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 쪽으로 추락하는 줄”…스페인 공군 전투기 아찔 급강하 [잇슈 SNS]
입력 2025.07.30 (07:29)
수정 2025.07.30 (07: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이슈와 영상들이 주목을 받았을까요?
첫 번째는 스페인의 한 에어쇼에서 포착된 아찔한 급강하 비행입니다.
스페인 항구도시 히온에서 매년 열리는 국제 에어쇼 축제 현장입니다.
이때 스페인 공군의 전투기 한 대가 엄청난 속도로 바다 위 창공을 가르는데요.
갑자기 수천 관중이 모여있던 해변 쪽으로 추락할 듯 하강하더니, 아슬아슬 고도를 급격히 올리며 사람들 머리 위로 날아갑니다.
이 아찔한 비행 상황과 화들짝 놀라는 관중들의 모습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퍼졌는데요.
이에 스페인 공군 측은 비행경로에서 새 떼를 발견하고 긴급 회피 기동을 실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더불어 "조종사들은 어떤 돌발 상황에도 1000분의 1초 단위로 반응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면서 이번 상황 역시 "조종사의 안전은 물론 관중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통상적인 절차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첫 번째는 스페인의 한 에어쇼에서 포착된 아찔한 급강하 비행입니다.
스페인 항구도시 히온에서 매년 열리는 국제 에어쇼 축제 현장입니다.
이때 스페인 공군의 전투기 한 대가 엄청난 속도로 바다 위 창공을 가르는데요.
갑자기 수천 관중이 모여있던 해변 쪽으로 추락할 듯 하강하더니, 아슬아슬 고도를 급격히 올리며 사람들 머리 위로 날아갑니다.
이 아찔한 비행 상황과 화들짝 놀라는 관중들의 모습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퍼졌는데요.
이에 스페인 공군 측은 비행경로에서 새 떼를 발견하고 긴급 회피 기동을 실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더불어 "조종사들은 어떤 돌발 상황에도 1000분의 1초 단위로 반응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면서 이번 상황 역시 "조종사의 안전은 물론 관중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통상적인 절차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중 쪽으로 추락하는 줄”…스페인 공군 전투기 아찔 급강하 [잇슈 SNS]
-
- 입력 2025-07-30 07:29:25
- 수정2025-07-30 07:41:17

전 세계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이슈와 영상들이 주목을 받았을까요?
첫 번째는 스페인의 한 에어쇼에서 포착된 아찔한 급강하 비행입니다.
스페인 항구도시 히온에서 매년 열리는 국제 에어쇼 축제 현장입니다.
이때 스페인 공군의 전투기 한 대가 엄청난 속도로 바다 위 창공을 가르는데요.
갑자기 수천 관중이 모여있던 해변 쪽으로 추락할 듯 하강하더니, 아슬아슬 고도를 급격히 올리며 사람들 머리 위로 날아갑니다.
이 아찔한 비행 상황과 화들짝 놀라는 관중들의 모습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퍼졌는데요.
이에 스페인 공군 측은 비행경로에서 새 떼를 발견하고 긴급 회피 기동을 실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더불어 "조종사들은 어떤 돌발 상황에도 1000분의 1초 단위로 반응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면서 이번 상황 역시 "조종사의 안전은 물론 관중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통상적인 절차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첫 번째는 스페인의 한 에어쇼에서 포착된 아찔한 급강하 비행입니다.
스페인 항구도시 히온에서 매년 열리는 국제 에어쇼 축제 현장입니다.
이때 스페인 공군의 전투기 한 대가 엄청난 속도로 바다 위 창공을 가르는데요.
갑자기 수천 관중이 모여있던 해변 쪽으로 추락할 듯 하강하더니, 아슬아슬 고도를 급격히 올리며 사람들 머리 위로 날아갑니다.
이 아찔한 비행 상황과 화들짝 놀라는 관중들의 모습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퍼졌는데요.
이에 스페인 공군 측은 비행경로에서 새 떼를 발견하고 긴급 회피 기동을 실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더불어 "조종사들은 어떤 돌발 상황에도 1000분의 1초 단위로 반응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면서 이번 상황 역시 "조종사의 안전은 물론 관중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통상적인 절차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