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관세·중국 공세 ‘2중고’…한국 전기차는?

입력 2025.04.23 (21:19) 수정 2025.04.23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반면, 한국 전기차는 중국 전기차 공세에 중국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공들였던 미국 시장에선 연이은 관세 파장에 사면초가 상탭니다.

이중고를 겪고 있는 한국 전기차 상황, 정재우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2002년 중국 진출 이후 꾸준히 상하이 모터쇼에 참가해 왔던 현대차그룹.

올해 처음으로 불참했습니다.

중국에서의 판매 부진 영향이 컸습니다.

한 때 100만 대 넘게 팔리던 게 사드 사태, 코로나19를 겪으며 이젠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이 0%대로 떨어졌습니다.

영향은 전기차에도 미쳤습니다.

올 하반기 중국 맞춤형 전기차를 출시하며 반전을 노리고 있지만, 값이 더 싸면서 이젠 기술력도 뒤지지 않는 중국산 전기차에 밀리는 양상입니다.

대신 우리 업체들은 미국에 눈을 돌렸습니다.

[정의선/현대차그룹 회장/지난달 24일 : "조지아에 80억 달러 규모의 새 자동차 공장을 공식 개장합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의 미국 내 연간 자동차 생산량은 100만 대 이상으로 늘어납니다."]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전기차 등 친환경차도 올해 1분기 점유율 8%로 3위를 차지하며 선전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문제가 됐습니다.

이달부터 자동차에 붙은 25% 관세.

현대차와 기아 영업 이익이 6조 원 가까이 줄어들 거란 분석마저 나왔습니다.

안 그래도 전기차 시장은 요즘 수요 정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결국 기술력에 더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유일한 해법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권용주/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겸임교수 : "한국 전기차의 제품력은 글로벌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 수준에 올라 있는 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경쟁 국가 대비 비싼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가격'을 무기로 최근 우리 내수시장을 파고드는 중국 전기차의 공세도 극복해야 할 과제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발 관세·중국 공세 ‘2중고’…한국 전기차는?
    • 입력 2025-04-23 21:19:54
    • 수정2025-04-23 22:06:19
    뉴스 9
[앵커]

반면, 한국 전기차는 중국 전기차 공세에 중국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공들였던 미국 시장에선 연이은 관세 파장에 사면초가 상탭니다.

이중고를 겪고 있는 한국 전기차 상황, 정재우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2002년 중국 진출 이후 꾸준히 상하이 모터쇼에 참가해 왔던 현대차그룹.

올해 처음으로 불참했습니다.

중국에서의 판매 부진 영향이 컸습니다.

한 때 100만 대 넘게 팔리던 게 사드 사태, 코로나19를 겪으며 이젠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이 0%대로 떨어졌습니다.

영향은 전기차에도 미쳤습니다.

올 하반기 중국 맞춤형 전기차를 출시하며 반전을 노리고 있지만, 값이 더 싸면서 이젠 기술력도 뒤지지 않는 중국산 전기차에 밀리는 양상입니다.

대신 우리 업체들은 미국에 눈을 돌렸습니다.

[정의선/현대차그룹 회장/지난달 24일 : "조지아에 80억 달러 규모의 새 자동차 공장을 공식 개장합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의 미국 내 연간 자동차 생산량은 100만 대 이상으로 늘어납니다."]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전기차 등 친환경차도 올해 1분기 점유율 8%로 3위를 차지하며 선전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문제가 됐습니다.

이달부터 자동차에 붙은 25% 관세.

현대차와 기아 영업 이익이 6조 원 가까이 줄어들 거란 분석마저 나왔습니다.

안 그래도 전기차 시장은 요즘 수요 정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결국 기술력에 더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유일한 해법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권용주/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겸임교수 : "한국 전기차의 제품력은 글로벌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 수준에 올라 있는 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경쟁 국가 대비 비싼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가격'을 무기로 최근 우리 내수시장을 파고드는 중국 전기차의 공세도 극복해야 할 과제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