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코로나 이후 기업들, 가격 인상 폭 줄인 대신 빈도 늘려”

입력 2024.03.11 (12:00) 수정 2024.03.11 (1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국내 기업들의 상품 가격 인상 폭은 이전과 비교해 크게 늘지 않았지만, 인상 빈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의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는 월평균 11% 수준(2018~2021년)에서 팬데믹 기간 15.6%(2022~2023년)로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평균적인 상품 가격 유지 기간이 평균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는 뜻입니다.

반면 가격 인하 빈도와 가격조정폭(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전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고 한은은 밝혔습니다.

국내 생필품 가격 인상률은 이 기간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수준에서 유지됐습니다.

한은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과 민감도, 경쟁 제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함에 따라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인플레이션 기간에 할인 등 일시적 가격 조정이 증가하며 동일 상품에 대한 판매처별 가격 편차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기업들이 고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가격 인상 빈도를 높이는 동시에 재고 상황, 고물가 등으로 인한 수요 변화 등에 따라 할인 등 일시적인 가격 조정을 활용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기업의 가격조정 행태에는 유가 상승 등의 충격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분석 결과 최근 우리 경제가 경험한 것처럼 유가 급등 같은 큰 충격이 발생하거나 팬데믹 과정에서 여러 복합적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일반적인 상황에서와는 달리 빠르게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최근과 같이 물가가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당폭 웃도는 상황에서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와 함께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가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상당폭 웃돌고 있다”며 “향후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코로나 이후 기업들, 가격 인상 폭 줄인 대신 빈도 늘려”
    • 입력 2024-03-11 12:00:36
    • 수정2024-03-11 12:06:14
    경제
코로나19 유행 이후 국내 기업들의 상품 가격 인상 폭은 이전과 비교해 크게 늘지 않았지만, 인상 빈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의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는 월평균 11% 수준(2018~2021년)에서 팬데믹 기간 15.6%(2022~2023년)로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평균적인 상품 가격 유지 기간이 평균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는 뜻입니다.

반면 가격 인하 빈도와 가격조정폭(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전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고 한은은 밝혔습니다.

국내 생필품 가격 인상률은 이 기간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수준에서 유지됐습니다.

한은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과 민감도, 경쟁 제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함에 따라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인플레이션 기간에 할인 등 일시적 가격 조정이 증가하며 동일 상품에 대한 판매처별 가격 편차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기업들이 고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가격 인상 빈도를 높이는 동시에 재고 상황, 고물가 등으로 인한 수요 변화 등에 따라 할인 등 일시적인 가격 조정을 활용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기업의 가격조정 행태에는 유가 상승 등의 충격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분석 결과 최근 우리 경제가 경험한 것처럼 유가 급등 같은 큰 충격이 발생하거나 팬데믹 과정에서 여러 복합적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일반적인 상황에서와는 달리 빠르게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최근과 같이 물가가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당폭 웃도는 상황에서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와 함께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가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상당폭 웃돌고 있다”며 “향후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