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당 매출은 2천 억인데…빵집 폐업률 역대 최대, 왜? [잇슈#태그]
입력 2025.04.28 (06: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맛있는 빵이 있다면 먼 곳도 마다하지 않고 찾아다닌다는 이른바 '빵지순례'.
'오픈런' 해야 먹을 정도로 빵 열풍이 불었지만, 지금 분위기는 예전 같지 않습니다.
도넛 전문점 노티드의 지난해 매출은 6% 넘게 감소한 63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통옥수수빵으로 유명한 삼송빵집 매출도 4.5% 줄어든 18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해외에서 잘 나간다는 프랜차이즈 빵집들도 국내에선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평균 매출이 1년 전보다 34% 감소했습니다.
이 같은 침체 흐름은 업계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문을 닫은 빵집은 3천5백여 곳으로 조사됐습니다.
2020년 11% 남짓이었던 폐업률은 지난해 18.5%까지 치솟았습니다.
빵집에 사람들이 몰리자 너도나도 창업에 뛰어들며 경쟁이 심화했기 때문입니다.
비싼 빵값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재료비, 인건비 등 부담으로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다며, 단골 없이는 살아남기 어렵다고 토로합니다.
그러나 제과업계 전반에 퍼진 위기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는 빵집들이 있습니다.
대전 빵집 성심당이 대표적인데요.
성심당의 지난해 매출은 1천937억 원. 영업 이익은 478억 원으로 50% 넘게 뛰었습니다.
베이글로 유명한 런던베이글뮤지엄도 지난해 매출이 8백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군산 이성당과 천안 뚜쥬루도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구성 : 임경민 작가, 영상 편집: 홍지윤)
'오픈런' 해야 먹을 정도로 빵 열풍이 불었지만, 지금 분위기는 예전 같지 않습니다.
도넛 전문점 노티드의 지난해 매출은 6% 넘게 감소한 63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통옥수수빵으로 유명한 삼송빵집 매출도 4.5% 줄어든 18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해외에서 잘 나간다는 프랜차이즈 빵집들도 국내에선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평균 매출이 1년 전보다 34% 감소했습니다.
이 같은 침체 흐름은 업계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문을 닫은 빵집은 3천5백여 곳으로 조사됐습니다.
2020년 11% 남짓이었던 폐업률은 지난해 18.5%까지 치솟았습니다.
빵집에 사람들이 몰리자 너도나도 창업에 뛰어들며 경쟁이 심화했기 때문입니다.
비싼 빵값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재료비, 인건비 등 부담으로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다며, 단골 없이는 살아남기 어렵다고 토로합니다.
그러나 제과업계 전반에 퍼진 위기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는 빵집들이 있습니다.
대전 빵집 성심당이 대표적인데요.
성심당의 지난해 매출은 1천937억 원. 영업 이익은 478억 원으로 50% 넘게 뛰었습니다.
베이글로 유명한 런던베이글뮤지엄도 지난해 매출이 8백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군산 이성당과 천안 뚜쥬루도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구성 : 임경민 작가, 영상 편집: 홍지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심당 매출은 2천 억인데…빵집 폐업률 역대 최대, 왜? [잇슈#태그]
-
- 입력 2025-04-28 06:00:17

맛있는 빵이 있다면 먼 곳도 마다하지 않고 찾아다닌다는 이른바 '빵지순례'.
'오픈런' 해야 먹을 정도로 빵 열풍이 불었지만, 지금 분위기는 예전 같지 않습니다.
도넛 전문점 노티드의 지난해 매출은 6% 넘게 감소한 63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통옥수수빵으로 유명한 삼송빵집 매출도 4.5% 줄어든 18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해외에서 잘 나간다는 프랜차이즈 빵집들도 국내에선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평균 매출이 1년 전보다 34% 감소했습니다.
이 같은 침체 흐름은 업계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문을 닫은 빵집은 3천5백여 곳으로 조사됐습니다.
2020년 11% 남짓이었던 폐업률은 지난해 18.5%까지 치솟았습니다.
빵집에 사람들이 몰리자 너도나도 창업에 뛰어들며 경쟁이 심화했기 때문입니다.
비싼 빵값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재료비, 인건비 등 부담으로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다며, 단골 없이는 살아남기 어렵다고 토로합니다.
그러나 제과업계 전반에 퍼진 위기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는 빵집들이 있습니다.
대전 빵집 성심당이 대표적인데요.
성심당의 지난해 매출은 1천937억 원. 영업 이익은 478억 원으로 50% 넘게 뛰었습니다.
베이글로 유명한 런던베이글뮤지엄도 지난해 매출이 8백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군산 이성당과 천안 뚜쥬루도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구성 : 임경민 작가, 영상 편집: 홍지윤)
'오픈런' 해야 먹을 정도로 빵 열풍이 불었지만, 지금 분위기는 예전 같지 않습니다.
도넛 전문점 노티드의 지난해 매출은 6% 넘게 감소한 63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통옥수수빵으로 유명한 삼송빵집 매출도 4.5% 줄어든 18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해외에서 잘 나간다는 프랜차이즈 빵집들도 국내에선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평균 매출이 1년 전보다 34% 감소했습니다.
이 같은 침체 흐름은 업계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문을 닫은 빵집은 3천5백여 곳으로 조사됐습니다.
2020년 11% 남짓이었던 폐업률은 지난해 18.5%까지 치솟았습니다.
빵집에 사람들이 몰리자 너도나도 창업에 뛰어들며 경쟁이 심화했기 때문입니다.
비싼 빵값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재료비, 인건비 등 부담으로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다며, 단골 없이는 살아남기 어렵다고 토로합니다.
그러나 제과업계 전반에 퍼진 위기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는 빵집들이 있습니다.
대전 빵집 성심당이 대표적인데요.
성심당의 지난해 매출은 1천937억 원. 영업 이익은 478억 원으로 50% 넘게 뛰었습니다.
베이글로 유명한 런던베이글뮤지엄도 지난해 매출이 8백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군산 이성당과 천안 뚜쥬루도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구성 : 임경민 작가, 영상 편집: 홍지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