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청소년 B형 독감 유행 5주째 증가
입력 2025.04.18 (09:58)
수정 2025.04.18 (0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3월 개학 이후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B형 독감 유행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늘(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15주 차(4월 6~12일) 기준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1,000명당 21.6명으로, 이번 절기 유행 기준(8.6명)의 2.5배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일주일 전(16.9명)과 비교해 약 27% 늘어난 것으로, 최근 5주 연속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독감 의심환자는 7~12세에서 1,000명당 73.3명, 13~18세에서 69.9명으로 치솟았습니다.
통상 독감 유행은 12~1월 정점을 찍고 감소하다 새 학기가 시작한 후 학생 연령층을 중심으로 다시 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난주 검출된 독감 바이러스의 약 97%는 B형 독감 바이러스였습니다.
질병청은 이번 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이 이달 30일까지인 만큼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접종을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15주 차(4월 6~12일) 기준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1,000명당 21.6명으로, 이번 절기 유행 기준(8.6명)의 2.5배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일주일 전(16.9명)과 비교해 약 27% 늘어난 것으로, 최근 5주 연속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독감 의심환자는 7~12세에서 1,000명당 73.3명, 13~18세에서 69.9명으로 치솟았습니다.
통상 독감 유행은 12~1월 정점을 찍고 감소하다 새 학기가 시작한 후 학생 연령층을 중심으로 다시 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난주 검출된 독감 바이러스의 약 97%는 B형 독감 바이러스였습니다.
질병청은 이번 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이 이달 30일까지인 만큼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접종을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청소년 B형 독감 유행 5주째 증가
-
- 입력 2025-04-18 09:58:17
- 수정2025-04-18 09:59:02

3월 개학 이후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B형 독감 유행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늘(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15주 차(4월 6~12일) 기준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1,000명당 21.6명으로, 이번 절기 유행 기준(8.6명)의 2.5배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일주일 전(16.9명)과 비교해 약 27% 늘어난 것으로, 최근 5주 연속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독감 의심환자는 7~12세에서 1,000명당 73.3명, 13~18세에서 69.9명으로 치솟았습니다.
통상 독감 유행은 12~1월 정점을 찍고 감소하다 새 학기가 시작한 후 학생 연령층을 중심으로 다시 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난주 검출된 독감 바이러스의 약 97%는 B형 독감 바이러스였습니다.
질병청은 이번 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이 이달 30일까지인 만큼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접종을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15주 차(4월 6~12일) 기준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1,000명당 21.6명으로, 이번 절기 유행 기준(8.6명)의 2.5배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일주일 전(16.9명)과 비교해 약 27% 늘어난 것으로, 최근 5주 연속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독감 의심환자는 7~12세에서 1,000명당 73.3명, 13~18세에서 69.9명으로 치솟았습니다.
통상 독감 유행은 12~1월 정점을 찍고 감소하다 새 학기가 시작한 후 학생 연령층을 중심으로 다시 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난주 검출된 독감 바이러스의 약 97%는 B형 독감 바이러스였습니다.
질병청은 이번 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이 이달 30일까지인 만큼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접종을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진선민 기자 jsm@kbs.co.kr
진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