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 또 오면 어쩌나…수해 ‘복구 중’ 전국 6백여 곳 [현장K]
입력 2025.07.01 (21:33)
수정 2025.07.01 (2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후변화로 기상이변은 더 잦아지는데, 수해를 입은 뒤 아직도 복구가 안 된 곳이 전국에 육백 곳이 넘습니다.
추가 피해가 날까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현장K, 민수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커다란 사료 뭉치가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고.
비닐하우스는 지붕만 남기고 물속에 잠겼습니다.
2년 전 7월, 폭우에 충북 괴산댐이 넘치며 인근 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습니다.
마을을 잇는 다리도 물에 잠기고 도로는 유실됐습니다.
피해 발생 20개월이 지난 올해 3월에야 시작된 복구 공사.
다리는 조금씩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지만, 주변을 온전히 정비하려면 1년 이상 더 걸립니다.
[차덕열/충북 괴산군 : "컨테이너 말도 못 해요. 한 대여섯 개 떠내려와서 여기 교각에 받혔잖아요. 물이 불어나면 금방 불어나요."]
지난해 7월 하룻밤 새 130mm 넘는 비가 쏟아지며 충북 영동 법곡저수지 둑이 터졌습니다.
근처 농막에 있던 60대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되기도 했습니다.
쓸려나간 둑 경사면 곳곳은 아직도 파란 천막과 모래주머니로 대충 덮어둔 상태입니다.
지난해 실종 사고가 났던 영동의 저수지입니다.
무너진 둑을 쌓는 복구 공사가 진행되는데 일러야 내년 하반기에나 끝날 계획입니다.
인근 도로에는 무너지고 깨진 아스팔트가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인근 주민 : "도로 복구나 좀 빨리 됐으면 좋겠어요. 올해 말에는 시작한다고 하는데. 꽤 오래 걸릴 것 같고."]
지지부진한 복구작업에 침수 피해를 본 주민들은 작은 빗방울만 떨어져도 덜컥 겁이 납니다.
[안영희/충북 영동군 : "4~5년 전에는 방에까지 (물이) 들어와서 다 버렸다니까. 간장이고 소금이고 항아리도 다 금 가고 깨지고. 물만 보면 난 아주 죽겠어. 올해도 나 무서워 죽겠다니까."]
전국의 수해 복구 대상지 4,800여 곳 가운데 이처럼 복구가 마무리되지 않고 아직도 공사 중인 곳은 600여 곳입니다.
최대 수백억 원대의 공사비를 확보하기 힘들고 공사를 위한 하천 이용 허가 등 각종 행정절차가 늦어져서라는 게 자치단체의 설명입니다.
기습 폭우 등 기상 이변은 점점 잦아지는데 복구 작업은 속도를 못 내면서 수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만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기후변화로 기상이변은 더 잦아지는데, 수해를 입은 뒤 아직도 복구가 안 된 곳이 전국에 육백 곳이 넘습니다.
추가 피해가 날까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현장K, 민수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커다란 사료 뭉치가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고.
비닐하우스는 지붕만 남기고 물속에 잠겼습니다.
2년 전 7월, 폭우에 충북 괴산댐이 넘치며 인근 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습니다.
마을을 잇는 다리도 물에 잠기고 도로는 유실됐습니다.
피해 발생 20개월이 지난 올해 3월에야 시작된 복구 공사.
다리는 조금씩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지만, 주변을 온전히 정비하려면 1년 이상 더 걸립니다.
[차덕열/충북 괴산군 : "컨테이너 말도 못 해요. 한 대여섯 개 떠내려와서 여기 교각에 받혔잖아요. 물이 불어나면 금방 불어나요."]
지난해 7월 하룻밤 새 130mm 넘는 비가 쏟아지며 충북 영동 법곡저수지 둑이 터졌습니다.
근처 농막에 있던 60대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되기도 했습니다.
쓸려나간 둑 경사면 곳곳은 아직도 파란 천막과 모래주머니로 대충 덮어둔 상태입니다.
지난해 실종 사고가 났던 영동의 저수지입니다.
무너진 둑을 쌓는 복구 공사가 진행되는데 일러야 내년 하반기에나 끝날 계획입니다.
인근 도로에는 무너지고 깨진 아스팔트가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인근 주민 : "도로 복구나 좀 빨리 됐으면 좋겠어요. 올해 말에는 시작한다고 하는데. 꽤 오래 걸릴 것 같고."]
지지부진한 복구작업에 침수 피해를 본 주민들은 작은 빗방울만 떨어져도 덜컥 겁이 납니다.
[안영희/충북 영동군 : "4~5년 전에는 방에까지 (물이) 들어와서 다 버렸다니까. 간장이고 소금이고 항아리도 다 금 가고 깨지고. 물만 보면 난 아주 죽겠어. 올해도 나 무서워 죽겠다니까."]
전국의 수해 복구 대상지 4,800여 곳 가운데 이처럼 복구가 마무리되지 않고 아직도 공사 중인 곳은 600여 곳입니다.
최대 수백억 원대의 공사비를 확보하기 힘들고 공사를 위한 하천 이용 허가 등 각종 행정절차가 늦어져서라는 게 자치단체의 설명입니다.
기습 폭우 등 기상 이변은 점점 잦아지는데 복구 작업은 속도를 못 내면서 수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만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호우 또 오면 어쩌나…수해 ‘복구 중’ 전국 6백여 곳 [현장K]
-
- 입력 2025-07-01 21:33:41
- 수정2025-07-01 21:40:57

[앵커]
기후변화로 기상이변은 더 잦아지는데, 수해를 입은 뒤 아직도 복구가 안 된 곳이 전국에 육백 곳이 넘습니다.
추가 피해가 날까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현장K, 민수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커다란 사료 뭉치가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고.
비닐하우스는 지붕만 남기고 물속에 잠겼습니다.
2년 전 7월, 폭우에 충북 괴산댐이 넘치며 인근 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습니다.
마을을 잇는 다리도 물에 잠기고 도로는 유실됐습니다.
피해 발생 20개월이 지난 올해 3월에야 시작된 복구 공사.
다리는 조금씩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지만, 주변을 온전히 정비하려면 1년 이상 더 걸립니다.
[차덕열/충북 괴산군 : "컨테이너 말도 못 해요. 한 대여섯 개 떠내려와서 여기 교각에 받혔잖아요. 물이 불어나면 금방 불어나요."]
지난해 7월 하룻밤 새 130mm 넘는 비가 쏟아지며 충북 영동 법곡저수지 둑이 터졌습니다.
근처 농막에 있던 60대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되기도 했습니다.
쓸려나간 둑 경사면 곳곳은 아직도 파란 천막과 모래주머니로 대충 덮어둔 상태입니다.
지난해 실종 사고가 났던 영동의 저수지입니다.
무너진 둑을 쌓는 복구 공사가 진행되는데 일러야 내년 하반기에나 끝날 계획입니다.
인근 도로에는 무너지고 깨진 아스팔트가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인근 주민 : "도로 복구나 좀 빨리 됐으면 좋겠어요. 올해 말에는 시작한다고 하는데. 꽤 오래 걸릴 것 같고."]
지지부진한 복구작업에 침수 피해를 본 주민들은 작은 빗방울만 떨어져도 덜컥 겁이 납니다.
[안영희/충북 영동군 : "4~5년 전에는 방에까지 (물이) 들어와서 다 버렸다니까. 간장이고 소금이고 항아리도 다 금 가고 깨지고. 물만 보면 난 아주 죽겠어. 올해도 나 무서워 죽겠다니까."]
전국의 수해 복구 대상지 4,800여 곳 가운데 이처럼 복구가 마무리되지 않고 아직도 공사 중인 곳은 600여 곳입니다.
최대 수백억 원대의 공사비를 확보하기 힘들고 공사를 위한 하천 이용 허가 등 각종 행정절차가 늦어져서라는 게 자치단체의 설명입니다.
기습 폭우 등 기상 이변은 점점 잦아지는데 복구 작업은 속도를 못 내면서 수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만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기후변화로 기상이변은 더 잦아지는데, 수해를 입은 뒤 아직도 복구가 안 된 곳이 전국에 육백 곳이 넘습니다.
추가 피해가 날까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현장K, 민수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커다란 사료 뭉치가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고.
비닐하우스는 지붕만 남기고 물속에 잠겼습니다.
2년 전 7월, 폭우에 충북 괴산댐이 넘치며 인근 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습니다.
마을을 잇는 다리도 물에 잠기고 도로는 유실됐습니다.
피해 발생 20개월이 지난 올해 3월에야 시작된 복구 공사.
다리는 조금씩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지만, 주변을 온전히 정비하려면 1년 이상 더 걸립니다.
[차덕열/충북 괴산군 : "컨테이너 말도 못 해요. 한 대여섯 개 떠내려와서 여기 교각에 받혔잖아요. 물이 불어나면 금방 불어나요."]
지난해 7월 하룻밤 새 130mm 넘는 비가 쏟아지며 충북 영동 법곡저수지 둑이 터졌습니다.
근처 농막에 있던 60대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되기도 했습니다.
쓸려나간 둑 경사면 곳곳은 아직도 파란 천막과 모래주머니로 대충 덮어둔 상태입니다.
지난해 실종 사고가 났던 영동의 저수지입니다.
무너진 둑을 쌓는 복구 공사가 진행되는데 일러야 내년 하반기에나 끝날 계획입니다.
인근 도로에는 무너지고 깨진 아스팔트가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인근 주민 : "도로 복구나 좀 빨리 됐으면 좋겠어요. 올해 말에는 시작한다고 하는데. 꽤 오래 걸릴 것 같고."]
지지부진한 복구작업에 침수 피해를 본 주민들은 작은 빗방울만 떨어져도 덜컥 겁이 납니다.
[안영희/충북 영동군 : "4~5년 전에는 방에까지 (물이) 들어와서 다 버렸다니까. 간장이고 소금이고 항아리도 다 금 가고 깨지고. 물만 보면 난 아주 죽겠어. 올해도 나 무서워 죽겠다니까."]
전국의 수해 복구 대상지 4,800여 곳 가운데 이처럼 복구가 마무리되지 않고 아직도 공사 중인 곳은 600여 곳입니다.
최대 수백억 원대의 공사비를 확보하기 힘들고 공사를 위한 하천 이용 허가 등 각종 행정절차가 늦어져서라는 게 자치단체의 설명입니다.
기습 폭우 등 기상 이변은 점점 잦아지는데 복구 작업은 속도를 못 내면서 수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만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
-
민수아 기자 msa46@kbs.co.kr
민수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