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0만 원 아동수당 늘린다…2030년 만 13세 미만까지
입력 2025.08.13 (21:35)
수정 2025.08.13 (21: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3일) 나온 국정 과제엔 아동수당을 확대하겠단 내용도 담겼습니다.
지금은 8살 미만까지 수당을 받지만, 5년 뒤엔 13살 미만까지 수당을 받도록 하겠단 겁니다.
이렇게 하려면 1년에 2조 원 정도가 더 필요합니다.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만 6살 아이를 둔 이 학부모는 매달 받는 아동수당 10만 원을 주로 교육비로 씁니다.
아이가 클수록 돈이 많이 들어가는데 아동수당은 2년 뒤면 끊깁니다.
아동수당을 받는 부모 절반 이상은 '지원 기간 확대'를 개선 과제로 꼽았습니다.
[이○○/학부모/음성변조 : "초등학교 들어가고 하면 태권도 학원이라도 가게 되고 애들이 커갈 때 들어가는 돈은 더 많은데 지급받는 돈은 줄어들게 되니까. 조금이라도 (지원 기간이) 는다면 도움이 많이 되죠."]
국정기획위원회가 아동수당 수급 대상을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행 만 8세 미만에서 향후 5년간 단계적으로 13세 미만까지 대상자를 늘립니다.
2030년엔 초등학교 6학년까지 130만여 명이 추가 혜택을 볼 거로 추산됩니다.
그동안 확대 필요성에 공감대는 있었지만 재원 마련이 숙제입니다.
한 해 아동수당 예산은 2조 5천억 원, 대상 연령을 한 살 올리면 5천억 정도 늘어납니다.
만 13세 미만으로 올릴 경우 2조 원 이상 더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런 재원 부담 때문에 유럽 대부분 나라들처럼 만 18세 미만까지 아동수당을 확대하겠다던 대선 공약에서 후퇴한 걸로 보입니다.
[이상민/나라살림연구소 연구위원 :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출생 대책을 정비하면서 아동수당으로 통폐합하는 방법이 있고, 내수가 안 좋다고 판단된다면 재정 확대는 해야 한다."]
주무 부처인 복지부는 아동수당법 개정 상황에 따라 내년도 지급 연령을 정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조영천/영상편집:이웅/그래픽:박미주
오늘(13일) 나온 국정 과제엔 아동수당을 확대하겠단 내용도 담겼습니다.
지금은 8살 미만까지 수당을 받지만, 5년 뒤엔 13살 미만까지 수당을 받도록 하겠단 겁니다.
이렇게 하려면 1년에 2조 원 정도가 더 필요합니다.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만 6살 아이를 둔 이 학부모는 매달 받는 아동수당 10만 원을 주로 교육비로 씁니다.
아이가 클수록 돈이 많이 들어가는데 아동수당은 2년 뒤면 끊깁니다.
아동수당을 받는 부모 절반 이상은 '지원 기간 확대'를 개선 과제로 꼽았습니다.
[이○○/학부모/음성변조 : "초등학교 들어가고 하면 태권도 학원이라도 가게 되고 애들이 커갈 때 들어가는 돈은 더 많은데 지급받는 돈은 줄어들게 되니까. 조금이라도 (지원 기간이) 는다면 도움이 많이 되죠."]
국정기획위원회가 아동수당 수급 대상을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행 만 8세 미만에서 향후 5년간 단계적으로 13세 미만까지 대상자를 늘립니다.
2030년엔 초등학교 6학년까지 130만여 명이 추가 혜택을 볼 거로 추산됩니다.
그동안 확대 필요성에 공감대는 있었지만 재원 마련이 숙제입니다.
한 해 아동수당 예산은 2조 5천억 원, 대상 연령을 한 살 올리면 5천억 정도 늘어납니다.
만 13세 미만으로 올릴 경우 2조 원 이상 더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런 재원 부담 때문에 유럽 대부분 나라들처럼 만 18세 미만까지 아동수당을 확대하겠다던 대선 공약에서 후퇴한 걸로 보입니다.
[이상민/나라살림연구소 연구위원 :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출생 대책을 정비하면서 아동수당으로 통폐합하는 방법이 있고, 내수가 안 좋다고 판단된다면 재정 확대는 해야 한다."]
주무 부처인 복지부는 아동수당법 개정 상황에 따라 내년도 지급 연령을 정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조영천/영상편집:이웅/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 10만 원 아동수당 늘린다…2030년 만 13세 미만까지
-
- 입력 2025-08-13 21:35:34
- 수정2025-08-13 21:42:28

[앵커]
오늘(13일) 나온 국정 과제엔 아동수당을 확대하겠단 내용도 담겼습니다.
지금은 8살 미만까지 수당을 받지만, 5년 뒤엔 13살 미만까지 수당을 받도록 하겠단 겁니다.
이렇게 하려면 1년에 2조 원 정도가 더 필요합니다.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만 6살 아이를 둔 이 학부모는 매달 받는 아동수당 10만 원을 주로 교육비로 씁니다.
아이가 클수록 돈이 많이 들어가는데 아동수당은 2년 뒤면 끊깁니다.
아동수당을 받는 부모 절반 이상은 '지원 기간 확대'를 개선 과제로 꼽았습니다.
[이○○/학부모/음성변조 : "초등학교 들어가고 하면 태권도 학원이라도 가게 되고 애들이 커갈 때 들어가는 돈은 더 많은데 지급받는 돈은 줄어들게 되니까. 조금이라도 (지원 기간이) 는다면 도움이 많이 되죠."]
국정기획위원회가 아동수당 수급 대상을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행 만 8세 미만에서 향후 5년간 단계적으로 13세 미만까지 대상자를 늘립니다.
2030년엔 초등학교 6학년까지 130만여 명이 추가 혜택을 볼 거로 추산됩니다.
그동안 확대 필요성에 공감대는 있었지만 재원 마련이 숙제입니다.
한 해 아동수당 예산은 2조 5천억 원, 대상 연령을 한 살 올리면 5천억 정도 늘어납니다.
만 13세 미만으로 올릴 경우 2조 원 이상 더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런 재원 부담 때문에 유럽 대부분 나라들처럼 만 18세 미만까지 아동수당을 확대하겠다던 대선 공약에서 후퇴한 걸로 보입니다.
[이상민/나라살림연구소 연구위원 :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출생 대책을 정비하면서 아동수당으로 통폐합하는 방법이 있고, 내수가 안 좋다고 판단된다면 재정 확대는 해야 한다."]
주무 부처인 복지부는 아동수당법 개정 상황에 따라 내년도 지급 연령을 정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조영천/영상편집:이웅/그래픽:박미주
오늘(13일) 나온 국정 과제엔 아동수당을 확대하겠단 내용도 담겼습니다.
지금은 8살 미만까지 수당을 받지만, 5년 뒤엔 13살 미만까지 수당을 받도록 하겠단 겁니다.
이렇게 하려면 1년에 2조 원 정도가 더 필요합니다.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만 6살 아이를 둔 이 학부모는 매달 받는 아동수당 10만 원을 주로 교육비로 씁니다.
아이가 클수록 돈이 많이 들어가는데 아동수당은 2년 뒤면 끊깁니다.
아동수당을 받는 부모 절반 이상은 '지원 기간 확대'를 개선 과제로 꼽았습니다.
[이○○/학부모/음성변조 : "초등학교 들어가고 하면 태권도 학원이라도 가게 되고 애들이 커갈 때 들어가는 돈은 더 많은데 지급받는 돈은 줄어들게 되니까. 조금이라도 (지원 기간이) 는다면 도움이 많이 되죠."]
국정기획위원회가 아동수당 수급 대상을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행 만 8세 미만에서 향후 5년간 단계적으로 13세 미만까지 대상자를 늘립니다.
2030년엔 초등학교 6학년까지 130만여 명이 추가 혜택을 볼 거로 추산됩니다.
그동안 확대 필요성에 공감대는 있었지만 재원 마련이 숙제입니다.
한 해 아동수당 예산은 2조 5천억 원, 대상 연령을 한 살 올리면 5천억 정도 늘어납니다.
만 13세 미만으로 올릴 경우 2조 원 이상 더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런 재원 부담 때문에 유럽 대부분 나라들처럼 만 18세 미만까지 아동수당을 확대하겠다던 대선 공약에서 후퇴한 걸로 보입니다.
[이상민/나라살림연구소 연구위원 :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출생 대책을 정비하면서 아동수당으로 통폐합하는 방법이 있고, 내수가 안 좋다고 판단된다면 재정 확대는 해야 한다."]
주무 부처인 복지부는 아동수당법 개정 상황에 따라 내년도 지급 연령을 정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조영천/영상편집:이웅/그래픽:박미주
-
-
김성수 기자 ssoo@kbs.co.kr
김성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