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정치검찰 피해자 명예회복”…야 “사면권 남용 흑역사”
입력 2025.08.11 (23:04)
수정 2025.08.11 (23: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특별사면 대상 발표에 여야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을 존중한단 뜻을 밝혔지만, 국민의힘은 사면권 남용의 흑역사가 될 거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주당은 이번 사면을 '정치 검찰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 회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검찰의 무리한 수사와 기소로 고통받던 사면 대상자들이 명예를 되찾는 건 당연하단 겁니다.
[박수현/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내란을 종식해야 하는 정부인만큼 검찰 독재의 무도한 탄압 수사로 고통받은 피해자들의 삶과 명예를 되돌려드리고자..."]
정치인 사면 논란에 '지지'와 '비판'이 있을 거라며 모든 목소리를 소중히 듣겠다고 몸을 낮췄습니다.
8개월째 대표 권한대행 체제인 조국혁신당은 조국 전 대표 사면을 환영했습니다.
[김선민/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 : "대통령님의 고심어린 결정에 감사드립니다. 위로와 통합의 계기가 되길 기원합니다."]
이재명 정부 성공을 뒷받침할 개혁에 동력이 생겼다며 검찰 개혁 등 5대 개혁 완수를 다짐했습니다.
국민의힘은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퇴색시킨 최악의 정치 사면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조 전 대표 사면은 "정권교체 포상용", 윤미향 전 의원 사면은 "국민에 대한 감정적 도전"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송언석/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 "오만과 독선으로 단행한 이번 광복절 특사는 대통령 사면권 남용의 흑역사로 오래 기록될 것입니다."]
개혁신당은 "운동권 청구서를 받아 든 것", "국민 통합이 아닌 우롱"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진보 진영인 정의당도 반대 입장을 냈는데, '공정'과 '책임'의 기준을 무너뜨리는 사면이라고 했습니다.
시민단체들도 "사회적 논란과 분열 초래", "국민 우려를 무시한 부적절한 사면"이라고 잇따라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오승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훈 고석훈
특별사면 대상 발표에 여야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을 존중한단 뜻을 밝혔지만, 국민의힘은 사면권 남용의 흑역사가 될 거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주당은 이번 사면을 '정치 검찰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 회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검찰의 무리한 수사와 기소로 고통받던 사면 대상자들이 명예를 되찾는 건 당연하단 겁니다.
[박수현/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내란을 종식해야 하는 정부인만큼 검찰 독재의 무도한 탄압 수사로 고통받은 피해자들의 삶과 명예를 되돌려드리고자..."]
정치인 사면 논란에 '지지'와 '비판'이 있을 거라며 모든 목소리를 소중히 듣겠다고 몸을 낮췄습니다.
8개월째 대표 권한대행 체제인 조국혁신당은 조국 전 대표 사면을 환영했습니다.
[김선민/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 : "대통령님의 고심어린 결정에 감사드립니다. 위로와 통합의 계기가 되길 기원합니다."]
이재명 정부 성공을 뒷받침할 개혁에 동력이 생겼다며 검찰 개혁 등 5대 개혁 완수를 다짐했습니다.
국민의힘은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퇴색시킨 최악의 정치 사면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조 전 대표 사면은 "정권교체 포상용", 윤미향 전 의원 사면은 "국민에 대한 감정적 도전"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송언석/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 "오만과 독선으로 단행한 이번 광복절 특사는 대통령 사면권 남용의 흑역사로 오래 기록될 것입니다."]
개혁신당은 "운동권 청구서를 받아 든 것", "국민 통합이 아닌 우롱"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진보 진영인 정의당도 반대 입장을 냈는데, '공정'과 '책임'의 기준을 무너뜨리는 사면이라고 했습니다.
시민단체들도 "사회적 논란과 분열 초래", "국민 우려를 무시한 부적절한 사면"이라고 잇따라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오승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훈 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 “정치검찰 피해자 명예회복”…야 “사면권 남용 흑역사”
-
- 입력 2025-08-11 23:04:35
- 수정2025-08-11 23:09:24

[앵커]
특별사면 대상 발표에 여야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을 존중한단 뜻을 밝혔지만, 국민의힘은 사면권 남용의 흑역사가 될 거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주당은 이번 사면을 '정치 검찰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 회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검찰의 무리한 수사와 기소로 고통받던 사면 대상자들이 명예를 되찾는 건 당연하단 겁니다.
[박수현/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내란을 종식해야 하는 정부인만큼 검찰 독재의 무도한 탄압 수사로 고통받은 피해자들의 삶과 명예를 되돌려드리고자..."]
정치인 사면 논란에 '지지'와 '비판'이 있을 거라며 모든 목소리를 소중히 듣겠다고 몸을 낮췄습니다.
8개월째 대표 권한대행 체제인 조국혁신당은 조국 전 대표 사면을 환영했습니다.
[김선민/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 : "대통령님의 고심어린 결정에 감사드립니다. 위로와 통합의 계기가 되길 기원합니다."]
이재명 정부 성공을 뒷받침할 개혁에 동력이 생겼다며 검찰 개혁 등 5대 개혁 완수를 다짐했습니다.
국민의힘은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퇴색시킨 최악의 정치 사면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조 전 대표 사면은 "정권교체 포상용", 윤미향 전 의원 사면은 "국민에 대한 감정적 도전"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송언석/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 "오만과 독선으로 단행한 이번 광복절 특사는 대통령 사면권 남용의 흑역사로 오래 기록될 것입니다."]
개혁신당은 "운동권 청구서를 받아 든 것", "국민 통합이 아닌 우롱"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진보 진영인 정의당도 반대 입장을 냈는데, '공정'과 '책임'의 기준을 무너뜨리는 사면이라고 했습니다.
시민단체들도 "사회적 논란과 분열 초래", "국민 우려를 무시한 부적절한 사면"이라고 잇따라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오승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훈 고석훈
특별사면 대상 발표에 여야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을 존중한단 뜻을 밝혔지만, 국민의힘은 사면권 남용의 흑역사가 될 거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주당은 이번 사면을 '정치 검찰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 회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검찰의 무리한 수사와 기소로 고통받던 사면 대상자들이 명예를 되찾는 건 당연하단 겁니다.
[박수현/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내란을 종식해야 하는 정부인만큼 검찰 독재의 무도한 탄압 수사로 고통받은 피해자들의 삶과 명예를 되돌려드리고자..."]
정치인 사면 논란에 '지지'와 '비판'이 있을 거라며 모든 목소리를 소중히 듣겠다고 몸을 낮췄습니다.
8개월째 대표 권한대행 체제인 조국혁신당은 조국 전 대표 사면을 환영했습니다.
[김선민/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 : "대통령님의 고심어린 결정에 감사드립니다. 위로와 통합의 계기가 되길 기원합니다."]
이재명 정부 성공을 뒷받침할 개혁에 동력이 생겼다며 검찰 개혁 등 5대 개혁 완수를 다짐했습니다.
국민의힘은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퇴색시킨 최악의 정치 사면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조 전 대표 사면은 "정권교체 포상용", 윤미향 전 의원 사면은 "국민에 대한 감정적 도전"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송언석/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 "오만과 독선으로 단행한 이번 광복절 특사는 대통령 사면권 남용의 흑역사로 오래 기록될 것입니다."]
개혁신당은 "운동권 청구서를 받아 든 것", "국민 통합이 아닌 우롱"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진보 진영인 정의당도 반대 입장을 냈는데, '공정'과 '책임'의 기준을 무너뜨리는 사면이라고 했습니다.
시민단체들도 "사회적 논란과 분열 초래", "국민 우려를 무시한 부적절한 사면"이라고 잇따라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오승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훈 고석훈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