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의 작심발언…“미, 우크라 무기지원 책임도 분담해야”
입력 2025.07.16 (01:47)
수정 2025.07.16 (0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보내는 무기의 비용을 유럽이 치러야 한다는 미국의 요구에 유럽연합(EU) 외교 수장이 제동을 걸었습니다.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 대표는 현지 시각 15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외교장관회의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우크라이나에 더 많은 무기를 제공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를 환영한다"면서도 "우리는 미국도 책임을 분담하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모든 국가가 똑같이 (지원)하기를 바란다는 것이 우리의 요청"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당신이 무기를 주겠다고 약속하곤 정작 그 돈은 다른 누군가 내는 것이라면 그걸 당신이 줬다고 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반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양자 회동에서 패트리엇 등 미국산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되 그 값을 나토 회원국들이 100% 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17기의 패트리엇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당장 방공망 보완이 절실한 우크라이나는 이 발표에 반색했고 뤼터 사무총장도 이런 방식이 지난달 나토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국내총생산(GDP)의 5%' 국방비 지출 약속을 이행하는 사례이자 "전적으로 타당한 결정"이라고 거들었습니다.
이런 '대납' 방식은 현실적으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회의적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마련한 고육책 성격이 짙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미국산 무기 판매 실적을 올리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의 '호소'에 호응했다고 생색낼 수 있게 됐습니다.
무기값을 내게 된 유럽 입장에서는 이 자금을 단기간에 마련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습니다.
패트리엇 시스템만 해도 발사대와 요격미사일 등을 합해 1기 가격이 10억 달러(1조 3천790억 원) 정도 됩니다.
칼라스 고위 대표가 공개석상에서 '작심 발언'을 한 것도 이런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됩니다.
EU 경제 규모 1위인 독일은 패트리엇 2대를 구매할 자금을 대겠다고 발표했고, 덴마크와 네덜란드도 동참 의사를 밝혔습니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은 "다른 모든 유럽 나토 회원국에 호소한다. 모두가 자금을 대야 한다"며 "우크라이나 방공에 필요한 것을 얼마나 신속하게 확보하는지가 관건"이라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 대표는 현지 시각 15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외교장관회의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우크라이나에 더 많은 무기를 제공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를 환영한다"면서도 "우리는 미국도 책임을 분담하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모든 국가가 똑같이 (지원)하기를 바란다는 것이 우리의 요청"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당신이 무기를 주겠다고 약속하곤 정작 그 돈은 다른 누군가 내는 것이라면 그걸 당신이 줬다고 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반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양자 회동에서 패트리엇 등 미국산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되 그 값을 나토 회원국들이 100% 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17기의 패트리엇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당장 방공망 보완이 절실한 우크라이나는 이 발표에 반색했고 뤼터 사무총장도 이런 방식이 지난달 나토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국내총생산(GDP)의 5%' 국방비 지출 약속을 이행하는 사례이자 "전적으로 타당한 결정"이라고 거들었습니다.
이런 '대납' 방식은 현실적으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회의적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마련한 고육책 성격이 짙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미국산 무기 판매 실적을 올리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의 '호소'에 호응했다고 생색낼 수 있게 됐습니다.
무기값을 내게 된 유럽 입장에서는 이 자금을 단기간에 마련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습니다.
패트리엇 시스템만 해도 발사대와 요격미사일 등을 합해 1기 가격이 10억 달러(1조 3천790억 원) 정도 됩니다.
칼라스 고위 대표가 공개석상에서 '작심 발언'을 한 것도 이런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됩니다.
EU 경제 규모 1위인 독일은 패트리엇 2대를 구매할 자금을 대겠다고 발표했고, 덴마크와 네덜란드도 동참 의사를 밝혔습니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은 "다른 모든 유럽 나토 회원국에 호소한다. 모두가 자금을 대야 한다"며 "우크라이나 방공에 필요한 것을 얼마나 신속하게 확보하는지가 관건"이라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U의 작심발언…“미, 우크라 무기지원 책임도 분담해야”
-
- 입력 2025-07-16 01:47:21
- 수정2025-07-16 01:48:52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보내는 무기의 비용을 유럽이 치러야 한다는 미국의 요구에 유럽연합(EU) 외교 수장이 제동을 걸었습니다.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 대표는 현지 시각 15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외교장관회의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우크라이나에 더 많은 무기를 제공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를 환영한다"면서도 "우리는 미국도 책임을 분담하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모든 국가가 똑같이 (지원)하기를 바란다는 것이 우리의 요청"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당신이 무기를 주겠다고 약속하곤 정작 그 돈은 다른 누군가 내는 것이라면 그걸 당신이 줬다고 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반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양자 회동에서 패트리엇 등 미국산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되 그 값을 나토 회원국들이 100% 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17기의 패트리엇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당장 방공망 보완이 절실한 우크라이나는 이 발표에 반색했고 뤼터 사무총장도 이런 방식이 지난달 나토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국내총생산(GDP)의 5%' 국방비 지출 약속을 이행하는 사례이자 "전적으로 타당한 결정"이라고 거들었습니다.
이런 '대납' 방식은 현실적으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회의적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마련한 고육책 성격이 짙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미국산 무기 판매 실적을 올리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의 '호소'에 호응했다고 생색낼 수 있게 됐습니다.
무기값을 내게 된 유럽 입장에서는 이 자금을 단기간에 마련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습니다.
패트리엇 시스템만 해도 발사대와 요격미사일 등을 합해 1기 가격이 10억 달러(1조 3천790억 원) 정도 됩니다.
칼라스 고위 대표가 공개석상에서 '작심 발언'을 한 것도 이런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됩니다.
EU 경제 규모 1위인 독일은 패트리엇 2대를 구매할 자금을 대겠다고 발표했고, 덴마크와 네덜란드도 동참 의사를 밝혔습니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은 "다른 모든 유럽 나토 회원국에 호소한다. 모두가 자금을 대야 한다"며 "우크라이나 방공에 필요한 것을 얼마나 신속하게 확보하는지가 관건"이라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 대표는 현지 시각 15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외교장관회의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우크라이나에 더 많은 무기를 제공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를 환영한다"면서도 "우리는 미국도 책임을 분담하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모든 국가가 똑같이 (지원)하기를 바란다는 것이 우리의 요청"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당신이 무기를 주겠다고 약속하곤 정작 그 돈은 다른 누군가 내는 것이라면 그걸 당신이 줬다고 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반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양자 회동에서 패트리엇 등 미국산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되 그 값을 나토 회원국들이 100% 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17기의 패트리엇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당장 방공망 보완이 절실한 우크라이나는 이 발표에 반색했고 뤼터 사무총장도 이런 방식이 지난달 나토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국내총생산(GDP)의 5%' 국방비 지출 약속을 이행하는 사례이자 "전적으로 타당한 결정"이라고 거들었습니다.
이런 '대납' 방식은 현실적으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회의적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마련한 고육책 성격이 짙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미국산 무기 판매 실적을 올리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의 '호소'에 호응했다고 생색낼 수 있게 됐습니다.
무기값을 내게 된 유럽 입장에서는 이 자금을 단기간에 마련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습니다.
패트리엇 시스템만 해도 발사대와 요격미사일 등을 합해 1기 가격이 10억 달러(1조 3천790억 원) 정도 됩니다.
칼라스 고위 대표가 공개석상에서 '작심 발언'을 한 것도 이런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됩니다.
EU 경제 규모 1위인 독일은 패트리엇 2대를 구매할 자금을 대겠다고 발표했고, 덴마크와 네덜란드도 동참 의사를 밝혔습니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은 "다른 모든 유럽 나토 회원국에 호소한다. 모두가 자금을 대야 한다"며 "우크라이나 방공에 필요한 것을 얼마나 신속하게 확보하는지가 관건"이라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