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 실수해도 괜찮아요”…치매 환자 보듬는 ‘기억다방’

입력 2024.06.16 (21:33) 수정 2024.06.16 (2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주문을 잘못 받아도 서로 이해하고 넘어가는 특별한 카페가 있습니다.

치매 어르신들이 일하는 '기억다방'인데요.

치매 환자들은 사회 활동이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있는 이 카페를 이예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나 못 보는 줄 알았어."]

찾아온 손님을 반갑게 맞이하고.

["아버님! 커피~"]

손수 만든 커피를 간식과 함께 내어줍니다.

5년 전 치매 진단을 받은 77살 이정순 씨입니다.

이 씨의 일터는 지자체 치매안심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억다방'.

경증 치매를 앓는 어르신들이 바리스타로 일하는 곳입니다.

주문과 다른 음료가 나와도 이해하고 넘기는 건 이곳만의 특별한 규칙입니다.

["잘못 탔을 수도 있어요. 그러니까 이해하고 드세요."]

한때 집 가는 길조차 기억 못 하던 이 씨도 이곳에서 일하며 어엿한 바리스타가 됐습니다.

[이정순/'기억다방' 바리스타 : "개봉역에서 내려야 하는데, 개봉역이 머리가 하얘 갖고 생각이 안 나는 거예요."]

2018년 처음 문을 연 기억다방은 이젠 서울에 모두 9곳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정순/'기억다방' 바리스타 : "집에서는 '다방 나가더니 얼굴이 더 예뻐졌어' 이래요. 이 다방이, 커피숍이 너무 행복하고 너무 좋아요."]

치매를 겪어도 사회구성원으로 활동할 수 있단 인식을 알리는 게 기억 다방의 목표입니다.

[이하람/서울 구로구 치매안심센터 간호사 : "미리 조기 검진을 받게 되면 예방을 할 수도 있고. 그 다음에 치료·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생각하시기보다는 (치매안심센터에) 오셔서 검사를 하시고."]

국내 치매 환자는 지난해 98만 명.

치매 환자들은 '기억다방'에서 일하며 사회적 편견과 오해를 함께 극복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린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양다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문 실수해도 괜찮아요”…치매 환자 보듬는 ‘기억다방’
    • 입력 2024-06-16 21:33:37
    • 수정2024-06-16 21:47:10
    뉴스 9
[앵커]

주문을 잘못 받아도 서로 이해하고 넘어가는 특별한 카페가 있습니다.

치매 어르신들이 일하는 '기억다방'인데요.

치매 환자들은 사회 활동이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있는 이 카페를 이예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나 못 보는 줄 알았어."]

찾아온 손님을 반갑게 맞이하고.

["아버님! 커피~"]

손수 만든 커피를 간식과 함께 내어줍니다.

5년 전 치매 진단을 받은 77살 이정순 씨입니다.

이 씨의 일터는 지자체 치매안심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억다방'.

경증 치매를 앓는 어르신들이 바리스타로 일하는 곳입니다.

주문과 다른 음료가 나와도 이해하고 넘기는 건 이곳만의 특별한 규칙입니다.

["잘못 탔을 수도 있어요. 그러니까 이해하고 드세요."]

한때 집 가는 길조차 기억 못 하던 이 씨도 이곳에서 일하며 어엿한 바리스타가 됐습니다.

[이정순/'기억다방' 바리스타 : "개봉역에서 내려야 하는데, 개봉역이 머리가 하얘 갖고 생각이 안 나는 거예요."]

2018년 처음 문을 연 기억다방은 이젠 서울에 모두 9곳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정순/'기억다방' 바리스타 : "집에서는 '다방 나가더니 얼굴이 더 예뻐졌어' 이래요. 이 다방이, 커피숍이 너무 행복하고 너무 좋아요."]

치매를 겪어도 사회구성원으로 활동할 수 있단 인식을 알리는 게 기억 다방의 목표입니다.

[이하람/서울 구로구 치매안심센터 간호사 : "미리 조기 검진을 받게 되면 예방을 할 수도 있고. 그 다음에 치료·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생각하시기보다는 (치매안심센터에) 오셔서 검사를 하시고."]

국내 치매 환자는 지난해 98만 명.

치매 환자들은 '기억다방'에서 일하며 사회적 편견과 오해를 함께 극복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린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양다운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