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다문화 자녀 열 명 중 여섯 명이 대학에 진학하면서, 전체 국민과의 취학률 격차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오늘(31일) 전국 다문화가족 1만 6,014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결혼이민자 절반은 '15년 이상' 장기 거주…대학 진학률 61.9%
이번 조사에서는 다문화 가구의 정착 기간이 길어지면서 전반적으로 우리 사회에 더 적응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결혼이민자나 귀화자 가운데 15년 이상 거주자는 52.6%로, 3년 전(39.9%)보다 12.7%p 늘었습니다.
30대가 32.3%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3년 전보다 소폭 줄었고, 40대(27.9%)와 50대(18.3%), 60대 이상(13.8%) 연령층은 모두 비중이 늘었습니다.
다문화 가구의 평균 자녀 연령도 12.1세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세를 넘었습니다.
다문화 자녀의 대학 진학률은 2021년 40.5%에서 지난해 61.9%로 20%p 넘게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국민과의 고등교육 취학률 격차도 2021년 31%p에서 2024년 13%p로 크게 줄었습니다.
이재웅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장은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된 뒤 여가부에서 다문화 자녀에 대한 다양한 학습 지원을 늘려왔고 공교육에서도 관련 지원이 이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말했습니다.
■ 소득 수준·고용률 높아졌지만… 차별·폭력은 여전히 "참고 산다"
다문화 가구의 소득 수준도 개선됐습니다.
지난해 월평균 소득 300만 원을 넘는 다문화 가구 비율은 3년 전(50.8%)보다 15%p 늘어난 65.8%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300~400만 원 구간이 가장 많은 소득 구간으로 집계됐습니다.
주거 형태로는 절반 이상(52.6%)이 자가에 살았고, 월세(20.2%), 전세(19.3%) 순이었습니다.
결혼이민자와 귀화자 열 명 중 여섯 명은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월평균 200만 원 이상 임금근로자 비율이 58.6%로 3년 전(39.6%)보다 늘었습니다.
다만 근로 직종은 단순 노무직이 39%로, 상당수는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에 참여한 최윤정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개 결혼귀화자는 한국에 입국해 임신·출산을 먼저 경험한 뒤, 아이가 어느 정도 자라고 한국생활에 적응하면 노동시장에 진입한다"면서 "장기 거주자가 늘었지만 여전히 노동시장에서의 지위는 개선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혼이민자와 귀화자들은 자녀 양육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긴급 돌봄'(만 5세 이하)과 '경제적 비용 부담'(만6~24세)을 꼽았습니다.
이들의 차별 경험률은 13%로, 차별을 당하더라도 '참는다'는 응답이 80.7%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폭력 피해를 당한 경우는 9.8%로 나타났습니다.
배우자로부터 신체적·성적 폭력을 경험한 결혼이민자와 귀화자 열 명 중 세 명만 주위에 도움을 요청했고, 나머지는 그냥 참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문화 자녀 61% 대학 갔다…결혼이민자 9.8% ‘가정폭력’ 피해
-
- 입력 2025-07-31 12:00:22

지난해 다문화 자녀 열 명 중 여섯 명이 대학에 진학하면서, 전체 국민과의 취학률 격차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오늘(31일) 전국 다문화가족 1만 6,014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결혼이민자 절반은 '15년 이상' 장기 거주…대학 진학률 61.9%
이번 조사에서는 다문화 가구의 정착 기간이 길어지면서 전반적으로 우리 사회에 더 적응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결혼이민자나 귀화자 가운데 15년 이상 거주자는 52.6%로, 3년 전(39.9%)보다 12.7%p 늘었습니다.
30대가 32.3%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3년 전보다 소폭 줄었고, 40대(27.9%)와 50대(18.3%), 60대 이상(13.8%) 연령층은 모두 비중이 늘었습니다.
다문화 가구의 평균 자녀 연령도 12.1세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세를 넘었습니다.
다문화 자녀의 대학 진학률은 2021년 40.5%에서 지난해 61.9%로 20%p 넘게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국민과의 고등교육 취학률 격차도 2021년 31%p에서 2024년 13%p로 크게 줄었습니다.
이재웅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장은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된 뒤 여가부에서 다문화 자녀에 대한 다양한 학습 지원을 늘려왔고 공교육에서도 관련 지원이 이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말했습니다.
■ 소득 수준·고용률 높아졌지만… 차별·폭력은 여전히 "참고 산다"
다문화 가구의 소득 수준도 개선됐습니다.
지난해 월평균 소득 300만 원을 넘는 다문화 가구 비율은 3년 전(50.8%)보다 15%p 늘어난 65.8%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300~400만 원 구간이 가장 많은 소득 구간으로 집계됐습니다.
주거 형태로는 절반 이상(52.6%)이 자가에 살았고, 월세(20.2%), 전세(19.3%) 순이었습니다.
결혼이민자와 귀화자 열 명 중 여섯 명은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월평균 200만 원 이상 임금근로자 비율이 58.6%로 3년 전(39.6%)보다 늘었습니다.
다만 근로 직종은 단순 노무직이 39%로, 상당수는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에 참여한 최윤정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개 결혼귀화자는 한국에 입국해 임신·출산을 먼저 경험한 뒤, 아이가 어느 정도 자라고 한국생활에 적응하면 노동시장에 진입한다"면서 "장기 거주자가 늘었지만 여전히 노동시장에서의 지위는 개선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혼이민자와 귀화자들은 자녀 양육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긴급 돌봄'(만 5세 이하)과 '경제적 비용 부담'(만6~24세)을 꼽았습니다.
이들의 차별 경험률은 13%로, 차별을 당하더라도 '참는다'는 응답이 80.7%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폭력 피해를 당한 경우는 9.8%로 나타났습니다.
배우자로부터 신체적·성적 폭력을 경험한 결혼이민자와 귀화자 열 명 중 세 명만 주위에 도움을 요청했고, 나머지는 그냥 참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
진선민 기자 jsm@kbs.co.kr
진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