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입력 2025.03.31 (19:21)
수정 2025.03.31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불 피해 농업인의 영농 활동 재개를 위해 농기계 무상 임대, 농축산 경영 자금 상환 연기 등 지원 대책을 추진한다고 오늘(31일) 밝혔습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피해 조사를 바탕으로 즉시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기존 제도와 틀을 넘어서는 지원 방안도 검토해 관계 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21일부터 어제(30일)까지 일어난 산불로 경북에서는 여의도 면적의 5배에 해당하는 과수원 1,490㏊가 불에 탔고, 기타 작물은 56㏊가 피해를 보았습니다.
또 시설하우스 290동과 부대시설 958동, 농기계 2,639대, 유통·가공시설 7곳이 손실됐습니다.
이밖에 축사 71동이 불타 돼지 2만 4천 마리와 닭 5만 2천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경남에서는 재해보험 산정 기준으로 시설하우스 3건과 창고 1건, 양봉 100군 등의 피해가 집계됐습니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 초 지자체 조사와 중앙합동 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에 앞서 농식품부는 농업인의 영농 재개를 위한 긴급 지원 대책을 추진합니다.
농식품부는 시군 농기계 임대사업소와 지역농협 농기계 은행을 통해 피해 농가에 농기계를 무상으로 임대합니다.
부족한 농기계는 농기계 회사, 다른 지역 농기계 임대사업소를 통해 보충합니다.
농업기술센터 안전 전문관 200명과 지역농협 농기계 은행 40명으로 농작업 대행반을 편성해 취약계층을 위한 농작업 대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 농기계 수리를 위한 봉사반 14개 팀을 편성해 순회 점검과 무상 수리를 진행합니다.
농식품부는 정부 보유 볍씨를 무상 공급하고, 과수 묘목은 민간업체 보유분을 피해 농가에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축산 농가에는 사료 구매 자금(융자) 1,100억 원을 피해 지역에 우선 배정합니다.
농·축협은 사료를 농가당 최대 240포를 무상 공급합니다.
가축 진료를 위해 동물 의료지원반 46개를 편성했고, 동물약품과 면역강화제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붕괴 위험 축사 시설을 철거하기 위해 임차료와 축사 복구를 위한 축사 시설 현대화 자금을 각각 지원합니다.
농식품부는 재해보험금을 신속히 지급할 수 있도록 현장에 손해 평가 인력 596명을 배치했습니다.
경북 피해지역의 재해보험 가입률은 사과 농가는 100%이고 닭과 돼지 사육 농가는 각각 98.6%, 98.0%로 집계됐습니다.
또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 추정 보험금의 50%를 우선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농식품부는 농축산 경영 자금 상환을 연기하고, 최대 2년간 이자를 면제하기로 했습니다.
재해대책 경영 자금과 농업시설 복구에 필요한 자금도 지원합니다.
이와 별개로 농협은 피해 조합원에게 무이자 자금으로 2천억 원을 지원하고 긴급생활안정자금으로 가구당 최대 3천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산불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이 최소화하도록 주요 작물 피해를 분석해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
봄배추, 마늘, 사과는 품목별로 생육 관리협의체를 구성해 수확기까지 생육 상황을 모니터링합니다.
농식품부는 이재민 구호용 정부 양곡을 피해 지역에 무상 공급하고 피해 농가 지원에 농어촌 상생협력 기금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피해 조사를 바탕으로 즉시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기존 제도와 틀을 넘어서는 지원 방안도 검토해 관계 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21일부터 어제(30일)까지 일어난 산불로 경북에서는 여의도 면적의 5배에 해당하는 과수원 1,490㏊가 불에 탔고, 기타 작물은 56㏊가 피해를 보았습니다.
또 시설하우스 290동과 부대시설 958동, 농기계 2,639대, 유통·가공시설 7곳이 손실됐습니다.
이밖에 축사 71동이 불타 돼지 2만 4천 마리와 닭 5만 2천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경남에서는 재해보험 산정 기준으로 시설하우스 3건과 창고 1건, 양봉 100군 등의 피해가 집계됐습니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 초 지자체 조사와 중앙합동 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에 앞서 농식품부는 농업인의 영농 재개를 위한 긴급 지원 대책을 추진합니다.
농식품부는 시군 농기계 임대사업소와 지역농협 농기계 은행을 통해 피해 농가에 농기계를 무상으로 임대합니다.
부족한 농기계는 농기계 회사, 다른 지역 농기계 임대사업소를 통해 보충합니다.
농업기술센터 안전 전문관 200명과 지역농협 농기계 은행 40명으로 농작업 대행반을 편성해 취약계층을 위한 농작업 대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 농기계 수리를 위한 봉사반 14개 팀을 편성해 순회 점검과 무상 수리를 진행합니다.
농식품부는 정부 보유 볍씨를 무상 공급하고, 과수 묘목은 민간업체 보유분을 피해 농가에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축산 농가에는 사료 구매 자금(융자) 1,100억 원을 피해 지역에 우선 배정합니다.
농·축협은 사료를 농가당 최대 240포를 무상 공급합니다.
가축 진료를 위해 동물 의료지원반 46개를 편성했고, 동물약품과 면역강화제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붕괴 위험 축사 시설을 철거하기 위해 임차료와 축사 복구를 위한 축사 시설 현대화 자금을 각각 지원합니다.
농식품부는 재해보험금을 신속히 지급할 수 있도록 현장에 손해 평가 인력 596명을 배치했습니다.
경북 피해지역의 재해보험 가입률은 사과 농가는 100%이고 닭과 돼지 사육 농가는 각각 98.6%, 98.0%로 집계됐습니다.
또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 추정 보험금의 50%를 우선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농식품부는 농축산 경영 자금 상환을 연기하고, 최대 2년간 이자를 면제하기로 했습니다.
재해대책 경영 자금과 농업시설 복구에 필요한 자금도 지원합니다.
이와 별개로 농협은 피해 조합원에게 무이자 자금으로 2천억 원을 지원하고 긴급생활안정자금으로 가구당 최대 3천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산불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이 최소화하도록 주요 작물 피해를 분석해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
봄배추, 마늘, 사과는 품목별로 생육 관리협의체를 구성해 수확기까지 생육 상황을 모니터링합니다.
농식품부는 이재민 구호용 정부 양곡을 피해 지역에 무상 공급하고 피해 농가 지원에 농어촌 상생협력 기금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
- 입력 2025-03-31 19:21:56
- 수정2025-03-31 19:46:11

농림축산식품부는 산불 피해 농업인의 영농 활동 재개를 위해 농기계 무상 임대, 농축산 경영 자금 상환 연기 등 지원 대책을 추진한다고 오늘(31일) 밝혔습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피해 조사를 바탕으로 즉시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기존 제도와 틀을 넘어서는 지원 방안도 검토해 관계 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21일부터 어제(30일)까지 일어난 산불로 경북에서는 여의도 면적의 5배에 해당하는 과수원 1,490㏊가 불에 탔고, 기타 작물은 56㏊가 피해를 보았습니다.
또 시설하우스 290동과 부대시설 958동, 농기계 2,639대, 유통·가공시설 7곳이 손실됐습니다.
이밖에 축사 71동이 불타 돼지 2만 4천 마리와 닭 5만 2천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경남에서는 재해보험 산정 기준으로 시설하우스 3건과 창고 1건, 양봉 100군 등의 피해가 집계됐습니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 초 지자체 조사와 중앙합동 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에 앞서 농식품부는 농업인의 영농 재개를 위한 긴급 지원 대책을 추진합니다.
농식품부는 시군 농기계 임대사업소와 지역농협 농기계 은행을 통해 피해 농가에 농기계를 무상으로 임대합니다.
부족한 농기계는 농기계 회사, 다른 지역 농기계 임대사업소를 통해 보충합니다.
농업기술센터 안전 전문관 200명과 지역농협 농기계 은행 40명으로 농작업 대행반을 편성해 취약계층을 위한 농작업 대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 농기계 수리를 위한 봉사반 14개 팀을 편성해 순회 점검과 무상 수리를 진행합니다.
농식품부는 정부 보유 볍씨를 무상 공급하고, 과수 묘목은 민간업체 보유분을 피해 농가에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축산 농가에는 사료 구매 자금(융자) 1,100억 원을 피해 지역에 우선 배정합니다.
농·축협은 사료를 농가당 최대 240포를 무상 공급합니다.
가축 진료를 위해 동물 의료지원반 46개를 편성했고, 동물약품과 면역강화제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붕괴 위험 축사 시설을 철거하기 위해 임차료와 축사 복구를 위한 축사 시설 현대화 자금을 각각 지원합니다.
농식품부는 재해보험금을 신속히 지급할 수 있도록 현장에 손해 평가 인력 596명을 배치했습니다.
경북 피해지역의 재해보험 가입률은 사과 농가는 100%이고 닭과 돼지 사육 농가는 각각 98.6%, 98.0%로 집계됐습니다.
또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 추정 보험금의 50%를 우선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농식품부는 농축산 경영 자금 상환을 연기하고, 최대 2년간 이자를 면제하기로 했습니다.
재해대책 경영 자금과 농업시설 복구에 필요한 자금도 지원합니다.
이와 별개로 농협은 피해 조합원에게 무이자 자금으로 2천억 원을 지원하고 긴급생활안정자금으로 가구당 최대 3천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산불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이 최소화하도록 주요 작물 피해를 분석해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
봄배추, 마늘, 사과는 품목별로 생육 관리협의체를 구성해 수확기까지 생육 상황을 모니터링합니다.
농식품부는 이재민 구호용 정부 양곡을 피해 지역에 무상 공급하고 피해 농가 지원에 농어촌 상생협력 기금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피해 조사를 바탕으로 즉시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기존 제도와 틀을 넘어서는 지원 방안도 검토해 관계 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21일부터 어제(30일)까지 일어난 산불로 경북에서는 여의도 면적의 5배에 해당하는 과수원 1,490㏊가 불에 탔고, 기타 작물은 56㏊가 피해를 보았습니다.
또 시설하우스 290동과 부대시설 958동, 농기계 2,639대, 유통·가공시설 7곳이 손실됐습니다.
이밖에 축사 71동이 불타 돼지 2만 4천 마리와 닭 5만 2천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경남에서는 재해보험 산정 기준으로 시설하우스 3건과 창고 1건, 양봉 100군 등의 피해가 집계됐습니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 초 지자체 조사와 중앙합동 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에 앞서 농식품부는 농업인의 영농 재개를 위한 긴급 지원 대책을 추진합니다.
농식품부는 시군 농기계 임대사업소와 지역농협 농기계 은행을 통해 피해 농가에 농기계를 무상으로 임대합니다.
부족한 농기계는 농기계 회사, 다른 지역 농기계 임대사업소를 통해 보충합니다.
농업기술센터 안전 전문관 200명과 지역농협 농기계 은행 40명으로 농작업 대행반을 편성해 취약계층을 위한 농작업 대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 농기계 수리를 위한 봉사반 14개 팀을 편성해 순회 점검과 무상 수리를 진행합니다.
농식품부는 정부 보유 볍씨를 무상 공급하고, 과수 묘목은 민간업체 보유분을 피해 농가에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축산 농가에는 사료 구매 자금(융자) 1,100억 원을 피해 지역에 우선 배정합니다.
농·축협은 사료를 농가당 최대 240포를 무상 공급합니다.
가축 진료를 위해 동물 의료지원반 46개를 편성했고, 동물약품과 면역강화제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붕괴 위험 축사 시설을 철거하기 위해 임차료와 축사 복구를 위한 축사 시설 현대화 자금을 각각 지원합니다.
농식품부는 재해보험금을 신속히 지급할 수 있도록 현장에 손해 평가 인력 596명을 배치했습니다.
경북 피해지역의 재해보험 가입률은 사과 농가는 100%이고 닭과 돼지 사육 농가는 각각 98.6%, 98.0%로 집계됐습니다.
또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 추정 보험금의 50%를 우선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농식품부는 농축산 경영 자금 상환을 연기하고, 최대 2년간 이자를 면제하기로 했습니다.
재해대책 경영 자금과 농업시설 복구에 필요한 자금도 지원합니다.
이와 별개로 농협은 피해 조합원에게 무이자 자금으로 2천억 원을 지원하고 긴급생활안정자금으로 가구당 최대 3천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산불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이 최소화하도록 주요 작물 피해를 분석해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
봄배추, 마늘, 사과는 품목별로 생육 관리협의체를 구성해 수확기까지 생육 상황을 모니터링합니다.
농식품부는 이재민 구호용 정부 양곡을 피해 지역에 무상 공급하고 피해 농가 지원에 농어촌 상생협력 기금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
-
이승철 기자 bullseye@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피해 복구 총력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