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황사 국제 공조 절실

입력 2006.04.11 (08: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상수 해설위원]

지난 주말 기상청의 예보만 믿고 봄나들이에 나섰던 국민들은 전국에 휘몰아친 최악의 황사 때문에 곤혹을 치렀습니다.

이번에 기습한 황사는 서울의 미세 먼지 농도가 평소보다 20배를 넘을 정도로 심했습니다.

눈을 제대로 뜰 수도, 숨을 제대로 쉴 수도 없었고, 병원마다 눈이나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줄을 이었습니다.

사정이 이러한 데도 기상청이 이번 황사 때 뒷북만치며 허둥댄 것은 황사에 대한 사전 정보가 거의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기상청은 당초 지난 주말에 ‘황사와 관련해 특보가 발효될 가능성은 없다’고 전망했지만, 황사가 기습한 지난 8일 새벽부터 지난 9일 새벽까지 무려 16차례의 황사 관련 특보를 내림으로써 기상청의 예보시스템에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습니다.

기상청은 이에 대해 이번 황사의 이동 경로가 보통 때와는 달랐기 때문이라고 해명하고 있습니다.

황사는 지금까지 내몽골이나 황토고원, 만주에서 발생해 서풍을 타고 산둥반도와 발해만을 거쳐 서해를 통해 들어왔지만,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만주와 북한을 거쳐 바로 남쪽으로 내려왔다고 기상청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북한이나 만주 쪽의 황사에 대한 정보를 기상청이 전혀 받을 수 없었다는 점입니다.

현재 한국과 중국은 황사 공동관측소를 다섯 곳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지만, 북한 쪽에는 공동관측소도 없고 황사 정보도 받을 수 없는 형편입니다.

따라서 황사 정보 공유와 예보 강화를 위한 국제적 공조의 확대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현재 황사 문제를 협의하는 한·중·일 환경장관회의를 북한과 몽골, 러시아가 참여하는 ‘동북아환경장관회의’로 확대 운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황사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으로는 중국 대륙의 사막화를 막는 것이지만 사막화는 갈수록 확산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를 위해 대규모 조림 사업과 함께 초원의 영구 목축 금지 지역 확대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중국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역부족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황사 발생 빈도도 해마다 높아져 지난해에는 9건으로 지난 2003년의 2건에 비해 4.5배에 이르렀으며, 올해도 이미 네 차례나 발생했습니다.

국제사회의 공조와 지원이 없으면 황사로 인한 동북아시아의 환경 재앙은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내일쯤에도 또 다른 황사가 예상되며, 올 봄에는 대규모 황사가 2~3차례 더 있을 것이라고 기상청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장비와 인력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대비책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예기치 않은 황사에 대비해 국민 스스로도 사전 대비와 위생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황사 국제 공조 절실
    • 입력 2006-04-11 08:07:11
    뉴스광장
[박상수 해설위원] 지난 주말 기상청의 예보만 믿고 봄나들이에 나섰던 국민들은 전국에 휘몰아친 최악의 황사 때문에 곤혹을 치렀습니다. 이번에 기습한 황사는 서울의 미세 먼지 농도가 평소보다 20배를 넘을 정도로 심했습니다. 눈을 제대로 뜰 수도, 숨을 제대로 쉴 수도 없었고, 병원마다 눈이나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줄을 이었습니다. 사정이 이러한 데도 기상청이 이번 황사 때 뒷북만치며 허둥댄 것은 황사에 대한 사전 정보가 거의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기상청은 당초 지난 주말에 ‘황사와 관련해 특보가 발효될 가능성은 없다’고 전망했지만, 황사가 기습한 지난 8일 새벽부터 지난 9일 새벽까지 무려 16차례의 황사 관련 특보를 내림으로써 기상청의 예보시스템에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습니다. 기상청은 이에 대해 이번 황사의 이동 경로가 보통 때와는 달랐기 때문이라고 해명하고 있습니다. 황사는 지금까지 내몽골이나 황토고원, 만주에서 발생해 서풍을 타고 산둥반도와 발해만을 거쳐 서해를 통해 들어왔지만,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만주와 북한을 거쳐 바로 남쪽으로 내려왔다고 기상청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북한이나 만주 쪽의 황사에 대한 정보를 기상청이 전혀 받을 수 없었다는 점입니다. 현재 한국과 중국은 황사 공동관측소를 다섯 곳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지만, 북한 쪽에는 공동관측소도 없고 황사 정보도 받을 수 없는 형편입니다. 따라서 황사 정보 공유와 예보 강화를 위한 국제적 공조의 확대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현재 황사 문제를 협의하는 한·중·일 환경장관회의를 북한과 몽골, 러시아가 참여하는 ‘동북아환경장관회의’로 확대 운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황사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으로는 중국 대륙의 사막화를 막는 것이지만 사막화는 갈수록 확산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를 위해 대규모 조림 사업과 함께 초원의 영구 목축 금지 지역 확대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중국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역부족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황사 발생 빈도도 해마다 높아져 지난해에는 9건으로 지난 2003년의 2건에 비해 4.5배에 이르렀으며, 올해도 이미 네 차례나 발생했습니다. 국제사회의 공조와 지원이 없으면 황사로 인한 동북아시아의 환경 재앙은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내일쯤에도 또 다른 황사가 예상되며, 올 봄에는 대규모 황사가 2~3차례 더 있을 것이라고 기상청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장비와 인력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대비책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예기치 않은 황사에 대비해 국민 스스로도 사전 대비와 위생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