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장 등 9개 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 여부 조사”

입력 2025.02.03 (08:42) 수정 2025.02.03 (08: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을 달궈 도구를 만드는 대장장과 김을 양식하는 어업 활동 등이 국가무형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는지 평가를 받을 예정입니다.

국가유산청은 올해 9개 종목을 대상으로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 지정을 위한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오늘(3일) 밝혔습니다.

조사 대상은 ‘대장장’, ‘선화’(禪畵), ‘물때지식’, ‘해조류 채취와 전통어촌공동체’, ‘덕장과 건조기술’, ‘한국의 호미문화’, ‘마을숲과 전통지식’, ‘전통관개 지식과 문화’, ‘김 양식 어업’ 등입니다.

대장장은 전통 철물 제작 기술을 보유·전승하는 장인이나 그런 기술을 말합니다.

충남에서는 산업화로 점차 사라져가는 야장 기술의 맥을 100년 넘게 이어온 당진 대장장의 가치를 인정해 2016년 시도 무형유산으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선화는 불교에서 선(禪)을 수행하는 과정의 하나로, 특정 화법이나 서법에 얽매이지 않고 깨달음을 자유롭게 형상화한 불교 회화다. 현재 부산시 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선화는 지난해 지정 조사 대상에 포함됐으나, 조사가 완료되지 않아 올해도 포함됐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조사 대상이 된 종목에는 예부터 내려온 전통 지식을 바탕으로 한 유산이 다수 포함됐습니다.

물때지식은 우리나라 바다의 조석 간만 차이에 대한 지식으로, 해안가 주민의 생업·문화 등 일상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는 부분입니다.

호미 문화는 전통 농기구인 호미의 역사, 사용 방식 등을 아우르며, 마을숲과 전통지식은 마을 공동체의 주요 공간인 숲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보여주는 무형유산입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별도로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 전승 종목을 위주로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들여다볼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국가유산청은 올해 전통 예능·기술 분야 31개 종목의 전승자 현황도 조사할 예정입니다.

새로 보유자를 뽑는 종목은 ‘거문고산조’, ‘서도소리’, ‘승무’, ‘경기민요’, ‘가야금산조 및 병창(병창)’, ‘대금정악’, ‘누비장’, ‘전통장’, ‘옹기장’ 등입니다.

경기민요는 2023년 보유자 2명을 인정했으나 당시 일부 전승자를 중심으로 ‘유파별 보유자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의 탈춤’에 포함된 ‘북청사자놀음’, ‘하회별신굿탈놀이’, ‘양주별산대놀이’ 등 15개 종목은 전승교육사를 인정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장장 등 9개 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 여부 조사”
    • 입력 2025-02-03 08:42:32
    • 수정2025-02-03 08:44:52
    문화
철을 달궈 도구를 만드는 대장장과 김을 양식하는 어업 활동 등이 국가무형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는지 평가를 받을 예정입니다.

국가유산청은 올해 9개 종목을 대상으로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 지정을 위한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오늘(3일) 밝혔습니다.

조사 대상은 ‘대장장’, ‘선화’(禪畵), ‘물때지식’, ‘해조류 채취와 전통어촌공동체’, ‘덕장과 건조기술’, ‘한국의 호미문화’, ‘마을숲과 전통지식’, ‘전통관개 지식과 문화’, ‘김 양식 어업’ 등입니다.

대장장은 전통 철물 제작 기술을 보유·전승하는 장인이나 그런 기술을 말합니다.

충남에서는 산업화로 점차 사라져가는 야장 기술의 맥을 100년 넘게 이어온 당진 대장장의 가치를 인정해 2016년 시도 무형유산으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선화는 불교에서 선(禪)을 수행하는 과정의 하나로, 특정 화법이나 서법에 얽매이지 않고 깨달음을 자유롭게 형상화한 불교 회화다. 현재 부산시 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선화는 지난해 지정 조사 대상에 포함됐으나, 조사가 완료되지 않아 올해도 포함됐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조사 대상이 된 종목에는 예부터 내려온 전통 지식을 바탕으로 한 유산이 다수 포함됐습니다.

물때지식은 우리나라 바다의 조석 간만 차이에 대한 지식으로, 해안가 주민의 생업·문화 등 일상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는 부분입니다.

호미 문화는 전통 농기구인 호미의 역사, 사용 방식 등을 아우르며, 마을숲과 전통지식은 마을 공동체의 주요 공간인 숲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보여주는 무형유산입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별도로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 전승 종목을 위주로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들여다볼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국가유산청은 올해 전통 예능·기술 분야 31개 종목의 전승자 현황도 조사할 예정입니다.

새로 보유자를 뽑는 종목은 ‘거문고산조’, ‘서도소리’, ‘승무’, ‘경기민요’, ‘가야금산조 및 병창(병창)’, ‘대금정악’, ‘누비장’, ‘전통장’, ‘옹기장’ 등입니다.

경기민요는 2023년 보유자 2명을 인정했으나 당시 일부 전승자를 중심으로 ‘유파별 보유자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의 탈춤’에 포함된 ‘북청사자놀음’, ‘하회별신굿탈놀이’, ‘양주별산대놀이’ 등 15개 종목은 전승교육사를 인정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