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국에 25% 상호 관세 ‘폭탄’…“철강·자동차·반도체는 적용 안돼”
입력 2025.04.03 (09:30)
수정 2025.04.03 (10: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유럽연합과 일본보다 높은 수준인데요.
다행히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늘은 해방의 날이라며 상호 관세를 즉각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비상사태라는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만성적인 무역 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만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의 안보와 삶의 방식 자체를 위협하는 국가 비상사태입니다."]
상호 관세는 기본적으로 10%지만, '최악의 국가'에 대해선 추가 관세가 부과됩니다.
한국에는 25% 관세가 부과됩니다.
중국 34%, 유럽연합 20%, 일본 24% 등입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 FTA를 체결해 사실상 관세가 없지만,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관세율을 산정한 걸로 보입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비관세 장벽을 언급하며 여러 차례 한국을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이러한 거대한 무역 장벽의 결과로 비관세성 규제 조치를 해왔습니다. 한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81%는 자국 내에서 생산된 차량입니다."]
기본 관세는 5일, 국가별 관세는 9일부터 적용됩니다.
다만,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백악관은 관세가 예고된 구리와 의약품, 반도체와 목재에 대해서도 상호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발표 뒤 사후 협상을 시사해온만큼 높은 관세 수준은 추가 협상을 위한 출발점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지금 관세율은 일종의 상한선이고 앞으로 협상에 따라 대폭 낮아질 여지가 있다는 뜻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최정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유럽연합과 일본보다 높은 수준인데요.
다행히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늘은 해방의 날이라며 상호 관세를 즉각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비상사태라는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만성적인 무역 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만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의 안보와 삶의 방식 자체를 위협하는 국가 비상사태입니다."]
상호 관세는 기본적으로 10%지만, '최악의 국가'에 대해선 추가 관세가 부과됩니다.
한국에는 25% 관세가 부과됩니다.
중국 34%, 유럽연합 20%, 일본 24% 등입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 FTA를 체결해 사실상 관세가 없지만,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관세율을 산정한 걸로 보입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비관세 장벽을 언급하며 여러 차례 한국을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이러한 거대한 무역 장벽의 결과로 비관세성 규제 조치를 해왔습니다. 한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81%는 자국 내에서 생산된 차량입니다."]
기본 관세는 5일, 국가별 관세는 9일부터 적용됩니다.
다만,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백악관은 관세가 예고된 구리와 의약품, 반도체와 목재에 대해서도 상호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발표 뒤 사후 협상을 시사해온만큼 높은 관세 수준은 추가 협상을 위한 출발점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지금 관세율은 일종의 상한선이고 앞으로 협상에 따라 대폭 낮아질 여지가 있다는 뜻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최정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 관세 ‘폭탄’…“철강·자동차·반도체는 적용 안돼”
-
- 입력 2025-04-03 09:30:51
- 수정2025-04-03 10:43:58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유럽연합과 일본보다 높은 수준인데요.
다행히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늘은 해방의 날이라며 상호 관세를 즉각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비상사태라는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만성적인 무역 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만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의 안보와 삶의 방식 자체를 위협하는 국가 비상사태입니다."]
상호 관세는 기본적으로 10%지만, '최악의 국가'에 대해선 추가 관세가 부과됩니다.
한국에는 25% 관세가 부과됩니다.
중국 34%, 유럽연합 20%, 일본 24% 등입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 FTA를 체결해 사실상 관세가 없지만,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관세율을 산정한 걸로 보입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비관세 장벽을 언급하며 여러 차례 한국을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이러한 거대한 무역 장벽의 결과로 비관세성 규제 조치를 해왔습니다. 한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81%는 자국 내에서 생산된 차량입니다."]
기본 관세는 5일, 국가별 관세는 9일부터 적용됩니다.
다만,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백악관은 관세가 예고된 구리와 의약품, 반도체와 목재에 대해서도 상호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발표 뒤 사후 협상을 시사해온만큼 높은 관세 수준은 추가 협상을 위한 출발점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지금 관세율은 일종의 상한선이고 앞으로 협상에 따라 대폭 낮아질 여지가 있다는 뜻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최정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유럽연합과 일본보다 높은 수준인데요.
다행히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늘은 해방의 날이라며 상호 관세를 즉각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비상사태라는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만성적인 무역 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만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의 안보와 삶의 방식 자체를 위협하는 국가 비상사태입니다."]
상호 관세는 기본적으로 10%지만, '최악의 국가'에 대해선 추가 관세가 부과됩니다.
한국에는 25% 관세가 부과됩니다.
중국 34%, 유럽연합 20%, 일본 24% 등입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 FTA를 체결해 사실상 관세가 없지만,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관세율을 산정한 걸로 보입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비관세 장벽을 언급하며 여러 차례 한국을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이러한 거대한 무역 장벽의 결과로 비관세성 규제 조치를 해왔습니다. 한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81%는 자국 내에서 생산된 차량입니다."]
기본 관세는 5일, 국가별 관세는 9일부터 적용됩니다.
다만,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백악관은 관세가 예고된 구리와 의약품, 반도체와 목재에 대해서도 상호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발표 뒤 사후 협상을 시사해온만큼 높은 관세 수준은 추가 협상을 위한 출발점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지금 관세율은 일종의 상한선이고 앞으로 협상에 따라 대폭 낮아질 여지가 있다는 뜻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최정윤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