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청년정책에 28조 원 투입…일자리·주거지원 확대
입력 2025.04.02 (11:41)
수정 2025.04.02 (11: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올해 추진할 28조 원 규모 청년층 지원 정책 계획을 확정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늘(2일)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 DMC 타워에서 '제15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청년 일자리와 주거 지원, 장학금 확대를 담은 2025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시행계획에는 △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339개 과제가 들어 있습니다.
우선 정부는 청년 인턴을 중앙부처에서 5천 명, 공공기관에서 2만 1천 명 선발합니다.
공공기관 채용형 인턴을 3,300명에서 4,000명으로 늘리고, 연령 하한선은 만 19세에서 만 18세로 낮춥니다.
또한 민관이 협업해 경력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미래내일 일 경험 사업' 대상을 현행 4만 8천 명에서 5만 8천 명으로 1만 명 확대합니다.
제조업 등 인력이 부족한 업종(빈 일자리 업종)에서 오래 근무한 청년에겐 2년간 최대 480만 원을 지급합니다.
정부는 시세보다 싼 청년층 대상 공공분양주택('뉴홈') 공급을 작년 5만 8천 호에서 올해 6만 7천 호로 확대하고, 입지가 좋은 곳을 중심으로 공적임대주택도 지속적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청년 대상 전세대출은 정부 지원 저금리 상품인 '버팀목대출'로 통합해 지원 대상(전세보증금 2→3억 원 이하)과 대출한도(1→2억 원)를 확대합니다.
정부는 청약에 당첨되면 분양가의 80%까지 최대 40년간 최저 2% 금리로 빌려주는 '청년주택드림대출'도 올해부터 시행 중입니다.
아울러 올해 1월 발표한 대로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확대(100만 명→150만 명) △근로장학금 대상 확대(14만 명→20만 명) △이공계 석박사 5만여 명에 연구생활장려금 지급 △원거리 통학 저소득층 대학생에 주거안정 장학금 지급 등을 추진합니다.
청년층 대상 정책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정부가 월 최대 지원하는 금액은 2만 4천 원에서 3만 3천 원으로 올립니다.
군인 대상 '장병 내일준비적금'에 정부가 지급하는 금액도 월 40만 원에서 55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지역사회에서 가족을 돌보고 있거나 고립·은둔 중인 청년을 전담 지원하는 '청년미래센터'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한덕수 권한대행은 이와 관련해 "아동복지시설을 퇴소해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자립 준비 청년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특히 자립 준비 청년은 고립‧은둔 비율이 높기에, 위기 상태에 있는 청년을 신속히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등 유사 보호시설에서 퇴소한 청년들도 자립 준비 청년과 동등한 수준으로 지원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늘(2일)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 DMC 타워에서 '제15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청년 일자리와 주거 지원, 장학금 확대를 담은 2025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시행계획에는 △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339개 과제가 들어 있습니다.
우선 정부는 청년 인턴을 중앙부처에서 5천 명, 공공기관에서 2만 1천 명 선발합니다.
공공기관 채용형 인턴을 3,300명에서 4,000명으로 늘리고, 연령 하한선은 만 19세에서 만 18세로 낮춥니다.
또한 민관이 협업해 경력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미래내일 일 경험 사업' 대상을 현행 4만 8천 명에서 5만 8천 명으로 1만 명 확대합니다.
제조업 등 인력이 부족한 업종(빈 일자리 업종)에서 오래 근무한 청년에겐 2년간 최대 480만 원을 지급합니다.
정부는 시세보다 싼 청년층 대상 공공분양주택('뉴홈') 공급을 작년 5만 8천 호에서 올해 6만 7천 호로 확대하고, 입지가 좋은 곳을 중심으로 공적임대주택도 지속적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청년 대상 전세대출은 정부 지원 저금리 상품인 '버팀목대출'로 통합해 지원 대상(전세보증금 2→3억 원 이하)과 대출한도(1→2억 원)를 확대합니다.
정부는 청약에 당첨되면 분양가의 80%까지 최대 40년간 최저 2% 금리로 빌려주는 '청년주택드림대출'도 올해부터 시행 중입니다.
아울러 올해 1월 발표한 대로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확대(100만 명→150만 명) △근로장학금 대상 확대(14만 명→20만 명) △이공계 석박사 5만여 명에 연구생활장려금 지급 △원거리 통학 저소득층 대학생에 주거안정 장학금 지급 등을 추진합니다.
청년층 대상 정책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정부가 월 최대 지원하는 금액은 2만 4천 원에서 3만 3천 원으로 올립니다.
군인 대상 '장병 내일준비적금'에 정부가 지급하는 금액도 월 40만 원에서 55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지역사회에서 가족을 돌보고 있거나 고립·은둔 중인 청년을 전담 지원하는 '청년미래센터'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한덕수 권한대행은 이와 관련해 "아동복지시설을 퇴소해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자립 준비 청년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특히 자립 준비 청년은 고립‧은둔 비율이 높기에, 위기 상태에 있는 청년을 신속히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등 유사 보호시설에서 퇴소한 청년들도 자립 준비 청년과 동등한 수준으로 지원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해 청년정책에 28조 원 투입…일자리·주거지원 확대
-
- 입력 2025-04-02 11:41:15
- 수정2025-04-02 11:46:43

정부가 올해 추진할 28조 원 규모 청년층 지원 정책 계획을 확정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늘(2일)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 DMC 타워에서 '제15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청년 일자리와 주거 지원, 장학금 확대를 담은 2025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시행계획에는 △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339개 과제가 들어 있습니다.
우선 정부는 청년 인턴을 중앙부처에서 5천 명, 공공기관에서 2만 1천 명 선발합니다.
공공기관 채용형 인턴을 3,300명에서 4,000명으로 늘리고, 연령 하한선은 만 19세에서 만 18세로 낮춥니다.
또한 민관이 협업해 경력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미래내일 일 경험 사업' 대상을 현행 4만 8천 명에서 5만 8천 명으로 1만 명 확대합니다.
제조업 등 인력이 부족한 업종(빈 일자리 업종)에서 오래 근무한 청년에겐 2년간 최대 480만 원을 지급합니다.
정부는 시세보다 싼 청년층 대상 공공분양주택('뉴홈') 공급을 작년 5만 8천 호에서 올해 6만 7천 호로 확대하고, 입지가 좋은 곳을 중심으로 공적임대주택도 지속적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청년 대상 전세대출은 정부 지원 저금리 상품인 '버팀목대출'로 통합해 지원 대상(전세보증금 2→3억 원 이하)과 대출한도(1→2억 원)를 확대합니다.
정부는 청약에 당첨되면 분양가의 80%까지 최대 40년간 최저 2% 금리로 빌려주는 '청년주택드림대출'도 올해부터 시행 중입니다.
아울러 올해 1월 발표한 대로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확대(100만 명→150만 명) △근로장학금 대상 확대(14만 명→20만 명) △이공계 석박사 5만여 명에 연구생활장려금 지급 △원거리 통학 저소득층 대학생에 주거안정 장학금 지급 등을 추진합니다.
청년층 대상 정책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정부가 월 최대 지원하는 금액은 2만 4천 원에서 3만 3천 원으로 올립니다.
군인 대상 '장병 내일준비적금'에 정부가 지급하는 금액도 월 40만 원에서 55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지역사회에서 가족을 돌보고 있거나 고립·은둔 중인 청년을 전담 지원하는 '청년미래센터'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한덕수 권한대행은 이와 관련해 "아동복지시설을 퇴소해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자립 준비 청년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특히 자립 준비 청년은 고립‧은둔 비율이 높기에, 위기 상태에 있는 청년을 신속히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등 유사 보호시설에서 퇴소한 청년들도 자립 준비 청년과 동등한 수준으로 지원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늘(2일)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 DMC 타워에서 '제15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청년 일자리와 주거 지원, 장학금 확대를 담은 2025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시행계획에는 △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339개 과제가 들어 있습니다.
우선 정부는 청년 인턴을 중앙부처에서 5천 명, 공공기관에서 2만 1천 명 선발합니다.
공공기관 채용형 인턴을 3,300명에서 4,000명으로 늘리고, 연령 하한선은 만 19세에서 만 18세로 낮춥니다.
또한 민관이 협업해 경력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미래내일 일 경험 사업' 대상을 현행 4만 8천 명에서 5만 8천 명으로 1만 명 확대합니다.
제조업 등 인력이 부족한 업종(빈 일자리 업종)에서 오래 근무한 청년에겐 2년간 최대 480만 원을 지급합니다.
정부는 시세보다 싼 청년층 대상 공공분양주택('뉴홈') 공급을 작년 5만 8천 호에서 올해 6만 7천 호로 확대하고, 입지가 좋은 곳을 중심으로 공적임대주택도 지속적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청년 대상 전세대출은 정부 지원 저금리 상품인 '버팀목대출'로 통합해 지원 대상(전세보증금 2→3억 원 이하)과 대출한도(1→2억 원)를 확대합니다.
정부는 청약에 당첨되면 분양가의 80%까지 최대 40년간 최저 2% 금리로 빌려주는 '청년주택드림대출'도 올해부터 시행 중입니다.
아울러 올해 1월 발표한 대로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확대(100만 명→150만 명) △근로장학금 대상 확대(14만 명→20만 명) △이공계 석박사 5만여 명에 연구생활장려금 지급 △원거리 통학 저소득층 대학생에 주거안정 장학금 지급 등을 추진합니다.
청년층 대상 정책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정부가 월 최대 지원하는 금액은 2만 4천 원에서 3만 3천 원으로 올립니다.
군인 대상 '장병 내일준비적금'에 정부가 지급하는 금액도 월 40만 원에서 55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지역사회에서 가족을 돌보고 있거나 고립·은둔 중인 청년을 전담 지원하는 '청년미래센터'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한덕수 권한대행은 이와 관련해 "아동복지시설을 퇴소해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자립 준비 청년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특히 자립 준비 청년은 고립‧은둔 비율이 높기에, 위기 상태에 있는 청년을 신속히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등 유사 보호시설에서 퇴소한 청년들도 자립 준비 청년과 동등한 수준으로 지원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현예슬 기자 yesyes@kbs.co.kr
현예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