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인질 억류’ 추정 지역 지상군 첫 진격…WHO 시설 공격도
입력 2025.07.22 (09:20)
수정 2025.07.22 (09: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자 전쟁 휴전 논의가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이스라엘 지상군이 처음으로 인질 억류 지역으로 추정되는 가자지구 중부 데이르알발라에 진격했습니다.
현지 의료진은 현지 시각 21일 데이르알발라를 향한 전차 포격으로 주택과 모스크(이슬람사원) 등이 피해를 봐 최소 3명이 숨지고 여러 명이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이 데이르알발라에서 지상전을 감행한 것은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한 2023년 10월 이후 처음입니다.
이스라엘 소식통은 이스라엘군이 이 지역에 인질이 아직 살아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이날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서 돌아오지 못한 인질 50명 가운데 20명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질 가족 단체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에게 인질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설명을 요구하며 데이르알발라 진입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한편, 이스라엘의 데이르알발라 진격 과정에서 WHO 등 국제기구 시설 등도 공격에 노출됐습니다. WHO 등은 이스라엘이 불가침 시설 보호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데이르알발라 내 직원 숙소와 주요 창고가 공격받았다며 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말했습니다.
WHO는 직원 거주지가 세 차례 공격받았고 이스라엘군이 건물로 진입해 여성과 어린이들에게 대피를 강요했으며 남성 직원과 가족들에게 수갑을 채우고 총구를 겨눴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WHO 직원 2명과 가족 2명이 구금됐다 3명은 풀려났지만, 직원 1명은 여전히 구금된 상태라며 “직원들에 대한 보호와 구금된 직원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대피 구역 내에 있는 WHO 창고가 폭발과 화재로 피해를 보았다”며 “의료시설을 조직적으로 파괴하는 행위”라고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특히 WHO 시설들은 대피 구역 내에 있으며 모든 WHO 시설의 좌표가 관련 당사자들에게 공유된다며 “해당 시설에 대한 위협은 가자지구 인도적 보건 대응 전체에 대한 위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스라엘의 데이르알발라 진입은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휴전 협상을 더 복잡하게 만들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하마스 관계자는 지난 20일 로이터통신에 “사망자 수 증가와 기아 위기에 하마스가 분노했으며 이는 60일 휴전 및 인질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현지 의료진은 현지 시각 21일 데이르알발라를 향한 전차 포격으로 주택과 모스크(이슬람사원) 등이 피해를 봐 최소 3명이 숨지고 여러 명이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이 데이르알발라에서 지상전을 감행한 것은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한 2023년 10월 이후 처음입니다.
이스라엘 소식통은 이스라엘군이 이 지역에 인질이 아직 살아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이날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서 돌아오지 못한 인질 50명 가운데 20명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질 가족 단체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에게 인질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설명을 요구하며 데이르알발라 진입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한편, 이스라엘의 데이르알발라 진격 과정에서 WHO 등 국제기구 시설 등도 공격에 노출됐습니다. WHO 등은 이스라엘이 불가침 시설 보호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데이르알발라 내 직원 숙소와 주요 창고가 공격받았다며 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말했습니다.
WHO는 직원 거주지가 세 차례 공격받았고 이스라엘군이 건물로 진입해 여성과 어린이들에게 대피를 강요했으며 남성 직원과 가족들에게 수갑을 채우고 총구를 겨눴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WHO 직원 2명과 가족 2명이 구금됐다 3명은 풀려났지만, 직원 1명은 여전히 구금된 상태라며 “직원들에 대한 보호와 구금된 직원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대피 구역 내에 있는 WHO 창고가 폭발과 화재로 피해를 보았다”며 “의료시설을 조직적으로 파괴하는 행위”라고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특히 WHO 시설들은 대피 구역 내에 있으며 모든 WHO 시설의 좌표가 관련 당사자들에게 공유된다며 “해당 시설에 대한 위협은 가자지구 인도적 보건 대응 전체에 대한 위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스라엘의 데이르알발라 진입은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휴전 협상을 더 복잡하게 만들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하마스 관계자는 지난 20일 로이터통신에 “사망자 수 증가와 기아 위기에 하마스가 분노했으며 이는 60일 휴전 및 인질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스라엘, ‘인질 억류’ 추정 지역 지상군 첫 진격…WHO 시설 공격도
-
- 입력 2025-07-22 09:20:49
- 수정2025-07-22 09:30:18

가자 전쟁 휴전 논의가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이스라엘 지상군이 처음으로 인질 억류 지역으로 추정되는 가자지구 중부 데이르알발라에 진격했습니다.
현지 의료진은 현지 시각 21일 데이르알발라를 향한 전차 포격으로 주택과 모스크(이슬람사원) 등이 피해를 봐 최소 3명이 숨지고 여러 명이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이 데이르알발라에서 지상전을 감행한 것은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한 2023년 10월 이후 처음입니다.
이스라엘 소식통은 이스라엘군이 이 지역에 인질이 아직 살아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이날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서 돌아오지 못한 인질 50명 가운데 20명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질 가족 단체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에게 인질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설명을 요구하며 데이르알발라 진입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한편, 이스라엘의 데이르알발라 진격 과정에서 WHO 등 국제기구 시설 등도 공격에 노출됐습니다. WHO 등은 이스라엘이 불가침 시설 보호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데이르알발라 내 직원 숙소와 주요 창고가 공격받았다며 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말했습니다.
WHO는 직원 거주지가 세 차례 공격받았고 이스라엘군이 건물로 진입해 여성과 어린이들에게 대피를 강요했으며 남성 직원과 가족들에게 수갑을 채우고 총구를 겨눴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WHO 직원 2명과 가족 2명이 구금됐다 3명은 풀려났지만, 직원 1명은 여전히 구금된 상태라며 “직원들에 대한 보호와 구금된 직원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대피 구역 내에 있는 WHO 창고가 폭발과 화재로 피해를 보았다”며 “의료시설을 조직적으로 파괴하는 행위”라고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특히 WHO 시설들은 대피 구역 내에 있으며 모든 WHO 시설의 좌표가 관련 당사자들에게 공유된다며 “해당 시설에 대한 위협은 가자지구 인도적 보건 대응 전체에 대한 위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스라엘의 데이르알발라 진입은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휴전 협상을 더 복잡하게 만들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하마스 관계자는 지난 20일 로이터통신에 “사망자 수 증가와 기아 위기에 하마스가 분노했으며 이는 60일 휴전 및 인질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현지 의료진은 현지 시각 21일 데이르알발라를 향한 전차 포격으로 주택과 모스크(이슬람사원) 등이 피해를 봐 최소 3명이 숨지고 여러 명이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이 데이르알발라에서 지상전을 감행한 것은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한 2023년 10월 이후 처음입니다.
이스라엘 소식통은 이스라엘군이 이 지역에 인질이 아직 살아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이날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서 돌아오지 못한 인질 50명 가운데 20명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질 가족 단체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에게 인질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설명을 요구하며 데이르알발라 진입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한편, 이스라엘의 데이르알발라 진격 과정에서 WHO 등 국제기구 시설 등도 공격에 노출됐습니다. WHO 등은 이스라엘이 불가침 시설 보호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데이르알발라 내 직원 숙소와 주요 창고가 공격받았다며 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말했습니다.
WHO는 직원 거주지가 세 차례 공격받았고 이스라엘군이 건물로 진입해 여성과 어린이들에게 대피를 강요했으며 남성 직원과 가족들에게 수갑을 채우고 총구를 겨눴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WHO 직원 2명과 가족 2명이 구금됐다 3명은 풀려났지만, 직원 1명은 여전히 구금된 상태라며 “직원들에 대한 보호와 구금된 직원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대피 구역 내에 있는 WHO 창고가 폭발과 화재로 피해를 보았다”며 “의료시설을 조직적으로 파괴하는 행위”라고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특히 WHO 시설들은 대피 구역 내에 있으며 모든 WHO 시설의 좌표가 관련 당사자들에게 공유된다며 “해당 시설에 대한 위협은 가자지구 인도적 보건 대응 전체에 대한 위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스라엘의 데이르알발라 진입은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휴전 협상을 더 복잡하게 만들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하마스 관계자는 지난 20일 로이터통신에 “사망자 수 증가와 기아 위기에 하마스가 분노했으며 이는 60일 휴전 및 인질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정지주 기자 jjcheong@kbs.co.kr
정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