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한미군 4,500명 괌 등 다른 지역으로 이전 검토”
입력 2025.05.23 (22:28)
수정 2025.05.23 (23: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미국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미 국방부가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 부인하긴 했지만, 만약 현실화된다면 우리 안보 환경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한미군 감축 검토 보도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익명의 미 국방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입니다.
미국 국방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빼내서 미국령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는 주한미군 2만 8천5백 명의 16%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다만, 이 같은 주한미군 철수 방안이 구체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되지 않았고, 대북 정책을 점검하면서 검토하는 여러 구상 중 하나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미 국방부에서는 주한미군 활동 범위를 한반도로 제한하지 않고, 위기가 있는 곳에 유연하게 투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왔습니다.
주한미군사령관도 최근 한국을 항공모함으로 묘사하며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주한미군 사령관 : "주한미군은 북한을 물리치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게 아닙니다.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과 활동, 투자에도 초점을 맞춥니다."]
주한미군이 실제로 감축되면 대북한 전력이 약화될 수 있고, 북한이 오판할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논란이 커지자 미국 국방부는 주한미군 감축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는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한국 국방부도 미국과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성일/자료조사:김시온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미국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미 국방부가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 부인하긴 했지만, 만약 현실화된다면 우리 안보 환경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한미군 감축 검토 보도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익명의 미 국방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입니다.
미국 국방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빼내서 미국령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는 주한미군 2만 8천5백 명의 16%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다만, 이 같은 주한미군 철수 방안이 구체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되지 않았고, 대북 정책을 점검하면서 검토하는 여러 구상 중 하나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미 국방부에서는 주한미군 활동 범위를 한반도로 제한하지 않고, 위기가 있는 곳에 유연하게 투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왔습니다.
주한미군사령관도 최근 한국을 항공모함으로 묘사하며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주한미군 사령관 : "주한미군은 북한을 물리치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게 아닙니다.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과 활동, 투자에도 초점을 맞춥니다."]
주한미군이 실제로 감축되면 대북한 전력이 약화될 수 있고, 북한이 오판할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논란이 커지자 미국 국방부는 주한미군 감축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는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한국 국방부도 미국과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성일/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주한미군 4,500명 괌 등 다른 지역으로 이전 검토”
-
- 입력 2025-05-23 22:28:37
- 수정2025-05-23 23:00:02

[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미국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미 국방부가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 부인하긴 했지만, 만약 현실화된다면 우리 안보 환경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한미군 감축 검토 보도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익명의 미 국방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입니다.
미국 국방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빼내서 미국령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는 주한미군 2만 8천5백 명의 16%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다만, 이 같은 주한미군 철수 방안이 구체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되지 않았고, 대북 정책을 점검하면서 검토하는 여러 구상 중 하나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미 국방부에서는 주한미군 활동 범위를 한반도로 제한하지 않고, 위기가 있는 곳에 유연하게 투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왔습니다.
주한미군사령관도 최근 한국을 항공모함으로 묘사하며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주한미군 사령관 : "주한미군은 북한을 물리치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게 아닙니다.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과 활동, 투자에도 초점을 맞춥니다."]
주한미군이 실제로 감축되면 대북한 전력이 약화될 수 있고, 북한이 오판할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논란이 커지자 미국 국방부는 주한미군 감축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는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한국 국방부도 미국과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성일/자료조사:김시온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미국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미 국방부가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 부인하긴 했지만, 만약 현실화된다면 우리 안보 환경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한미군 감축 검토 보도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익명의 미 국방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입니다.
미국 국방부가 주한미군 4천5백 명을 빼내서 미국령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는 주한미군 2만 8천5백 명의 16%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다만, 이 같은 주한미군 철수 방안이 구체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되지 않았고, 대북 정책을 점검하면서 검토하는 여러 구상 중 하나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미 국방부에서는 주한미군 활동 범위를 한반도로 제한하지 않고, 위기가 있는 곳에 유연하게 투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왔습니다.
주한미군사령관도 최근 한국을 항공모함으로 묘사하며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주한미군 사령관 : "주한미군은 북한을 물리치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게 아닙니다.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과 활동, 투자에도 초점을 맞춥니다."]
주한미군이 실제로 감축되면 대북한 전력이 약화될 수 있고, 북한이 오판할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논란이 커지자 미국 국방부는 주한미군 감축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는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한국 국방부도 미국과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성일/자료조사:김시온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