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제65주년 4·19혁명 기념식 거행

입력 2025.04.19 (05:32) 수정 2025.04.19 (05: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4·19혁명 민주 영령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제65주년 4·19혁명 기념식이 오늘(19일) 오전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거행됩니다.

'4월은 언제나 빛난다'라는 주제로 거행되는 올해 기념식에는 4·19혁명 유공자 및 유족, 정부 주요 인사, 미래세대 등 1,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기념식은 1960년 당시 대구 2·28민주운동을 시작으로 대전 3·8민주의거와 마산 3·15의거를 거쳐 4·19혁명에 다다른 과정이 담긴 영상으로 시작합니다.

이어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등 4·19혁명에 참여한 대학의 학생들로 구성된 연합합창단이 애국가를 선창한 후, 4·19혁명 관련 보훈단체장들과 대광고, 동성고, 중앙고 등 4·19혁명 참여 고등학교 학생들이 희생 영령을 추모하는 헌화 및 분향을 할 예정입니다.

4·19혁명 관련 영화 '4월의 불꽃'에서 김주열 열사 모친 역을 연기한 배우 조은숙은 4월 희생 영령 추모하는 시 '꽃으로 다시 살아'를 낭독합니다.

가수 선예는 4·19혁명 민주 영령을 언제나 기억하면서 역사적 아픔을 딛고 모두 하나 돼 힘차게 나아가자는 의미가 담긴 추모곡 '모든 날, 모든 순간'을 노래합니다.

기념식은 참석자 전원이 '4·19의 노래'를 함께 부르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4·19혁명은 1960년 4월 19일 전국의 학생과 시민들이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정부패에 대규모 시위로 항거한 사건으로, 이승만 당시 대통령의 하야를 끌어내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정부는 1974년부터 국가보훈부 주관으로 4·19혁명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바로 세운 1960년의 4월은 65년이 흐른 지금도 우리 국민의 가슴에 빛나는 역사로 새겨져 있다"면서 "정부는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해 쓰러져간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넋을 기리면서 우리 국민과 미래세대가 4·19혁명의 역사를 기억·계승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가보훈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 제65주년 4·19혁명 기념식 거행
    • 입력 2025-04-19 05:32:44
    • 수정2025-04-19 05:33:43
    사회
4·19혁명 민주 영령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제65주년 4·19혁명 기념식이 오늘(19일) 오전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거행됩니다.

'4월은 언제나 빛난다'라는 주제로 거행되는 올해 기념식에는 4·19혁명 유공자 및 유족, 정부 주요 인사, 미래세대 등 1,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기념식은 1960년 당시 대구 2·28민주운동을 시작으로 대전 3·8민주의거와 마산 3·15의거를 거쳐 4·19혁명에 다다른 과정이 담긴 영상으로 시작합니다.

이어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등 4·19혁명에 참여한 대학의 학생들로 구성된 연합합창단이 애국가를 선창한 후, 4·19혁명 관련 보훈단체장들과 대광고, 동성고, 중앙고 등 4·19혁명 참여 고등학교 학생들이 희생 영령을 추모하는 헌화 및 분향을 할 예정입니다.

4·19혁명 관련 영화 '4월의 불꽃'에서 김주열 열사 모친 역을 연기한 배우 조은숙은 4월 희생 영령 추모하는 시 '꽃으로 다시 살아'를 낭독합니다.

가수 선예는 4·19혁명 민주 영령을 언제나 기억하면서 역사적 아픔을 딛고 모두 하나 돼 힘차게 나아가자는 의미가 담긴 추모곡 '모든 날, 모든 순간'을 노래합니다.

기념식은 참석자 전원이 '4·19의 노래'를 함께 부르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4·19혁명은 1960년 4월 19일 전국의 학생과 시민들이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정부패에 대규모 시위로 항거한 사건으로, 이승만 당시 대통령의 하야를 끌어내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정부는 1974년부터 국가보훈부 주관으로 4·19혁명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바로 세운 1960년의 4월은 65년이 흐른 지금도 우리 국민의 가슴에 빛나는 역사로 새겨져 있다"면서 "정부는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해 쓰러져간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넋을 기리면서 우리 국민과 미래세대가 4·19혁명의 역사를 기억·계승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가보훈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