넘는 과정도 거대 야당의 협조를 구해야 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두 자치단체가 내년 6월 지방선거 전까지 행정통합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차기 정부가 어떤 추진 의지를 가지냐에 따라 향방이 갈릴 전망입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이처럼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지만, 기존에 추진해 오던 정책들은 직격탄을 맞는 모습입니다.
당장 우리 지역에선 충청광역연합 운영과 대전·충남 행정통합 여부가 차기 정부 기조에 따라 향방이 갈릴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됩니다.
보도에 정재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청권 4개 시도로 구성된 충청광역연합.
출범 100일을 맞았지만,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조기 대선 정국으로 정부를 상대로 한 협상이 사실상 답보 상태에 빠졌습니다.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BRT 사무만 정부로부터 이관받은 상황에서, 다른 권한 이양 협의는 시도도 못해 본 채 비예산 사업 위주로 논의중입니다.
이러는 사이 자치단체 간 사무 이양 조차 해결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남재걸/단국대 행정학과 교수 : "4개 광역 지자체가 가지고 있는 일부의 사무를 이관받아 처리해야 되기 때문에 4개의 광역 지자체로부터 어떤 사무를 더 이관받거나 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
대전시와 충남도가 추진하는 행정통합도 조기 대선 정국을 맞아 격랑 앞에 놓였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 등을 거쳐 특별법 초안을 마련하는 등 추진에 급물살을 탔지만, 새 정부와 협의를 다시 해야 하는 큰 변수가 등장한 겁니다.
[최진혁/충남대 도시·자치융합학과 명예교수 : "새 정부가, 또 다른 정부가 들어서게 됐을 때 그거에 대해서 부담감을 갖는다든지, 정치적으로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그런 작업이 또 필요한 부분이 아니겠는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이 국회 문턱을 넘는 과정도 거대 야당의 협조를 구해야 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두 자치단체가 내년 6월 지방선거 전까지 행정통합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차기 정부가 어떤 추진 의지를 가지냐에 따라 향방이 갈릴 전망입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
-
정재훈 기자 jjh119@kbs.co.kr
정재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