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D-2일…정부·재계, 조선·반도체 카드로 ‘총력전’

입력 2025.07.30 (06:05) 수정 2025.07.30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 이제 불과 이틀 남았습니다.

정부는 물론 재계까지, 막판 '총력전'에 나섰는데요.

'조선' '반도체' 등 가능한 카드는 다 내놓고 미국을 설득하겠다는 겁니다.

이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주일 전, 미국으로 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23일 : "(몇 박 며칠 일정인가요?) 지금 제 기억에 아마 3박4일이었던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귀국하지 않고, 현지에서 막판 협상 중입니다.

워싱턴 D.C.에 이어 러트닉 장관의 뉴욕 자택까지 가 조선업 협상 카드를 제시했고, 이후 러트닉 장관이 스코틀랜드로 떠나자, 따라가는 등 동선을 쫓아가며 총력전입니다.

[하워드 러트닉/미 상무부 장관/28일/폭스뉴스 인터뷰 : "한국인들이 저녁 식사 후 나와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날아왔습니다. 그들이 얼마나 협상 타결을 간절히 원하는지를 생각해 보세요."]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베센트 미 재무장관과의 막판 담판을 위해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조선업 등 한미간의 중장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도 잘 협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방미길에 올랐습니다.

기업들은 '반도체' '조선' 카드로 측면 지원에 나섭니다.

협상 전망은 엇갈립니다.

[장상식/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아직은 이견이 좀 있어보이고요. 미국이 요구하는 것보다 조금 낮추기 위해서 정부가 다양한 카드를 지금 고심하고 있지 않나…"]

[최석영/전 외교통상부 FTA교섭대표 : "큰 틀의 방향성이 일단 잡히고 나면 협상의 빈도가 굉장히 잦아지게 됩니다. 고위급이 자주 만난다고 하는 건 거의 막바지에 왔다고…"]

구윤철 부총리의 트럼프 대통령 면담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정부의 협상 마지노선은 일본, EU와 같은 상호관세 15%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 D-2일…정부·재계, 조선·반도체 카드로 ‘총력전’
    • 입력 2025-07-30 06:05:44
    • 수정2025-07-30 07:58:48
    뉴스광장 1부
[앵커]

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 이제 불과 이틀 남았습니다.

정부는 물론 재계까지, 막판 '총력전'에 나섰는데요.

'조선' '반도체' 등 가능한 카드는 다 내놓고 미국을 설득하겠다는 겁니다.

이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주일 전, 미국으로 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23일 : "(몇 박 며칠 일정인가요?) 지금 제 기억에 아마 3박4일이었던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귀국하지 않고, 현지에서 막판 협상 중입니다.

워싱턴 D.C.에 이어 러트닉 장관의 뉴욕 자택까지 가 조선업 협상 카드를 제시했고, 이후 러트닉 장관이 스코틀랜드로 떠나자, 따라가는 등 동선을 쫓아가며 총력전입니다.

[하워드 러트닉/미 상무부 장관/28일/폭스뉴스 인터뷰 : "한국인들이 저녁 식사 후 나와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날아왔습니다. 그들이 얼마나 협상 타결을 간절히 원하는지를 생각해 보세요."]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베센트 미 재무장관과의 막판 담판을 위해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조선업 등 한미간의 중장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도 잘 협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방미길에 올랐습니다.

기업들은 '반도체' '조선' 카드로 측면 지원에 나섭니다.

협상 전망은 엇갈립니다.

[장상식/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아직은 이견이 좀 있어보이고요. 미국이 요구하는 것보다 조금 낮추기 위해서 정부가 다양한 카드를 지금 고심하고 있지 않나…"]

[최석영/전 외교통상부 FTA교섭대표 : "큰 틀의 방향성이 일단 잡히고 나면 협상의 빈도가 굉장히 잦아지게 됩니다. 고위급이 자주 만난다고 하는 건 거의 막바지에 왔다고…"]

구윤철 부총리의 트럼프 대통령 면담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정부의 협상 마지노선은 일본, EU와 같은 상호관세 15%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