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미 제재 강화에 “굴복 안해”…전력난에 블랙아웃
입력 2025.07.02 (02:06)
수정 2025.07.02 (0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리브해 섬나라 쿠바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새로운 제재 강화안에 대해 "전혀 새롭지 않은, 60년째 이어진 범죄 행위"라고 반발하며 굴복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쿠바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 그란마는 현지시각 1일 "미 제국주의 최고 지도자가 어제(6월 30일) 서명한 각서는 1959년 이후 백악관을 거쳐 간 행정부 조처의 또 다른 반복"이라고 주장하며 "강경 정책을 재개한다는 건 새롭지 않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비밀 감옥을 운영하며 법적 근거 없이 누구든 감금하는 정부가 무슨 자유를 말할 수 있겠느냐"고 미국을 강하게 성토한 뒤 "쿠바 국민은 60년 이상 이런 상황을 겪어 왔는데, 이는 쿠바를 무력화하려는 범죄 행위"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대쿠바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미국에서 쿠바로의 관광을 사실상 중단하는 내용의 각서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쿠바에 대한 경제 봉쇄를 지지하며, 이를 종료해야 한다는 유엔과 다른 국제기구의 목소리에 반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엑스에 "해당 국가(미국)의 다수 국민을 대표하지 못하고 협소한 이익만 좇는 경제 봉쇄"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우리 국민에게 가능한 가장 큰 고통을 입히는 게 목표로 보이는데, 실제 그 영향은 있겠지만 우리는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쿠바에선 지속되는 미국의 강력한 제재로 인해 경제난이 심화하고, 고질적 문제인 전력 부족 역시 지속되고 있습니다.
쿠바 전력청(UNE)은 이날 페이스북에 "어제 일부 지역의 경우 24시간 동안 전력 공급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영향은 오늘 새벽까지 이어졌다"면서 이는 변전시설 최소 3기의 가동 중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쿠바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 그란마는 현지시각 1일 "미 제국주의 최고 지도자가 어제(6월 30일) 서명한 각서는 1959년 이후 백악관을 거쳐 간 행정부 조처의 또 다른 반복"이라고 주장하며 "강경 정책을 재개한다는 건 새롭지 않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비밀 감옥을 운영하며 법적 근거 없이 누구든 감금하는 정부가 무슨 자유를 말할 수 있겠느냐"고 미국을 강하게 성토한 뒤 "쿠바 국민은 60년 이상 이런 상황을 겪어 왔는데, 이는 쿠바를 무력화하려는 범죄 행위"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대쿠바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미국에서 쿠바로의 관광을 사실상 중단하는 내용의 각서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쿠바에 대한 경제 봉쇄를 지지하며, 이를 종료해야 한다는 유엔과 다른 국제기구의 목소리에 반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엑스에 "해당 국가(미국)의 다수 국민을 대표하지 못하고 협소한 이익만 좇는 경제 봉쇄"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우리 국민에게 가능한 가장 큰 고통을 입히는 게 목표로 보이는데, 실제 그 영향은 있겠지만 우리는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쿠바에선 지속되는 미국의 강력한 제재로 인해 경제난이 심화하고, 고질적 문제인 전력 부족 역시 지속되고 있습니다.
쿠바 전력청(UNE)은 이날 페이스북에 "어제 일부 지역의 경우 24시간 동안 전력 공급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영향은 오늘 새벽까지 이어졌다"면서 이는 변전시설 최소 3기의 가동 중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쿠바, 미 제재 강화에 “굴복 안해”…전력난에 블랙아웃
-
- 입력 2025-07-02 02:06:43
- 수정2025-07-02 02:07:07

카리브해 섬나라 쿠바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새로운 제재 강화안에 대해 "전혀 새롭지 않은, 60년째 이어진 범죄 행위"라고 반발하며 굴복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쿠바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 그란마는 현지시각 1일 "미 제국주의 최고 지도자가 어제(6월 30일) 서명한 각서는 1959년 이후 백악관을 거쳐 간 행정부 조처의 또 다른 반복"이라고 주장하며 "강경 정책을 재개한다는 건 새롭지 않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비밀 감옥을 운영하며 법적 근거 없이 누구든 감금하는 정부가 무슨 자유를 말할 수 있겠느냐"고 미국을 강하게 성토한 뒤 "쿠바 국민은 60년 이상 이런 상황을 겪어 왔는데, 이는 쿠바를 무력화하려는 범죄 행위"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대쿠바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미국에서 쿠바로의 관광을 사실상 중단하는 내용의 각서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쿠바에 대한 경제 봉쇄를 지지하며, 이를 종료해야 한다는 유엔과 다른 국제기구의 목소리에 반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엑스에 "해당 국가(미국)의 다수 국민을 대표하지 못하고 협소한 이익만 좇는 경제 봉쇄"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우리 국민에게 가능한 가장 큰 고통을 입히는 게 목표로 보이는데, 실제 그 영향은 있겠지만 우리는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쿠바에선 지속되는 미국의 강력한 제재로 인해 경제난이 심화하고, 고질적 문제인 전력 부족 역시 지속되고 있습니다.
쿠바 전력청(UNE)은 이날 페이스북에 "어제 일부 지역의 경우 24시간 동안 전력 공급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영향은 오늘 새벽까지 이어졌다"면서 이는 변전시설 최소 3기의 가동 중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쿠바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 그란마는 현지시각 1일 "미 제국주의 최고 지도자가 어제(6월 30일) 서명한 각서는 1959년 이후 백악관을 거쳐 간 행정부 조처의 또 다른 반복"이라고 주장하며 "강경 정책을 재개한다는 건 새롭지 않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비밀 감옥을 운영하며 법적 근거 없이 누구든 감금하는 정부가 무슨 자유를 말할 수 있겠느냐"고 미국을 강하게 성토한 뒤 "쿠바 국민은 60년 이상 이런 상황을 겪어 왔는데, 이는 쿠바를 무력화하려는 범죄 행위"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대쿠바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미국에서 쿠바로의 관광을 사실상 중단하는 내용의 각서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쿠바에 대한 경제 봉쇄를 지지하며, 이를 종료해야 한다는 유엔과 다른 국제기구의 목소리에 반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엑스에 "해당 국가(미국)의 다수 국민을 대표하지 못하고 협소한 이익만 좇는 경제 봉쇄"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우리 국민에게 가능한 가장 큰 고통을 입히는 게 목표로 보이는데, 실제 그 영향은 있겠지만 우리는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쿠바에선 지속되는 미국의 강력한 제재로 인해 경제난이 심화하고, 고질적 문제인 전력 부족 역시 지속되고 있습니다.
쿠바 전력청(UNE)은 이날 페이스북에 "어제 일부 지역의 경우 24시간 동안 전력 공급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영향은 오늘 새벽까지 이어졌다"면서 이는 변전시설 최소 3기의 가동 중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