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북한은] 평양국제마라톤대회 6년 만에 재개
입력 2025.04.14 (10:27)
수정 2025.04.14 (10: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6년 만에 평양 국제마라톤대회를 열었습니다.
지난 6일 열린 제31회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엔 46개국에서 200여 명이 참가했는데요.
이들은 마라톤 외에도 평양의 주요 명소를 관광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이 최근 잘 조성된 거리들을 외국 관광객에게 자연스럽게 홍보하며 외화벌이는 물론 당국의 건재함을 알리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지금 북한은 소식입니다.
[리포트]
스마트폰을 든 외국인 선수들이 김일성 경기장에 입장합니다.
관중석에 앉아 있는 북한 주민들을 촬영하거나 기념사진을 찍기도 합니다.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에 참가한 선수들 모습인데요.
2019년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6년 만에 재개된 경기입니다.
출발 신호와 함께 달리는 선수들, 짧은 우리말 구호를 외치는 서양 참가자도 있습니다.
[제31차 평양국제마라톤대회/4월 6일 : "빨리! 빨리!"]
46개국에서 2백여 명이 참가했는데 풀 코스와 하프 코스에선 북한 선수들이 모두 우승했습니다.
[박금동/풀코스 마라톤 우승자 : "수백만 평양 인민들이 지켜본다고 생각하니까 힘든 줄 모르고 달렸습니다."]
김일성 경기장에서 출발해 반시계 방향으로 돌았던 과거와 달리, 올해는 시계방향으로 도는 코스였는데요.
최근 완공된 평양 종합병원을 볼 수 있도록 코스를 조정한 것입니다.
이밖에 여명거리, 보통강안 주택지구 등 최근 잘 조성된 신시가지도 주요 코스에 포함됐습니다.
대회 명칭도 이번에 달라졌는데요.
원래는 ‘만경대 국제마라톤대회’였지만, 평양 국제마라톤으로 바뀐 겁니다.
국제적인 관습을 따라가면서, 보통 국가의 면모를 과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허정필/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교수 : "(세계 4대 마라톤은) 모두 다 도시명이 앞에 나오고 뒤에 ‘마라톤’이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이번 명칭 변경도 세계화 추세에 따른 북한의 변화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해석이지 않을까."]
최근 서방 관광객들의 라선관광을 북한이 돌연 막았던 이유 중 하나로 sns 노출이 꼽혔었는데요.
이번 마라톤 경기 장면을 선수들이 자연스레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모습은, 굳이 막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허정필/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교수 : "(큰 제재 없이) 실시간 촬영하는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우려했던 북한의 강력한 촬영 통제, 그런 것들은 실제로 반영되지 않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번 대회 참가자들은 마라톤 외에도 5박 6일 동안 평양 관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오는 6월 원산갈마해안지구 개장에 발맞춰, 북한 당국이 관광 사업을 통해 본격적인 외화벌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북한은'이었습니다.
북한이 6년 만에 평양 국제마라톤대회를 열었습니다.
지난 6일 열린 제31회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엔 46개국에서 200여 명이 참가했는데요.
이들은 마라톤 외에도 평양의 주요 명소를 관광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이 최근 잘 조성된 거리들을 외국 관광객에게 자연스럽게 홍보하며 외화벌이는 물론 당국의 건재함을 알리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지금 북한은 소식입니다.
[리포트]
스마트폰을 든 외국인 선수들이 김일성 경기장에 입장합니다.
관중석에 앉아 있는 북한 주민들을 촬영하거나 기념사진을 찍기도 합니다.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에 참가한 선수들 모습인데요.
2019년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6년 만에 재개된 경기입니다.
출발 신호와 함께 달리는 선수들, 짧은 우리말 구호를 외치는 서양 참가자도 있습니다.
[제31차 평양국제마라톤대회/4월 6일 : "빨리! 빨리!"]
46개국에서 2백여 명이 참가했는데 풀 코스와 하프 코스에선 북한 선수들이 모두 우승했습니다.
[박금동/풀코스 마라톤 우승자 : "수백만 평양 인민들이 지켜본다고 생각하니까 힘든 줄 모르고 달렸습니다."]
김일성 경기장에서 출발해 반시계 방향으로 돌았던 과거와 달리, 올해는 시계방향으로 도는 코스였는데요.
최근 완공된 평양 종합병원을 볼 수 있도록 코스를 조정한 것입니다.
이밖에 여명거리, 보통강안 주택지구 등 최근 잘 조성된 신시가지도 주요 코스에 포함됐습니다.
대회 명칭도 이번에 달라졌는데요.
원래는 ‘만경대 국제마라톤대회’였지만, 평양 국제마라톤으로 바뀐 겁니다.
국제적인 관습을 따라가면서, 보통 국가의 면모를 과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허정필/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교수 : "(세계 4대 마라톤은) 모두 다 도시명이 앞에 나오고 뒤에 ‘마라톤’이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이번 명칭 변경도 세계화 추세에 따른 북한의 변화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해석이지 않을까."]
최근 서방 관광객들의 라선관광을 북한이 돌연 막았던 이유 중 하나로 sns 노출이 꼽혔었는데요.
이번 마라톤 경기 장면을 선수들이 자연스레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모습은, 굳이 막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허정필/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교수 : "(큰 제재 없이) 실시간 촬영하는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우려했던 북한의 강력한 촬영 통제, 그런 것들은 실제로 반영되지 않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번 대회 참가자들은 마라톤 외에도 5박 6일 동안 평양 관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오는 6월 원산갈마해안지구 개장에 발맞춰, 북한 당국이 관광 사업을 통해 본격적인 외화벌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북한은'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금 북한은] 평양국제마라톤대회 6년 만에 재개
-
- 입력 2025-04-14 10:27:41
- 수정2025-04-14 10:30:46

[앵커]
북한이 6년 만에 평양 국제마라톤대회를 열었습니다.
지난 6일 열린 제31회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엔 46개국에서 200여 명이 참가했는데요.
이들은 마라톤 외에도 평양의 주요 명소를 관광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이 최근 잘 조성된 거리들을 외국 관광객에게 자연스럽게 홍보하며 외화벌이는 물론 당국의 건재함을 알리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지금 북한은 소식입니다.
[리포트]
스마트폰을 든 외국인 선수들이 김일성 경기장에 입장합니다.
관중석에 앉아 있는 북한 주민들을 촬영하거나 기념사진을 찍기도 합니다.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에 참가한 선수들 모습인데요.
2019년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6년 만에 재개된 경기입니다.
출발 신호와 함께 달리는 선수들, 짧은 우리말 구호를 외치는 서양 참가자도 있습니다.
[제31차 평양국제마라톤대회/4월 6일 : "빨리! 빨리!"]
46개국에서 2백여 명이 참가했는데 풀 코스와 하프 코스에선 북한 선수들이 모두 우승했습니다.
[박금동/풀코스 마라톤 우승자 : "수백만 평양 인민들이 지켜본다고 생각하니까 힘든 줄 모르고 달렸습니다."]
김일성 경기장에서 출발해 반시계 방향으로 돌았던 과거와 달리, 올해는 시계방향으로 도는 코스였는데요.
최근 완공된 평양 종합병원을 볼 수 있도록 코스를 조정한 것입니다.
이밖에 여명거리, 보통강안 주택지구 등 최근 잘 조성된 신시가지도 주요 코스에 포함됐습니다.
대회 명칭도 이번에 달라졌는데요.
원래는 ‘만경대 국제마라톤대회’였지만, 평양 국제마라톤으로 바뀐 겁니다.
국제적인 관습을 따라가면서, 보통 국가의 면모를 과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허정필/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교수 : "(세계 4대 마라톤은) 모두 다 도시명이 앞에 나오고 뒤에 ‘마라톤’이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이번 명칭 변경도 세계화 추세에 따른 북한의 변화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해석이지 않을까."]
최근 서방 관광객들의 라선관광을 북한이 돌연 막았던 이유 중 하나로 sns 노출이 꼽혔었는데요.
이번 마라톤 경기 장면을 선수들이 자연스레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모습은, 굳이 막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허정필/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교수 : "(큰 제재 없이) 실시간 촬영하는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우려했던 북한의 강력한 촬영 통제, 그런 것들은 실제로 반영되지 않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번 대회 참가자들은 마라톤 외에도 5박 6일 동안 평양 관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오는 6월 원산갈마해안지구 개장에 발맞춰, 북한 당국이 관광 사업을 통해 본격적인 외화벌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북한은'이었습니다.
북한이 6년 만에 평양 국제마라톤대회를 열었습니다.
지난 6일 열린 제31회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엔 46개국에서 200여 명이 참가했는데요.
이들은 마라톤 외에도 평양의 주요 명소를 관광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이 최근 잘 조성된 거리들을 외국 관광객에게 자연스럽게 홍보하며 외화벌이는 물론 당국의 건재함을 알리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지금 북한은 소식입니다.
[리포트]
스마트폰을 든 외국인 선수들이 김일성 경기장에 입장합니다.
관중석에 앉아 있는 북한 주민들을 촬영하거나 기념사진을 찍기도 합니다.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에 참가한 선수들 모습인데요.
2019년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6년 만에 재개된 경기입니다.
출발 신호와 함께 달리는 선수들, 짧은 우리말 구호를 외치는 서양 참가자도 있습니다.
[제31차 평양국제마라톤대회/4월 6일 : "빨리! 빨리!"]
46개국에서 2백여 명이 참가했는데 풀 코스와 하프 코스에선 북한 선수들이 모두 우승했습니다.
[박금동/풀코스 마라톤 우승자 : "수백만 평양 인민들이 지켜본다고 생각하니까 힘든 줄 모르고 달렸습니다."]
김일성 경기장에서 출발해 반시계 방향으로 돌았던 과거와 달리, 올해는 시계방향으로 도는 코스였는데요.
최근 완공된 평양 종합병원을 볼 수 있도록 코스를 조정한 것입니다.
이밖에 여명거리, 보통강안 주택지구 등 최근 잘 조성된 신시가지도 주요 코스에 포함됐습니다.
대회 명칭도 이번에 달라졌는데요.
원래는 ‘만경대 국제마라톤대회’였지만, 평양 국제마라톤으로 바뀐 겁니다.
국제적인 관습을 따라가면서, 보통 국가의 면모를 과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허정필/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교수 : "(세계 4대 마라톤은) 모두 다 도시명이 앞에 나오고 뒤에 ‘마라톤’이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이번 명칭 변경도 세계화 추세에 따른 북한의 변화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해석이지 않을까."]
최근 서방 관광객들의 라선관광을 북한이 돌연 막았던 이유 중 하나로 sns 노출이 꼽혔었는데요.
이번 마라톤 경기 장면을 선수들이 자연스레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모습은, 굳이 막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허정필/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교수 : "(큰 제재 없이) 실시간 촬영하는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우려했던 북한의 강력한 촬영 통제, 그런 것들은 실제로 반영되지 않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번 대회 참가자들은 마라톤 외에도 5박 6일 동안 평양 관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오는 6월 원산갈마해안지구 개장에 발맞춰, 북한 당국이 관광 사업을 통해 본격적인 외화벌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북한은'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