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급 인재’로 왔는데…‘열악한 처우’ 호소
입력 2025.04.18 (19:28)
수정 2025.04.18 (1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에서 일하는 외국인이 230만여 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전문성을 갖춘 고급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데요.
최근 열악한 처우를 호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리포트]
이 베트남인 여성은 고급 인재 체류 자격으로 입국했지만 음식점과 호텔 청소 업무에 배치됐습니다.
이는 허가받지 않은 '자격 외 활동'으로 불법 취업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베트남인 남성은 급여도 받지 못한 채 실직해 재취업을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고급 인재 체류 자격 베트남인 : "정규직이고 보너스가 나오는 회사면 좋겠습니다."]
이들은 모두 '기술·인문 지식·국제업무' 자격의 고급 인재로 일본인과 동등한 대우가 원칙입니다.
체류 갱신 제한이 없고 가족 동반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지만, 제도 관리가 느슨해 일부 업체의 악용 사례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요시미즈 지호/베트남인 노동자 지원 단체 대표 : "외국인 고급 인재를 지원하는 기관이 없어 문제가 생기면 심각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노동 제도 전반의 재정비와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일본에서 일하는 외국인이 230만여 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전문성을 갖춘 고급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데요.
최근 열악한 처우를 호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리포트]
이 베트남인 여성은 고급 인재 체류 자격으로 입국했지만 음식점과 호텔 청소 업무에 배치됐습니다.
이는 허가받지 않은 '자격 외 활동'으로 불법 취업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베트남인 남성은 급여도 받지 못한 채 실직해 재취업을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고급 인재 체류 자격 베트남인 : "정규직이고 보너스가 나오는 회사면 좋겠습니다."]
이들은 모두 '기술·인문 지식·국제업무' 자격의 고급 인재로 일본인과 동등한 대우가 원칙입니다.
체류 갱신 제한이 없고 가족 동반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지만, 제도 관리가 느슨해 일부 업체의 악용 사례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요시미즈 지호/베트남인 노동자 지원 단체 대표 : "외국인 고급 인재를 지원하는 기관이 없어 문제가 생기면 심각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노동 제도 전반의 재정비와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고급 인재’로 왔는데…‘열악한 처우’ 호소
-
- 입력 2025-04-18 19:28:30
- 수정2025-04-18 19:44:34

[앵커]
일본에서 일하는 외국인이 230만여 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전문성을 갖춘 고급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데요.
최근 열악한 처우를 호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리포트]
이 베트남인 여성은 고급 인재 체류 자격으로 입국했지만 음식점과 호텔 청소 업무에 배치됐습니다.
이는 허가받지 않은 '자격 외 활동'으로 불법 취업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베트남인 남성은 급여도 받지 못한 채 실직해 재취업을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고급 인재 체류 자격 베트남인 : "정규직이고 보너스가 나오는 회사면 좋겠습니다."]
이들은 모두 '기술·인문 지식·국제업무' 자격의 고급 인재로 일본인과 동등한 대우가 원칙입니다.
체류 갱신 제한이 없고 가족 동반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지만, 제도 관리가 느슨해 일부 업체의 악용 사례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요시미즈 지호/베트남인 노동자 지원 단체 대표 : "외국인 고급 인재를 지원하는 기관이 없어 문제가 생기면 심각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노동 제도 전반의 재정비와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일본에서 일하는 외국인이 230만여 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전문성을 갖춘 고급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데요.
최근 열악한 처우를 호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리포트]
이 베트남인 여성은 고급 인재 체류 자격으로 입국했지만 음식점과 호텔 청소 업무에 배치됐습니다.
이는 허가받지 않은 '자격 외 활동'으로 불법 취업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베트남인 남성은 급여도 받지 못한 채 실직해 재취업을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고급 인재 체류 자격 베트남인 : "정규직이고 보너스가 나오는 회사면 좋겠습니다."]
이들은 모두 '기술·인문 지식·국제업무' 자격의 고급 인재로 일본인과 동등한 대우가 원칙입니다.
체류 갱신 제한이 없고 가족 동반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지만, 제도 관리가 느슨해 일부 업체의 악용 사례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요시미즈 지호/베트남인 노동자 지원 단체 대표 : "외국인 고급 인재를 지원하는 기관이 없어 문제가 생기면 심각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노동 제도 전반의 재정비와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