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은단 비타민 논란 이어져…요오드 함량 왜 계속 바뀌었나? [지금뉴스]

입력 2025.04.25 (18:51) 수정 2025.04.25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회수 조치가 내려진 고려은단의 '멀티비타민 올인원'.

요오드가 60마이크로그램 들어있다고 표시돼 있는데, 실제론 2배 넘게 검출된 게 문제였습니다.

표시와 실제 성분이 다른 겁니다.

고려은단 측은 문제를 인정하면서도, 식약처의 일일 요오드 권장 섭취량이 150마이크로그램이어서 건강을 해칠 수준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또 다른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 회사가 이전에 요오드가 180마이크로그램인 동일 제품을 팔아왔다는 겁니다.

실제 쿠팡 등에선 아직도 이 제품이 팔리고 있습니다.

식약처의 요오드 일일 권장 섭취량보다 30마이크로그램 더 많은데, 이 제품은 회수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취재해 보니, 고려은단은 멀티비타민 올인원의 요오드 함량을 계속 바꿔 왔습니다.

처음엔 60마이크로그램이 포함된 걸 팔았지만, 이후 180으로 바꿨고, 다시 120으로 바꿨습니다.

이러다 보니, 공식 판매처에선 요오드 120마이크로그램 짜리 제품이 팔리고 있지만, 온라인 몰 등에선 소비기한이 남은 다른 제품이 팔리고 있는 겁니다.

한 소비자는 식약처의 요오드 권장섭취량이 150마이크로그램인데, 180짜리 제품을 수년째 아이들과 먹었다면서 지금도 3통이나 남아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이에 대해 고려은단 측은, 미역국 한그릇의 요오드 함량이 천백 마이크로그램이라며, 일일 상한 섭취량이
2천4백 마이크로그램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KBS에 전해 왔습니다.

또 왜 요오드 함량을 계속 바꿔 왔느냐는 질의에는 다양한 연구자료를 검토하고 각기 다른 소비자들의 수요를 참고해 조정한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소비자들에게 성분 변경을 안내해 왔는지 묻자 변경 여부는 고지한 적은 없고, 제품에 바뀐 수치만 표시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제품에 표시된 것보다 실제 함량이 많아 논란을 일으킨 만큼, 업체 측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더 적극적으로 제품 회수 등에 나서야 했던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려은단 비타민 논란 이어져…요오드 함량 왜 계속 바뀌었나? [지금뉴스]
    • 입력 2025-04-25 18:51:56
    • 수정2025-04-25 19:42:42
    영상K
최근 회수 조치가 내려진 고려은단의 '멀티비타민 올인원'.

요오드가 60마이크로그램 들어있다고 표시돼 있는데, 실제론 2배 넘게 검출된 게 문제였습니다.

표시와 실제 성분이 다른 겁니다.

고려은단 측은 문제를 인정하면서도, 식약처의 일일 요오드 권장 섭취량이 150마이크로그램이어서 건강을 해칠 수준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또 다른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 회사가 이전에 요오드가 180마이크로그램인 동일 제품을 팔아왔다는 겁니다.

실제 쿠팡 등에선 아직도 이 제품이 팔리고 있습니다.

식약처의 요오드 일일 권장 섭취량보다 30마이크로그램 더 많은데, 이 제품은 회수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취재해 보니, 고려은단은 멀티비타민 올인원의 요오드 함량을 계속 바꿔 왔습니다.

처음엔 60마이크로그램이 포함된 걸 팔았지만, 이후 180으로 바꿨고, 다시 120으로 바꿨습니다.

이러다 보니, 공식 판매처에선 요오드 120마이크로그램 짜리 제품이 팔리고 있지만, 온라인 몰 등에선 소비기한이 남은 다른 제품이 팔리고 있는 겁니다.

한 소비자는 식약처의 요오드 권장섭취량이 150마이크로그램인데, 180짜리 제품을 수년째 아이들과 먹었다면서 지금도 3통이나 남아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이에 대해 고려은단 측은, 미역국 한그릇의 요오드 함량이 천백 마이크로그램이라며, 일일 상한 섭취량이
2천4백 마이크로그램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KBS에 전해 왔습니다.

또 왜 요오드 함량을 계속 바꿔 왔느냐는 질의에는 다양한 연구자료를 검토하고 각기 다른 소비자들의 수요를 참고해 조정한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소비자들에게 성분 변경을 안내해 왔는지 묻자 변경 여부는 고지한 적은 없고, 제품에 바뀐 수치만 표시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제품에 표시된 것보다 실제 함량이 많아 논란을 일으킨 만큼, 업체 측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더 적극적으로 제품 회수 등에 나서야 했던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