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 구독서비스 피해 급증…이용약관 확인 필수”
입력 2025.05.15 (18:23)
수정 2025.05.15 (18: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모바일 앱에서 헬스장 이용료를 다달이 결제하는 '구독 서비스'가 인기인데요.
관련 소비자 피해도 급증하고 있어, 이용 약관을 꼼꼼하게 확인하셔야겠습니다.
김민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올 1분기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모두 30건, 지난해 같은 기간 10건보다 3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구독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카드를 등록하면 매달 정해진 날짜에 이용료가 자동 결제되는 방식입니다.
장기 계약으로 거금의 이용료를 선납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이용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그만큼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소비자원에 접수된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2022년 6건, 2023년 14건, 지난해 50건이었습니다.
피해 유형별로 보면 자동결제 사실을 고지받지 못했다는 경우가 38%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계약을 해지했을 때 업체에서 환불을 거부하는 경우가 33%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서비스 계약 해지 기능이 없다는 피해 상담도 전체의 9%를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은 "온라인 비대면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구독 서비스의 경우, 사전 고지나 동의 없이 월 결제 대금이 증액되는 다크패턴 방식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결제 방법과 구독 정지 방법, 환급 기준 등을 자세히 확인한 후 이용약관에 동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에 올 1분기 접수된 헬스장 관련 전체 피해 구제 신청 건수는 873건으로, 1년 전보다 17.8% 증가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신남규
최근 모바일 앱에서 헬스장 이용료를 다달이 결제하는 '구독 서비스'가 인기인데요.
관련 소비자 피해도 급증하고 있어, 이용 약관을 꼼꼼하게 확인하셔야겠습니다.
김민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올 1분기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모두 30건, 지난해 같은 기간 10건보다 3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구독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카드를 등록하면 매달 정해진 날짜에 이용료가 자동 결제되는 방식입니다.
장기 계약으로 거금의 이용료를 선납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이용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그만큼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소비자원에 접수된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2022년 6건, 2023년 14건, 지난해 50건이었습니다.
피해 유형별로 보면 자동결제 사실을 고지받지 못했다는 경우가 38%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계약을 해지했을 때 업체에서 환불을 거부하는 경우가 33%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서비스 계약 해지 기능이 없다는 피해 상담도 전체의 9%를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은 "온라인 비대면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구독 서비스의 경우, 사전 고지나 동의 없이 월 결제 대금이 증액되는 다크패턴 방식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결제 방법과 구독 정지 방법, 환급 기준 등을 자세히 확인한 후 이용약관에 동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에 올 1분기 접수된 헬스장 관련 전체 피해 구제 신청 건수는 873건으로, 1년 전보다 17.8% 증가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신남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헬스장 구독서비스 피해 급증…이용약관 확인 필수”
-
- 입력 2025-05-15 18:23:38
- 수정2025-05-15 18:31:18

[앵커]
최근 모바일 앱에서 헬스장 이용료를 다달이 결제하는 '구독 서비스'가 인기인데요.
관련 소비자 피해도 급증하고 있어, 이용 약관을 꼼꼼하게 확인하셔야겠습니다.
김민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올 1분기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모두 30건, 지난해 같은 기간 10건보다 3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구독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카드를 등록하면 매달 정해진 날짜에 이용료가 자동 결제되는 방식입니다.
장기 계약으로 거금의 이용료를 선납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이용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그만큼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소비자원에 접수된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2022년 6건, 2023년 14건, 지난해 50건이었습니다.
피해 유형별로 보면 자동결제 사실을 고지받지 못했다는 경우가 38%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계약을 해지했을 때 업체에서 환불을 거부하는 경우가 33%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서비스 계약 해지 기능이 없다는 피해 상담도 전체의 9%를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은 "온라인 비대면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구독 서비스의 경우, 사전 고지나 동의 없이 월 결제 대금이 증액되는 다크패턴 방식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결제 방법과 구독 정지 방법, 환급 기준 등을 자세히 확인한 후 이용약관에 동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에 올 1분기 접수된 헬스장 관련 전체 피해 구제 신청 건수는 873건으로, 1년 전보다 17.8% 증가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신남규
최근 모바일 앱에서 헬스장 이용료를 다달이 결제하는 '구독 서비스'가 인기인데요.
관련 소비자 피해도 급증하고 있어, 이용 약관을 꼼꼼하게 확인하셔야겠습니다.
김민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올 1분기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모두 30건, 지난해 같은 기간 10건보다 3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구독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카드를 등록하면 매달 정해진 날짜에 이용료가 자동 결제되는 방식입니다.
장기 계약으로 거금의 이용료를 선납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이용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그만큼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소비자원에 접수된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은 2022년 6건, 2023년 14건, 지난해 50건이었습니다.
피해 유형별로 보면 자동결제 사실을 고지받지 못했다는 경우가 38%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계약을 해지했을 때 업체에서 환불을 거부하는 경우가 33%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서비스 계약 해지 기능이 없다는 피해 상담도 전체의 9%를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은 "온라인 비대면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구독 서비스의 경우, 사전 고지나 동의 없이 월 결제 대금이 증액되는 다크패턴 방식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결제 방법과 구독 정지 방법, 환급 기준 등을 자세히 확인한 후 이용약관에 동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에 올 1분기 접수된 헬스장 관련 전체 피해 구제 신청 건수는 873건으로, 1년 전보다 17.8% 증가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신남규
-
-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