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이슈] 미국의 충격적인 고용 지표…금융시장 영향은?
입력 2025.08.04 (15:20)
수정 2025.08.04 (15: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에선 예상을 벗어난 충격적인 고용 지표와 이에 따른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을 두고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금융시장이 앞으로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지, 우려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는데요.
월드이슈에서 금철영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봅니다.
지난주 말, 고용 지표가 하향 수정된 상태로 발표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통계 담당국장을 전격 경질하는 사태까지 있었는데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기자]
네, 미국 노동통계국이 지난 5월과 6월, 26만 명 가까이 하향 수정된 고용 지표를 발표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끈한 것이 사태의 시발점이 됐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하면서 전 정부에서 임명한 인물이 정치적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비난까지 퍼부었습니다.
사실 매달 발표되는 고용 지표는 13만 명 정도는 위아래로 수정될 수 있고, 실제 수정 발표된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트럼프 대통령이 과민반응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는데요.
미국 민주당 지도부는 "통계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위협하는 나쁜 선례"라며 일제히 비난했습니다.
[앵커]
이 사태로 미국 금융시장까지 출렁였는데, 고용 지표의 하향 조정을 금융시장에선 사실상 악재로 받아들인 걸까요.
관련 시장 동향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미국 금융시장에선 그렇게 받아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1년 전에도 7월 고용 지표가 발표됐을 때 시장 전망치 보다 낮았고 전 달에 비해서도 크게 신규고용이 떨어졌었는데요.
이때는 시장이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당시 미국 연준이 긴축을 종료했고 금리도 동결하거나 소폭 인하하는 과정이어서, 고용 둔화에도 금융시장이 정책 전환 과정의 일부로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경제성장률이 정체되거나 둔화되는 상황에서 물가 인상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아직 관세 인상으로 인한 수입 물가 상승이 본격적으로 반영이 안 됐다는 인식도 금융시장의 우려를 높이는 요인이 됐습니다.
[앵커]
지난주 고용 지표가 나온 당일에 미국 주식 시장은 급락하고, 9월 금리 인하 전망도 급등했는데요.
금융시장에서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인다면 앞으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기자]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용 지표가 낮게 나오면 연준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데, 금융시장은 금리 인하를 호재로 받아들이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연준이 어쩔 수 없이 금리 인하에 나선다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연준의 목표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인플레이션을 막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경기를 좋게 해서 완전고용을 이루는 것입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선 금리 인상 카드를, 경기회복과 완전고용을 위해선 금리인하 카드를 쓰는데, 고용시장이 불안해서 금리인하에 나섰다가 물가가 크게 오른다면, 연준의 금리정책은 실패하게 되고 경제에 미치는 충격도 커지는 것이죠.
[앵커]
그런데 미국의 신규 고용은 주춤했지만 7월 실업률은 4.2퍼센트로 지난 몇 달 동안의 평균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렇다면 시장의 우려가 과도한 것은 아닐까요?
[기자]
네, 말씀하신 대로 수치상 실업률은 지난 몇 달처럼 안정적인 선을 유지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6개월 이상 직업을 구하지 못하는, 이른바 '장기 실업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지난 6월에 미국의 장기 실업자 수는 전 달 대비 19만 명 늘어 160만 명이었고, 7월에는 여기에 17만 9천 명이 더 늘어나 180만 명으로 급증한 것입니다.
미국 전체 실업자의 25퍼센트가 장기 실업자인 셈인데, 금융시장은 이를 경기 회복에 있어 좋지 않은 신호로 해석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김주은 추예빈/자료조사:권애림
미국에선 예상을 벗어난 충격적인 고용 지표와 이에 따른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을 두고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금융시장이 앞으로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지, 우려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는데요.
월드이슈에서 금철영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봅니다.
지난주 말, 고용 지표가 하향 수정된 상태로 발표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통계 담당국장을 전격 경질하는 사태까지 있었는데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기자]
네, 미국 노동통계국이 지난 5월과 6월, 26만 명 가까이 하향 수정된 고용 지표를 발표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끈한 것이 사태의 시발점이 됐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하면서 전 정부에서 임명한 인물이 정치적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비난까지 퍼부었습니다.
사실 매달 발표되는 고용 지표는 13만 명 정도는 위아래로 수정될 수 있고, 실제 수정 발표된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트럼프 대통령이 과민반응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는데요.
미국 민주당 지도부는 "통계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위협하는 나쁜 선례"라며 일제히 비난했습니다.
[앵커]
이 사태로 미국 금융시장까지 출렁였는데, 고용 지표의 하향 조정을 금융시장에선 사실상 악재로 받아들인 걸까요.
관련 시장 동향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미국 금융시장에선 그렇게 받아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1년 전에도 7월 고용 지표가 발표됐을 때 시장 전망치 보다 낮았고 전 달에 비해서도 크게 신규고용이 떨어졌었는데요.
이때는 시장이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당시 미국 연준이 긴축을 종료했고 금리도 동결하거나 소폭 인하하는 과정이어서, 고용 둔화에도 금융시장이 정책 전환 과정의 일부로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경제성장률이 정체되거나 둔화되는 상황에서 물가 인상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아직 관세 인상으로 인한 수입 물가 상승이 본격적으로 반영이 안 됐다는 인식도 금융시장의 우려를 높이는 요인이 됐습니다.
[앵커]
지난주 고용 지표가 나온 당일에 미국 주식 시장은 급락하고, 9월 금리 인하 전망도 급등했는데요.
금융시장에서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인다면 앞으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기자]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용 지표가 낮게 나오면 연준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데, 금융시장은 금리 인하를 호재로 받아들이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연준이 어쩔 수 없이 금리 인하에 나선다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연준의 목표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인플레이션을 막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경기를 좋게 해서 완전고용을 이루는 것입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선 금리 인상 카드를, 경기회복과 완전고용을 위해선 금리인하 카드를 쓰는데, 고용시장이 불안해서 금리인하에 나섰다가 물가가 크게 오른다면, 연준의 금리정책은 실패하게 되고 경제에 미치는 충격도 커지는 것이죠.
[앵커]
그런데 미국의 신규 고용은 주춤했지만 7월 실업률은 4.2퍼센트로 지난 몇 달 동안의 평균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렇다면 시장의 우려가 과도한 것은 아닐까요?
[기자]
네, 말씀하신 대로 수치상 실업률은 지난 몇 달처럼 안정적인 선을 유지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6개월 이상 직업을 구하지 못하는, 이른바 '장기 실업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지난 6월에 미국의 장기 실업자 수는 전 달 대비 19만 명 늘어 160만 명이었고, 7월에는 여기에 17만 9천 명이 더 늘어나 180만 명으로 급증한 것입니다.
미국 전체 실업자의 25퍼센트가 장기 실업자인 셈인데, 금융시장은 이를 경기 회복에 있어 좋지 않은 신호로 해석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김주은 추예빈/자료조사:권애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드 이슈] 미국의 충격적인 고용 지표…금융시장 영향은?
-
- 입력 2025-08-04 15:20:03
- 수정2025-08-04 15:30:33

[앵커]
미국에선 예상을 벗어난 충격적인 고용 지표와 이에 따른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을 두고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금융시장이 앞으로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지, 우려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는데요.
월드이슈에서 금철영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봅니다.
지난주 말, 고용 지표가 하향 수정된 상태로 발표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통계 담당국장을 전격 경질하는 사태까지 있었는데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기자]
네, 미국 노동통계국이 지난 5월과 6월, 26만 명 가까이 하향 수정된 고용 지표를 발표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끈한 것이 사태의 시발점이 됐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하면서 전 정부에서 임명한 인물이 정치적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비난까지 퍼부었습니다.
사실 매달 발표되는 고용 지표는 13만 명 정도는 위아래로 수정될 수 있고, 실제 수정 발표된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트럼프 대통령이 과민반응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는데요.
미국 민주당 지도부는 "통계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위협하는 나쁜 선례"라며 일제히 비난했습니다.
[앵커]
이 사태로 미국 금융시장까지 출렁였는데, 고용 지표의 하향 조정을 금융시장에선 사실상 악재로 받아들인 걸까요.
관련 시장 동향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미국 금융시장에선 그렇게 받아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1년 전에도 7월 고용 지표가 발표됐을 때 시장 전망치 보다 낮았고 전 달에 비해서도 크게 신규고용이 떨어졌었는데요.
이때는 시장이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당시 미국 연준이 긴축을 종료했고 금리도 동결하거나 소폭 인하하는 과정이어서, 고용 둔화에도 금융시장이 정책 전환 과정의 일부로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경제성장률이 정체되거나 둔화되는 상황에서 물가 인상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아직 관세 인상으로 인한 수입 물가 상승이 본격적으로 반영이 안 됐다는 인식도 금융시장의 우려를 높이는 요인이 됐습니다.
[앵커]
지난주 고용 지표가 나온 당일에 미국 주식 시장은 급락하고, 9월 금리 인하 전망도 급등했는데요.
금융시장에서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인다면 앞으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기자]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용 지표가 낮게 나오면 연준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데, 금융시장은 금리 인하를 호재로 받아들이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연준이 어쩔 수 없이 금리 인하에 나선다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연준의 목표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인플레이션을 막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경기를 좋게 해서 완전고용을 이루는 것입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선 금리 인상 카드를, 경기회복과 완전고용을 위해선 금리인하 카드를 쓰는데, 고용시장이 불안해서 금리인하에 나섰다가 물가가 크게 오른다면, 연준의 금리정책은 실패하게 되고 경제에 미치는 충격도 커지는 것이죠.
[앵커]
그런데 미국의 신규 고용은 주춤했지만 7월 실업률은 4.2퍼센트로 지난 몇 달 동안의 평균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렇다면 시장의 우려가 과도한 것은 아닐까요?
[기자]
네, 말씀하신 대로 수치상 실업률은 지난 몇 달처럼 안정적인 선을 유지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6개월 이상 직업을 구하지 못하는, 이른바 '장기 실업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지난 6월에 미국의 장기 실업자 수는 전 달 대비 19만 명 늘어 160만 명이었고, 7월에는 여기에 17만 9천 명이 더 늘어나 180만 명으로 급증한 것입니다.
미국 전체 실업자의 25퍼센트가 장기 실업자인 셈인데, 금융시장은 이를 경기 회복에 있어 좋지 않은 신호로 해석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김주은 추예빈/자료조사:권애림
미국에선 예상을 벗어난 충격적인 고용 지표와 이에 따른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을 두고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금융시장이 앞으로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지, 우려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는데요.
월드이슈에서 금철영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봅니다.
지난주 말, 고용 지표가 하향 수정된 상태로 발표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통계 담당국장을 전격 경질하는 사태까지 있었는데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기자]
네, 미국 노동통계국이 지난 5월과 6월, 26만 명 가까이 하향 수정된 고용 지표를 발표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끈한 것이 사태의 시발점이 됐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하면서 전 정부에서 임명한 인물이 정치적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비난까지 퍼부었습니다.
사실 매달 발표되는 고용 지표는 13만 명 정도는 위아래로 수정될 수 있고, 실제 수정 발표된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트럼프 대통령이 과민반응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는데요.
미국 민주당 지도부는 "통계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위협하는 나쁜 선례"라며 일제히 비난했습니다.
[앵커]
이 사태로 미국 금융시장까지 출렁였는데, 고용 지표의 하향 조정을 금융시장에선 사실상 악재로 받아들인 걸까요.
관련 시장 동향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미국 금융시장에선 그렇게 받아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1년 전에도 7월 고용 지표가 발표됐을 때 시장 전망치 보다 낮았고 전 달에 비해서도 크게 신규고용이 떨어졌었는데요.
이때는 시장이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당시 미국 연준이 긴축을 종료했고 금리도 동결하거나 소폭 인하하는 과정이어서, 고용 둔화에도 금융시장이 정책 전환 과정의 일부로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경제성장률이 정체되거나 둔화되는 상황에서 물가 인상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아직 관세 인상으로 인한 수입 물가 상승이 본격적으로 반영이 안 됐다는 인식도 금융시장의 우려를 높이는 요인이 됐습니다.
[앵커]
지난주 고용 지표가 나온 당일에 미국 주식 시장은 급락하고, 9월 금리 인하 전망도 급등했는데요.
금융시장에서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인다면 앞으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기자]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용 지표가 낮게 나오면 연준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데, 금융시장은 금리 인하를 호재로 받아들이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연준이 어쩔 수 없이 금리 인하에 나선다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연준의 목표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인플레이션을 막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경기를 좋게 해서 완전고용을 이루는 것입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선 금리 인상 카드를, 경기회복과 완전고용을 위해선 금리인하 카드를 쓰는데, 고용시장이 불안해서 금리인하에 나섰다가 물가가 크게 오른다면, 연준의 금리정책은 실패하게 되고 경제에 미치는 충격도 커지는 것이죠.
[앵커]
그런데 미국의 신규 고용은 주춤했지만 7월 실업률은 4.2퍼센트로 지난 몇 달 동안의 평균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렇다면 시장의 우려가 과도한 것은 아닐까요?
[기자]
네, 말씀하신 대로 수치상 실업률은 지난 몇 달처럼 안정적인 선을 유지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6개월 이상 직업을 구하지 못하는, 이른바 '장기 실업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지난 6월에 미국의 장기 실업자 수는 전 달 대비 19만 명 늘어 160만 명이었고, 7월에는 여기에 17만 9천 명이 더 늘어나 180만 명으로 급증한 것입니다.
미국 전체 실업자의 25퍼센트가 장기 실업자인 셈인데, 금융시장은 이를 경기 회복에 있어 좋지 않은 신호로 해석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김주은 추예빈/자료조사:권애림
-
-
금철영 기자 cykum@kbs.co.kr
금철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