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교육의 커리큘럼을 따라가면 수능을 망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난이도가 비약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죠. 결국 자기만의 커리큘럼을 설계해야 하는 구조, 즉 선행을 할 수밖에 없는 거죠." - 유튜브 채널 '대치동 영어학원 내부고발자' |
대치동에서 10년 넘게 영어 학원을 운영하는 남기정 원장. 수년 전부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교과서와 내신 시험, 수능 사이 난이도 격차를 지적해 왔습니다. 교과서에 비해 시험이 너무 어렵게 출제되기 때문에 학교 교육만 따라가서는 입시에 대비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이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수능에 출제된 지문의 난이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 원장의 지적은 사실로 확인됐습니다.
■ 교과서는 미국 중학생 수준인데 수능은 대학생 이상 수준…"공교육으로 대비 불가능"
국회 교육위원회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걱세는 2025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 독해 문항과 2026학년도 6월 모의평가, 그리고 그 출제 범위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교 영어Ⅱ교과서 4종 본문, EBS <수능 특강> 독해 지문 등의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를 오늘(1일) 발표했습니다.
난이도 분석에는 미국 학생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책을 안내하기 위해 개발된 르네상스러닝사의 'AR 지수'가 사용됐습니다. AR 지수는 미국의 학년 단위(1~12학년)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AR 1.3'이라면 미국 초등학교 1학년 3개월 수준을 의미합니다.
최고난도 지문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교과서 4종은 8.45~11.05학년 수준이지만 25학년도 수능은 13.84학년으로 최대 5학년 차이가 났습니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교과서는 미국 중학생 수준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막상 수능은 미국 대학생 이상 수준으로 출제됐다는 것입니다.
상당수 학교에서 부교재로 사용하며 내신 시험에도 출제되는 것으로 알려진 EBS 연계 교재의 경우 최고난도 지문은 14.45학년으로 수능 문항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난이도 역시 격차는 줄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교과서 4종의 평균 난이도는 8.21학년, 25학년도 수능과 6월 모의평가는 각각 9.81학년, 9.32학년으로 한 학년 이상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 고교 교육 과정 벗어나는 어휘 다수 출제…'시간 단축' 위해 별도 학습해야
사걱세는 또 수능과 EBS 연계 교재의 지문을 살펴봤을 때, 교육과정에서 정한 교과 이수 수준 어휘 2,500개를 벗어나는 경우가 상당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교과 수준을 벗어나는 어휘가 지문에 나오면 주석을 달아야 하는데, 25학년도 수능에서는 독해 지문 25개 중 13개(52%)에 주석이 달렸습니다. 6월 모의평가 역시 25개 지문 중 16개(64%)에 단어 주석이 달렸습니다.
사걱세는 "70분에 45문항을 풀어야 하는 수능 영어 영역 성격상, 주석으로 어휘의 뜻을 제시한다고 해도 미리 단어의 뜻을 숙지하고 있어야 풀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학생들은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어휘와 문장 구조를 따로 학습해야 하는 부담을 떠안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약적으로 뛰는 난이도 역시 문제입니다.
남 원장은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교과서는 미국 초등학교 1학년 수준 지문이고, 중학교 3학년 교과서도 초등학교 3학년 수준이다. 심지어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도 초등학교 3학년 수준으로 큰 차이가 없다. 그런데 학교에서 부교재를 사용하는데, 여기 나오는 지문은 미국 고등학교 3학년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상당수 학교에서 교과서가 아닌 부교재에서 중간고사, 기말고사 문제를 출제합니다. 미국 초3 수준의 교과서로 학습하던 학생들이 고3 난이도의 시험을 준비해야 하니, 혼자서는 대응이 안 되고 학원을 찾을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번 난이도 분석을 진행한 사걱세 김유진 연구원은 "현행 수능 영어영역은 학교 교육으로 충분히 대비 가능하게 출제한다는 취지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학생과 학부모의 공교육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걱세는 이미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 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의 적용 대상에 수능을 포함하는 법률 개정안이 발의돼 있다며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선행 안 하면 망하는 구조”…교과서에서 원인 찾았다
-
- 입력 2025-07-01 10:40:20

"공교육의 커리큘럼을 따라가면 수능을 망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난이도가 비약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죠. 결국 자기만의 커리큘럼을 설계해야 하는 구조, 즉 선행을 할 수밖에 없는 거죠." - 유튜브 채널 '대치동 영어학원 내부고발자' |
대치동에서 10년 넘게 영어 학원을 운영하는 남기정 원장. 수년 전부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교과서와 내신 시험, 수능 사이 난이도 격차를 지적해 왔습니다. 교과서에 비해 시험이 너무 어렵게 출제되기 때문에 학교 교육만 따라가서는 입시에 대비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이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수능에 출제된 지문의 난이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 원장의 지적은 사실로 확인됐습니다.
■ 교과서는 미국 중학생 수준인데 수능은 대학생 이상 수준…"공교육으로 대비 불가능"
국회 교육위원회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걱세는 2025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 독해 문항과 2026학년도 6월 모의평가, 그리고 그 출제 범위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교 영어Ⅱ교과서 4종 본문, EBS <수능 특강> 독해 지문 등의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를 오늘(1일) 발표했습니다.
난이도 분석에는 미국 학생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책을 안내하기 위해 개발된 르네상스러닝사의 'AR 지수'가 사용됐습니다. AR 지수는 미국의 학년 단위(1~12학년)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AR 1.3'이라면 미국 초등학교 1학년 3개월 수준을 의미합니다.
최고난도 지문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교과서 4종은 8.45~11.05학년 수준이지만 25학년도 수능은 13.84학년으로 최대 5학년 차이가 났습니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교과서는 미국 중학생 수준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막상 수능은 미국 대학생 이상 수준으로 출제됐다는 것입니다.
상당수 학교에서 부교재로 사용하며 내신 시험에도 출제되는 것으로 알려진 EBS 연계 교재의 경우 최고난도 지문은 14.45학년으로 수능 문항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난이도 역시 격차는 줄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교과서 4종의 평균 난이도는 8.21학년, 25학년도 수능과 6월 모의평가는 각각 9.81학년, 9.32학년으로 한 학년 이상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 고교 교육 과정 벗어나는 어휘 다수 출제…'시간 단축' 위해 별도 학습해야
사걱세는 또 수능과 EBS 연계 교재의 지문을 살펴봤을 때, 교육과정에서 정한 교과 이수 수준 어휘 2,500개를 벗어나는 경우가 상당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교과 수준을 벗어나는 어휘가 지문에 나오면 주석을 달아야 하는데, 25학년도 수능에서는 독해 지문 25개 중 13개(52%)에 주석이 달렸습니다. 6월 모의평가 역시 25개 지문 중 16개(64%)에 단어 주석이 달렸습니다.
사걱세는 "70분에 45문항을 풀어야 하는 수능 영어 영역 성격상, 주석으로 어휘의 뜻을 제시한다고 해도 미리 단어의 뜻을 숙지하고 있어야 풀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학생들은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어휘와 문장 구조를 따로 학습해야 하는 부담을 떠안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약적으로 뛰는 난이도 역시 문제입니다.
남 원장은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교과서는 미국 초등학교 1학년 수준 지문이고, 중학교 3학년 교과서도 초등학교 3학년 수준이다. 심지어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도 초등학교 3학년 수준으로 큰 차이가 없다. 그런데 학교에서 부교재를 사용하는데, 여기 나오는 지문은 미국 고등학교 3학년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상당수 학교에서 교과서가 아닌 부교재에서 중간고사, 기말고사 문제를 출제합니다. 미국 초3 수준의 교과서로 학습하던 학생들이 고3 난이도의 시험을 준비해야 하니, 혼자서는 대응이 안 되고 학원을 찾을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번 난이도 분석을 진행한 사걱세 김유진 연구원은 "현행 수능 영어영역은 학교 교육으로 충분히 대비 가능하게 출제한다는 취지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학생과 학부모의 공교육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걱세는 이미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 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의 적용 대상에 수능을 포함하는 법률 개정안이 발의돼 있다며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습니다.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