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에 드론 공습 늘린 러, 명중률 3배 높아져

입력 2025.07.21 (21:02) 수정 2025.07.21 (21: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최근 3개월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드론 공습을 대폭 늘리면서 명중률도 이전의 3배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시간 21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와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우크라이나 공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4월에서 6월 사이 러시아가 쏜 드론의 약 15%가 방공망을 뚫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1월에서 3월 사이 5%보다 높고,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최고치입니다.

야시르 아탈란 CSIS 연구원은 "발사 규모가 커지면서 방공 시스템이 포화해 명중률이 높아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가 한때 드론 공격에서 우위였던 우크라이나를 빠르게 따라잡은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대목입니다.

러시아는 자국 내 개량 생산한 이란제 샤헤드 드론을 '게란(제라늄)'으로 명명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도 러시아 드론에 위치 정보시스템(GPS) 유도 시스템 전파방해, 기관총, 대공포 사용 등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또, 요격 드론 생산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드론과 함께 순항, 탄도미사일을 섞어 공습에 쓰고 있는데 이 역시 우크라이나 방공망을 교란하기 위한 시도로 분석됩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크라에 드론 공습 늘린 러, 명중률 3배 높아져
    • 입력 2025-07-21 21:02:38
    • 수정2025-07-21 21:05:38
    국제
러시아가 최근 3개월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드론 공습을 대폭 늘리면서 명중률도 이전의 3배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시간 21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와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우크라이나 공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4월에서 6월 사이 러시아가 쏜 드론의 약 15%가 방공망을 뚫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1월에서 3월 사이 5%보다 높고,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최고치입니다.

야시르 아탈란 CSIS 연구원은 "발사 규모가 커지면서 방공 시스템이 포화해 명중률이 높아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가 한때 드론 공격에서 우위였던 우크라이나를 빠르게 따라잡은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대목입니다.

러시아는 자국 내 개량 생산한 이란제 샤헤드 드론을 '게란(제라늄)'으로 명명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도 러시아 드론에 위치 정보시스템(GPS) 유도 시스템 전파방해, 기관총, 대공포 사용 등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또, 요격 드론 생산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드론과 함께 순항, 탄도미사일을 섞어 공습에 쓰고 있는데 이 역시 우크라이나 방공망을 교란하기 위한 시도로 분석됩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