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이어 EU도 감면?…‘발등의 불’ 자동차, 관세에 ‘흔들’

입력 2025.07.25 (19:11) 수정 2025.07.25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진전없는 협상에 가장 애가 타는 우리 수출 품목, 자동차입니다.

대미 수출 1위, 하지만 관세가 이미 25% 붙어있죠.

이미 일본처럼 관세를 낮춘 나라가 있는데 우리만 그대로라면, 미국 시장에서 어렵게 쌓은 '공든 탑', 완전히 무너질 판입니다.

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20년 8.5%에서 지난해 10.8%까지 미국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린 현대차그룹.

이 기간 우리 자동차 대미 수출액도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좋은 품질에 합리적 가격, 여기에 한미 FTA로 관세 0%를 적용받아, 2.5% 관세를 물던 일본, 유럽차보다 가격 경쟁력도 누린 결과입니다.

하지만 4월부터 미국이 자동차에 일괄 25% 관세를 물리며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오늘 기아가 발표한 2분기 실적.

관세 비용 부담만 7천8백억 원이 넘어, 2분기 영업 이익이 지난해보다 24% 넘게 줄었습니다.

협상으로 관세를 내리지 못하면, 하반기 더 큰 타격이 불 보듯 뻔합니다.

[김승준/기아 재경본부장/기아 2분기 실적 발표회 : "상반기에는 5, 6월달 두 달의 임팩(영향)이 있었다면, 하반기에는 그 관세 영향을 온전히 다 풀로 받게 되는 그런 시기라고…."]

미국 시장에서 우리의 경쟁자 일본은 이미 15%로 자동차 관세를 낮춘 상황.

또 다른 경쟁자 유럽연합도 대부분 제품에 15% 관세를 적용받는 걸로 미국과 최종 조율에 들어간 걸로 전해졌습니다.

우리도 15%까지 관세를 낮춘다면, 일단 내년까지는 현대 기아차가 영업이익에서 2조 6천억 원가량 덜 손해 볼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김경유/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15%씩 관세를 받고 있는 상황이니까 우리도 그 정도는 돼야 그냥 일반적인 경쟁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이런 가운데, 미국 자동차 업계가 일본 자동차 관세 인하를 두고 너무 많이 내줬다, '나쁜 합의'라고 비난하고 나서, 우리 협상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이어 EU도 감면?…‘발등의 불’ 자동차, 관세에 ‘흔들’
    • 입력 2025-07-25 19:11:45
    • 수정2025-07-25 22:02:49
    뉴스 7
[앵커]

진전없는 협상에 가장 애가 타는 우리 수출 품목, 자동차입니다.

대미 수출 1위, 하지만 관세가 이미 25% 붙어있죠.

이미 일본처럼 관세를 낮춘 나라가 있는데 우리만 그대로라면, 미국 시장에서 어렵게 쌓은 '공든 탑', 완전히 무너질 판입니다.

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20년 8.5%에서 지난해 10.8%까지 미국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린 현대차그룹.

이 기간 우리 자동차 대미 수출액도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좋은 품질에 합리적 가격, 여기에 한미 FTA로 관세 0%를 적용받아, 2.5% 관세를 물던 일본, 유럽차보다 가격 경쟁력도 누린 결과입니다.

하지만 4월부터 미국이 자동차에 일괄 25% 관세를 물리며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오늘 기아가 발표한 2분기 실적.

관세 비용 부담만 7천8백억 원이 넘어, 2분기 영업 이익이 지난해보다 24% 넘게 줄었습니다.

협상으로 관세를 내리지 못하면, 하반기 더 큰 타격이 불 보듯 뻔합니다.

[김승준/기아 재경본부장/기아 2분기 실적 발표회 : "상반기에는 5, 6월달 두 달의 임팩(영향)이 있었다면, 하반기에는 그 관세 영향을 온전히 다 풀로 받게 되는 그런 시기라고…."]

미국 시장에서 우리의 경쟁자 일본은 이미 15%로 자동차 관세를 낮춘 상황.

또 다른 경쟁자 유럽연합도 대부분 제품에 15% 관세를 적용받는 걸로 미국과 최종 조율에 들어간 걸로 전해졌습니다.

우리도 15%까지 관세를 낮춘다면, 일단 내년까지는 현대 기아차가 영업이익에서 2조 6천억 원가량 덜 손해 볼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김경유/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15%씩 관세를 받고 있는 상황이니까 우리도 그 정도는 돼야 그냥 일반적인 경쟁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이런 가운데, 미국 자동차 업계가 일본 자동차 관세 인하를 두고 너무 많이 내줬다, '나쁜 합의'라고 비난하고 나서, 우리 협상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