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제조 AI 최대 위협은 중국…일본과 데이터 교류해야”
입력 2025.07.18 (17:30)
수정 2025.07.18 (17: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제조업 AI 최대 위협은 중국이다. 상당히 많은 데이터를 가진 일본과 협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오늘(18일) 경주 대한상의 하계포럼의 ‘AI 토크쇼’에서 “우리도 제조 AI 데이터가 풍부하지만, 최근 중국은 우리보다 데이터가 많고 학습 능력도 빨라지고 있다. 중국보다 우수해야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다”며 이처럼 제안했습니다.
또한 “일본은 한국과 다른 제조 데이터를 갖고 있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며 “배타적 경쟁이 아닌 전략적 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최 회장은 AI 산업 발전 방안과 관련해 “인재 육성은 필요하지만 시간이 걸리고 퀄리티도 약간 의심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또 다른 해법은 수입”이라며 “해외에서 고급 인력을 유입해야 한다. 중요한 타깃 분야가 AI”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한민국이 지금 성장을 못 하는 이유 중 제일 큰 게 두뇌 유출”이라며 “우리나라에 두뇌를 계속 유입시켜서 경제 활성화를 하고 내수 시장도 만들어야 선순환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다른 핵심 과제로는 전기요금 체계의 개편을 꼽았습니다.
최 회장은 “데이터센터 운영비 85%가 전기요금이다. 데이터 산업은 전기 잡아먹는 하마”라며 “전기요금을 싸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지도가 달라져야 한다. 발전소에서 가까운 곳은 싸져야 하고 멀수록 비싸져야 한다”면서 “유가 자유화 이전 옛날에는 전국 기름값이 똑같았지만 지금 그렇다면 이상하지 않나. 동일한 전기요금을 똑같이 계속 받겠다는 건 잘못된 발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업들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규제 혁신과 제도적 지원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AI 발전을 위해서는 좋은 데이터가 들어가야 하는데, 남의 데이터는 갖고 싶지만 내 데이터는 주고 싶지 않은 상황이 항상 있다”며 “이런 관계에선 더 이상 진화는 일어날 수 없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데이터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등 시너지를 통한 경쟁이 계속될 수 있게 만들어가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더 좋은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상의 제공]
최 회장은 오늘(18일) 경주 대한상의 하계포럼의 ‘AI 토크쇼’에서 “우리도 제조 AI 데이터가 풍부하지만, 최근 중국은 우리보다 데이터가 많고 학습 능력도 빨라지고 있다. 중국보다 우수해야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다”며 이처럼 제안했습니다.
또한 “일본은 한국과 다른 제조 데이터를 갖고 있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며 “배타적 경쟁이 아닌 전략적 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최 회장은 AI 산업 발전 방안과 관련해 “인재 육성은 필요하지만 시간이 걸리고 퀄리티도 약간 의심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또 다른 해법은 수입”이라며 “해외에서 고급 인력을 유입해야 한다. 중요한 타깃 분야가 AI”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한민국이 지금 성장을 못 하는 이유 중 제일 큰 게 두뇌 유출”이라며 “우리나라에 두뇌를 계속 유입시켜서 경제 활성화를 하고 내수 시장도 만들어야 선순환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다른 핵심 과제로는 전기요금 체계의 개편을 꼽았습니다.
최 회장은 “데이터센터 운영비 85%가 전기요금이다. 데이터 산업은 전기 잡아먹는 하마”라며 “전기요금을 싸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지도가 달라져야 한다. 발전소에서 가까운 곳은 싸져야 하고 멀수록 비싸져야 한다”면서 “유가 자유화 이전 옛날에는 전국 기름값이 똑같았지만 지금 그렇다면 이상하지 않나. 동일한 전기요금을 똑같이 계속 받겠다는 건 잘못된 발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업들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규제 혁신과 제도적 지원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AI 발전을 위해서는 좋은 데이터가 들어가야 하는데, 남의 데이터는 갖고 싶지만 내 데이터는 주고 싶지 않은 상황이 항상 있다”며 “이런 관계에선 더 이상 진화는 일어날 수 없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데이터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등 시너지를 통한 경쟁이 계속될 수 있게 만들어가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더 좋은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상의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태원 “제조 AI 최대 위협은 중국…일본과 데이터 교류해야”
-
- 입력 2025-07-18 17:30:11
- 수정2025-07-18 17:42:51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제조업 AI 최대 위협은 중국이다. 상당히 많은 데이터를 가진 일본과 협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오늘(18일) 경주 대한상의 하계포럼의 ‘AI 토크쇼’에서 “우리도 제조 AI 데이터가 풍부하지만, 최근 중국은 우리보다 데이터가 많고 학습 능력도 빨라지고 있다. 중국보다 우수해야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다”며 이처럼 제안했습니다.
또한 “일본은 한국과 다른 제조 데이터를 갖고 있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며 “배타적 경쟁이 아닌 전략적 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최 회장은 AI 산업 발전 방안과 관련해 “인재 육성은 필요하지만 시간이 걸리고 퀄리티도 약간 의심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또 다른 해법은 수입”이라며 “해외에서 고급 인력을 유입해야 한다. 중요한 타깃 분야가 AI”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한민국이 지금 성장을 못 하는 이유 중 제일 큰 게 두뇌 유출”이라며 “우리나라에 두뇌를 계속 유입시켜서 경제 활성화를 하고 내수 시장도 만들어야 선순환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다른 핵심 과제로는 전기요금 체계의 개편을 꼽았습니다.
최 회장은 “데이터센터 운영비 85%가 전기요금이다. 데이터 산업은 전기 잡아먹는 하마”라며 “전기요금을 싸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지도가 달라져야 한다. 발전소에서 가까운 곳은 싸져야 하고 멀수록 비싸져야 한다”면서 “유가 자유화 이전 옛날에는 전국 기름값이 똑같았지만 지금 그렇다면 이상하지 않나. 동일한 전기요금을 똑같이 계속 받겠다는 건 잘못된 발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업들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규제 혁신과 제도적 지원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AI 발전을 위해서는 좋은 데이터가 들어가야 하는데, 남의 데이터는 갖고 싶지만 내 데이터는 주고 싶지 않은 상황이 항상 있다”며 “이런 관계에선 더 이상 진화는 일어날 수 없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데이터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등 시너지를 통한 경쟁이 계속될 수 있게 만들어가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더 좋은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상의 제공]
최 회장은 오늘(18일) 경주 대한상의 하계포럼의 ‘AI 토크쇼’에서 “우리도 제조 AI 데이터가 풍부하지만, 최근 중국은 우리보다 데이터가 많고 학습 능력도 빨라지고 있다. 중국보다 우수해야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다”며 이처럼 제안했습니다.
또한 “일본은 한국과 다른 제조 데이터를 갖고 있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며 “배타적 경쟁이 아닌 전략적 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최 회장은 AI 산업 발전 방안과 관련해 “인재 육성은 필요하지만 시간이 걸리고 퀄리티도 약간 의심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또 다른 해법은 수입”이라며 “해외에서 고급 인력을 유입해야 한다. 중요한 타깃 분야가 AI”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한민국이 지금 성장을 못 하는 이유 중 제일 큰 게 두뇌 유출”이라며 “우리나라에 두뇌를 계속 유입시켜서 경제 활성화를 하고 내수 시장도 만들어야 선순환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다른 핵심 과제로는 전기요금 체계의 개편을 꼽았습니다.
최 회장은 “데이터센터 운영비 85%가 전기요금이다. 데이터 산업은 전기 잡아먹는 하마”라며 “전기요금을 싸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지도가 달라져야 한다. 발전소에서 가까운 곳은 싸져야 하고 멀수록 비싸져야 한다”면서 “유가 자유화 이전 옛날에는 전국 기름값이 똑같았지만 지금 그렇다면 이상하지 않나. 동일한 전기요금을 똑같이 계속 받겠다는 건 잘못된 발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업들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규제 혁신과 제도적 지원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AI 발전을 위해서는 좋은 데이터가 들어가야 하는데, 남의 데이터는 갖고 싶지만 내 데이터는 주고 싶지 않은 상황이 항상 있다”며 “이런 관계에선 더 이상 진화는 일어날 수 없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데이터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등 시너지를 통한 경쟁이 계속될 수 있게 만들어가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더 좋은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상의 제공]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