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적 괴롭힘 ‘미 관세’ 논의하자”…중국, 안보리 비공식회의 소집
입력 2025.04.17 (17:21)
수정 2025.04.17 (17: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다음 주 미국의 관세 인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공식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현지 시각 1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를 비판하면서 오는 23일 유엔 193개 회원국 모두를 초청해 회의를 열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중국은 회의 요청 문건에서 “관세를 극단적 압박 도구로 무기화함으로써 미국은 국제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세계 경제와 다자 무역 시스템에 극심한 충격과 혼란을 초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는 평화와 발전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면서 “모든 국가, 특히 개발도상국들이 일방주의와 괴롭힘의 피해자”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는 중국이 안보리의 비공식 회의 가운데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의 회의를 소집했는지는 전하지 않았습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최근 미국은 다자 무역 협상이 만든 이익 균형 결과를 무시한 채 글로벌 경제 질서와 다자 무역 체제에 심각하게 충격을 줬고, 각국의 이익을 엄중하게 훼손했다”면서 “이런 일방주의와 강권·괴롭힘 행위는 유엔과 다자주의 사업에 전례 없는 어려움과 도전을 가져다줬다”고 말했습니다.
린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국제사회가 안보리를 포함한 각종 플랫폼을 이용해 토론하고, 일방주의와 괴롭힘 행위의 해로움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것을 지지한다”며 “우리는 다자주의와 유엔 헌장 원칙에 대한 약속을 다시 천명하고 유엔의 역할 강화와 각국의 정당한 발전 권익 수호를 위해 공감대를 모으는 것을 지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의 회의 소집은 미국과 중국이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강 대 강 대치를 하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에 중국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리는 등 정면으로 맞대응하면서 양국 간 상품무역은 사실상 붕괴 위기에 놓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외교부 제공]
현지 시각 1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를 비판하면서 오는 23일 유엔 193개 회원국 모두를 초청해 회의를 열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중국은 회의 요청 문건에서 “관세를 극단적 압박 도구로 무기화함으로써 미국은 국제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세계 경제와 다자 무역 시스템에 극심한 충격과 혼란을 초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는 평화와 발전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면서 “모든 국가, 특히 개발도상국들이 일방주의와 괴롭힘의 피해자”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는 중국이 안보리의 비공식 회의 가운데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의 회의를 소집했는지는 전하지 않았습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최근 미국은 다자 무역 협상이 만든 이익 균형 결과를 무시한 채 글로벌 경제 질서와 다자 무역 체제에 심각하게 충격을 줬고, 각국의 이익을 엄중하게 훼손했다”면서 “이런 일방주의와 강권·괴롭힘 행위는 유엔과 다자주의 사업에 전례 없는 어려움과 도전을 가져다줬다”고 말했습니다.
린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국제사회가 안보리를 포함한 각종 플랫폼을 이용해 토론하고, 일방주의와 괴롭힘 행위의 해로움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것을 지지한다”며 “우리는 다자주의와 유엔 헌장 원칙에 대한 약속을 다시 천명하고 유엔의 역할 강화와 각국의 정당한 발전 권익 수호를 위해 공감대를 모으는 것을 지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의 회의 소집은 미국과 중국이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강 대 강 대치를 하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에 중국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리는 등 정면으로 맞대응하면서 양국 간 상품무역은 사실상 붕괴 위기에 놓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외교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방적 괴롭힘 ‘미 관세’ 논의하자”…중국, 안보리 비공식회의 소집
-
- 입력 2025-04-17 17:21:26
- 수정2025-04-17 17:22:58

중국이 다음 주 미국의 관세 인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공식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현지 시각 1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를 비판하면서 오는 23일 유엔 193개 회원국 모두를 초청해 회의를 열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중국은 회의 요청 문건에서 “관세를 극단적 압박 도구로 무기화함으로써 미국은 국제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세계 경제와 다자 무역 시스템에 극심한 충격과 혼란을 초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는 평화와 발전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면서 “모든 국가, 특히 개발도상국들이 일방주의와 괴롭힘의 피해자”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는 중국이 안보리의 비공식 회의 가운데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의 회의를 소집했는지는 전하지 않았습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최근 미국은 다자 무역 협상이 만든 이익 균형 결과를 무시한 채 글로벌 경제 질서와 다자 무역 체제에 심각하게 충격을 줬고, 각국의 이익을 엄중하게 훼손했다”면서 “이런 일방주의와 강권·괴롭힘 행위는 유엔과 다자주의 사업에 전례 없는 어려움과 도전을 가져다줬다”고 말했습니다.
린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국제사회가 안보리를 포함한 각종 플랫폼을 이용해 토론하고, 일방주의와 괴롭힘 행위의 해로움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것을 지지한다”며 “우리는 다자주의와 유엔 헌장 원칙에 대한 약속을 다시 천명하고 유엔의 역할 강화와 각국의 정당한 발전 권익 수호를 위해 공감대를 모으는 것을 지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의 회의 소집은 미국과 중국이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강 대 강 대치를 하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에 중국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리는 등 정면으로 맞대응하면서 양국 간 상품무역은 사실상 붕괴 위기에 놓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외교부 제공]
현지 시각 1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를 비판하면서 오는 23일 유엔 193개 회원국 모두를 초청해 회의를 열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중국은 회의 요청 문건에서 “관세를 극단적 압박 도구로 무기화함으로써 미국은 국제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세계 경제와 다자 무역 시스템에 극심한 충격과 혼란을 초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는 평화와 발전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면서 “모든 국가, 특히 개발도상국들이 일방주의와 괴롭힘의 피해자”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는 중국이 안보리의 비공식 회의 가운데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의 회의를 소집했는지는 전하지 않았습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최근 미국은 다자 무역 협상이 만든 이익 균형 결과를 무시한 채 글로벌 경제 질서와 다자 무역 체제에 심각하게 충격을 줬고, 각국의 이익을 엄중하게 훼손했다”면서 “이런 일방주의와 강권·괴롭힘 행위는 유엔과 다자주의 사업에 전례 없는 어려움과 도전을 가져다줬다”고 말했습니다.
린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국제사회가 안보리를 포함한 각종 플랫폼을 이용해 토론하고, 일방주의와 괴롭힘 행위의 해로움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것을 지지한다”며 “우리는 다자주의와 유엔 헌장 원칙에 대한 약속을 다시 천명하고 유엔의 역할 강화와 각국의 정당한 발전 권익 수호를 위해 공감대를 모으는 것을 지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의 회의 소집은 미국과 중국이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강 대 강 대치를 하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에 중국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리는 등 정면으로 맞대응하면서 양국 간 상품무역은 사실상 붕괴 위기에 놓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외교부 제공]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