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자 몰린 모로코 아미즈미즈, 여전한 공포
입력 2023.09.17 (07:03)
수정 2023.09.17 (07: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모로코 지진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오늘로 지진이 발생한 지 10일째입니다.
KBS 취재진이 이번 지진 최대 피해 지역 중 한 곳을 찾았는데요.
폭격을 당한 것보다 더 참혹한 현장이었습니다.
김귀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사막을 가로질러 도착한 아틀라스산맥 기슭의 마을 아미즈미즈.
진앙지에서 불과 20km 떨어진 곳입니다.
마을은 완전히 파괴됐습니다.
폐허 더미 위의 교과서, 이 책으로 공부하던 아이의 생사는 알 수가 없습니다.
모스크는 무너지진 않았지만 크게 파손됐습니다.
들어가지 못하고 그 앞에서만 기도를 올립니다.
발 닿는 곳 모두가 폐허입니다.
아미즈미즈는 이번 지진에서 가장 피해가 큰 곳 중 한 곳입니다. 제 뒤로 보이시는 것처럼 전쟁터보다 더 처참한 광경이 펼쳐져 있습니다.
전체 주민의 5분의 1인 4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건물, 주민들은 텐트에서 생활합니다.
잠시 숨은 돌렸지만 기약없는 텐트 생활에 곧 닥칠 추위가 걱정입니다.
[카디자 아바크/아미즈미즈 주민 : "다가오는 추위를 견디지 못할 것 같아요. 아미즈미즈의 추위는 극심합니다."]
희생자도 많지만 생사를 알 수 없는 사람은 더 많습니다.
아버지는 그런 아들을 애타게 찾습니다.
[압사마데네르 : "아들아, 너무 보고 싶다. 아빠와 엄마는 너무 슬프단다. 우리는 미칠 것 같다. 어디 있는 거니? 제발 집으로 돌아와라."]
모로코 당국은 지난 14일 3천 명 가깝게 사망자가 늘었다고 한 뒤 더 이상 정확한 희생자 숫자를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모로코 아미즈미즈에서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촬영:김영환/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서호정
모로코 지진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오늘로 지진이 발생한 지 10일째입니다.
KBS 취재진이 이번 지진 최대 피해 지역 중 한 곳을 찾았는데요.
폭격을 당한 것보다 더 참혹한 현장이었습니다.
김귀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사막을 가로질러 도착한 아틀라스산맥 기슭의 마을 아미즈미즈.
진앙지에서 불과 20km 떨어진 곳입니다.
마을은 완전히 파괴됐습니다.
폐허 더미 위의 교과서, 이 책으로 공부하던 아이의 생사는 알 수가 없습니다.
모스크는 무너지진 않았지만 크게 파손됐습니다.
들어가지 못하고 그 앞에서만 기도를 올립니다.
발 닿는 곳 모두가 폐허입니다.
아미즈미즈는 이번 지진에서 가장 피해가 큰 곳 중 한 곳입니다. 제 뒤로 보이시는 것처럼 전쟁터보다 더 처참한 광경이 펼쳐져 있습니다.
전체 주민의 5분의 1인 4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건물, 주민들은 텐트에서 생활합니다.
잠시 숨은 돌렸지만 기약없는 텐트 생활에 곧 닥칠 추위가 걱정입니다.
[카디자 아바크/아미즈미즈 주민 : "다가오는 추위를 견디지 못할 것 같아요. 아미즈미즈의 추위는 극심합니다."]
희생자도 많지만 생사를 알 수 없는 사람은 더 많습니다.
아버지는 그런 아들을 애타게 찾습니다.
[압사마데네르 : "아들아, 너무 보고 싶다. 아빠와 엄마는 너무 슬프단다. 우리는 미칠 것 같다. 어디 있는 거니? 제발 집으로 돌아와라."]
모로코 당국은 지난 14일 3천 명 가깝게 사망자가 늘었다고 한 뒤 더 이상 정확한 희생자 숫자를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모로코 아미즈미즈에서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촬영:김영환/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서호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희생자 몰린 모로코 아미즈미즈, 여전한 공포
-
- 입력 2023-09-17 07:03:30
- 수정2023-09-17 07:23:00

[앵커]
모로코 지진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오늘로 지진이 발생한 지 10일째입니다.
KBS 취재진이 이번 지진 최대 피해 지역 중 한 곳을 찾았는데요.
폭격을 당한 것보다 더 참혹한 현장이었습니다.
김귀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사막을 가로질러 도착한 아틀라스산맥 기슭의 마을 아미즈미즈.
진앙지에서 불과 20km 떨어진 곳입니다.
마을은 완전히 파괴됐습니다.
폐허 더미 위의 교과서, 이 책으로 공부하던 아이의 생사는 알 수가 없습니다.
모스크는 무너지진 않았지만 크게 파손됐습니다.
들어가지 못하고 그 앞에서만 기도를 올립니다.
발 닿는 곳 모두가 폐허입니다.
아미즈미즈는 이번 지진에서 가장 피해가 큰 곳 중 한 곳입니다. 제 뒤로 보이시는 것처럼 전쟁터보다 더 처참한 광경이 펼쳐져 있습니다.
전체 주민의 5분의 1인 4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건물, 주민들은 텐트에서 생활합니다.
잠시 숨은 돌렸지만 기약없는 텐트 생활에 곧 닥칠 추위가 걱정입니다.
[카디자 아바크/아미즈미즈 주민 : "다가오는 추위를 견디지 못할 것 같아요. 아미즈미즈의 추위는 극심합니다."]
희생자도 많지만 생사를 알 수 없는 사람은 더 많습니다.
아버지는 그런 아들을 애타게 찾습니다.
[압사마데네르 : "아들아, 너무 보고 싶다. 아빠와 엄마는 너무 슬프단다. 우리는 미칠 것 같다. 어디 있는 거니? 제발 집으로 돌아와라."]
모로코 당국은 지난 14일 3천 명 가깝게 사망자가 늘었다고 한 뒤 더 이상 정확한 희생자 숫자를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모로코 아미즈미즈에서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촬영:김영환/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서호정
모로코 지진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오늘로 지진이 발생한 지 10일째입니다.
KBS 취재진이 이번 지진 최대 피해 지역 중 한 곳을 찾았는데요.
폭격을 당한 것보다 더 참혹한 현장이었습니다.
김귀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사막을 가로질러 도착한 아틀라스산맥 기슭의 마을 아미즈미즈.
진앙지에서 불과 20km 떨어진 곳입니다.
마을은 완전히 파괴됐습니다.
폐허 더미 위의 교과서, 이 책으로 공부하던 아이의 생사는 알 수가 없습니다.
모스크는 무너지진 않았지만 크게 파손됐습니다.
들어가지 못하고 그 앞에서만 기도를 올립니다.
발 닿는 곳 모두가 폐허입니다.
아미즈미즈는 이번 지진에서 가장 피해가 큰 곳 중 한 곳입니다. 제 뒤로 보이시는 것처럼 전쟁터보다 더 처참한 광경이 펼쳐져 있습니다.
전체 주민의 5분의 1인 4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건물, 주민들은 텐트에서 생활합니다.
잠시 숨은 돌렸지만 기약없는 텐트 생활에 곧 닥칠 추위가 걱정입니다.
[카디자 아바크/아미즈미즈 주민 : "다가오는 추위를 견디지 못할 것 같아요. 아미즈미즈의 추위는 극심합니다."]
희생자도 많지만 생사를 알 수 없는 사람은 더 많습니다.
아버지는 그런 아들을 애타게 찾습니다.
[압사마데네르 : "아들아, 너무 보고 싶다. 아빠와 엄마는 너무 슬프단다. 우리는 미칠 것 같다. 어디 있는 거니? 제발 집으로 돌아와라."]
모로코 당국은 지난 14일 3천 명 가깝게 사망자가 늘었다고 한 뒤 더 이상 정확한 희생자 숫자를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모로코 아미즈미즈에서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촬영:김영환/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서호정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