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백반집 ‘실종’…“초밥·편의점에 밀렸다?” [잇슈 키워드]
입력 2025.07.22 (06:55)
수정 2025.07.22 (0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잇슈키워드입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백반집'입니다.
우리 한류, 한식 열기도 전 세계에서 뜨거운데요.
그런데 정작 동네 백반집이나 한식당은 점점 줄고 있습니다.
2018년 전체 외식업 가운데 약 45%를 차지하던 한식당 비율은 지난해 41.8%까지 줄었습니다.
이 추세라면 3년 안에 30%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식이 빠진 자리는 일식이나 햄버거, 치킨점 등으로 채워졌는데요.
한식당이 문을 닫는 이유, 우선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감소 때문이란 분석입니다.
된장찌개나 백반 등을 만 원 정도에 파는 한식당은 편의점과도 소비층이 겹쳐서 지갑이 얇아진 사람들이 아무래도 덜 찾는다는 겁니다.
또, 배달 음식으로서의 선호도 덜 한 데다 배달비 부담까지 더해져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건데요.
반찬 가짓수가 다양해 식자재값 급등이 곧바로 영향을 주는 점도 한식당 감소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백반집'입니다.
우리 한류, 한식 열기도 전 세계에서 뜨거운데요.
그런데 정작 동네 백반집이나 한식당은 점점 줄고 있습니다.
2018년 전체 외식업 가운데 약 45%를 차지하던 한식당 비율은 지난해 41.8%까지 줄었습니다.
이 추세라면 3년 안에 30%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식이 빠진 자리는 일식이나 햄버거, 치킨점 등으로 채워졌는데요.
한식당이 문을 닫는 이유, 우선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감소 때문이란 분석입니다.
된장찌개나 백반 등을 만 원 정도에 파는 한식당은 편의점과도 소비층이 겹쳐서 지갑이 얇아진 사람들이 아무래도 덜 찾는다는 겁니다.
또, 배달 음식으로서의 선호도 덜 한 데다 배달비 부담까지 더해져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건데요.
반찬 가짓수가 다양해 식자재값 급등이 곧바로 영향을 주는 점도 한식당 감소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네 백반집 ‘실종’…“초밥·편의점에 밀렸다?” [잇슈 키워드]
-
- 입력 2025-07-22 06:55:03
- 수정2025-07-22 07:00:32

잇슈키워드입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백반집'입니다.
우리 한류, 한식 열기도 전 세계에서 뜨거운데요.
그런데 정작 동네 백반집이나 한식당은 점점 줄고 있습니다.
2018년 전체 외식업 가운데 약 45%를 차지하던 한식당 비율은 지난해 41.8%까지 줄었습니다.
이 추세라면 3년 안에 30%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식이 빠진 자리는 일식이나 햄버거, 치킨점 등으로 채워졌는데요.
한식당이 문을 닫는 이유, 우선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감소 때문이란 분석입니다.
된장찌개나 백반 등을 만 원 정도에 파는 한식당은 편의점과도 소비층이 겹쳐서 지갑이 얇아진 사람들이 아무래도 덜 찾는다는 겁니다.
또, 배달 음식으로서의 선호도 덜 한 데다 배달비 부담까지 더해져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건데요.
반찬 가짓수가 다양해 식자재값 급등이 곧바로 영향을 주는 점도 한식당 감소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백반집'입니다.
우리 한류, 한식 열기도 전 세계에서 뜨거운데요.
그런데 정작 동네 백반집이나 한식당은 점점 줄고 있습니다.
2018년 전체 외식업 가운데 약 45%를 차지하던 한식당 비율은 지난해 41.8%까지 줄었습니다.
이 추세라면 3년 안에 30%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식이 빠진 자리는 일식이나 햄버거, 치킨점 등으로 채워졌는데요.
한식당이 문을 닫는 이유, 우선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감소 때문이란 분석입니다.
된장찌개나 백반 등을 만 원 정도에 파는 한식당은 편의점과도 소비층이 겹쳐서 지갑이 얇아진 사람들이 아무래도 덜 찾는다는 겁니다.
또, 배달 음식으로서의 선호도 덜 한 데다 배달비 부담까지 더해져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건데요.
반찬 가짓수가 다양해 식자재값 급등이 곧바로 영향을 주는 점도 한식당 감소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