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XX 없는…” 혼잣말 했다가 ‘아동학대’…대법원 판단은 달랐다? [잇슈#태그]
입력 2025.08.10 (15:10)
수정 2025.08.10 (15: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신이 가르치던 학생에게 혼잣말로 욕설한 초등학교 교사를 아동학대로 처벌하기 어렵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교사 A 씨는 2022년 5월 광주광역시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4학년 B군에게 휴대전화를 가방에 넣으라고 지시했지만, B군이 이를 따르지 않자 휴대전화를 빼앗았습니다.
이에 B군은 책상을 치며 반발했고, A 씨는 혼잣말로 '싹수가 없다'는 의미의 속된 표현을 썼습니다.
1심과 2심은 해당 발언이 정서적 학대에 해당한다며 A 씨에게 벌금 50만 원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선고유예란 유죄를 인정하되 일정 기간 형의 선고를 미루고, 2년이 지나면 사실상 없던 일로 해주는 판결입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판단을 달리했습니다.
A 씨의 발언이 부적절한 건 맞지만 피해 아동의 정신건강과 발달을 저해할 정도는 아니고 인격을 비하할 의도도 없었다고 봤습니다.
또한, 해당 발언은 교육적 조처를 하는 과정에서 나온 푸념에 가깝다고 판단했습니다.
(영상편집: 박준서)
교사 A 씨는 2022년 5월 광주광역시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4학년 B군에게 휴대전화를 가방에 넣으라고 지시했지만, B군이 이를 따르지 않자 휴대전화를 빼앗았습니다.
이에 B군은 책상을 치며 반발했고, A 씨는 혼잣말로 '싹수가 없다'는 의미의 속된 표현을 썼습니다.
1심과 2심은 해당 발언이 정서적 학대에 해당한다며 A 씨에게 벌금 50만 원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선고유예란 유죄를 인정하되 일정 기간 형의 선고를 미루고, 2년이 지나면 사실상 없던 일로 해주는 판결입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판단을 달리했습니다.
A 씨의 발언이 부적절한 건 맞지만 피해 아동의 정신건강과 발달을 저해할 정도는 아니고 인격을 비하할 의도도 없었다고 봤습니다.
또한, 해당 발언은 교육적 조처를 하는 과정에서 나온 푸념에 가깝다고 판단했습니다.
(영상편집: 박준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XXX 없는…” 혼잣말 했다가 ‘아동학대’…대법원 판단은 달랐다? [잇슈#태그]
-
- 입력 2025-08-10 15:10:08
- 수정2025-08-10 15:10:39

자신이 가르치던 학생에게 혼잣말로 욕설한 초등학교 교사를 아동학대로 처벌하기 어렵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교사 A 씨는 2022년 5월 광주광역시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4학년 B군에게 휴대전화를 가방에 넣으라고 지시했지만, B군이 이를 따르지 않자 휴대전화를 빼앗았습니다.
이에 B군은 책상을 치며 반발했고, A 씨는 혼잣말로 '싹수가 없다'는 의미의 속된 표현을 썼습니다.
1심과 2심은 해당 발언이 정서적 학대에 해당한다며 A 씨에게 벌금 50만 원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선고유예란 유죄를 인정하되 일정 기간 형의 선고를 미루고, 2년이 지나면 사실상 없던 일로 해주는 판결입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판단을 달리했습니다.
A 씨의 발언이 부적절한 건 맞지만 피해 아동의 정신건강과 발달을 저해할 정도는 아니고 인격을 비하할 의도도 없었다고 봤습니다.
또한, 해당 발언은 교육적 조처를 하는 과정에서 나온 푸념에 가깝다고 판단했습니다.
(영상편집: 박준서)
교사 A 씨는 2022년 5월 광주광역시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4학년 B군에게 휴대전화를 가방에 넣으라고 지시했지만, B군이 이를 따르지 않자 휴대전화를 빼앗았습니다.
이에 B군은 책상을 치며 반발했고, A 씨는 혼잣말로 '싹수가 없다'는 의미의 속된 표현을 썼습니다.
1심과 2심은 해당 발언이 정서적 학대에 해당한다며 A 씨에게 벌금 50만 원의 선고를 유예했습니다.
선고유예란 유죄를 인정하되 일정 기간 형의 선고를 미루고, 2년이 지나면 사실상 없던 일로 해주는 판결입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판단을 달리했습니다.
A 씨의 발언이 부적절한 건 맞지만 피해 아동의 정신건강과 발달을 저해할 정도는 아니고 인격을 비하할 의도도 없었다고 봤습니다.
또한, 해당 발언은 교육적 조처를 하는 과정에서 나온 푸념에 가깝다고 판단했습니다.
(영상편집: 박준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