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접수한 K-만두, 인기 비결은? [박대기의 핫클립]

입력 2025.07.23 (18:10) 수정 2025.07.23 (1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입니다.

'겉바속촉' 겉은 바삭, 속은 촉촉한 만두입니다.

집집마다 냉동실에 비상용으로 쟁여두는 우리나라 만두가 세계적으로 큰 인기입니다.

[미국 홈쇼핑 진행자 : "이건 한국어로 만두라고 하는데, 덤플링을 가리킵니다. 만두는 원래 한국의 왕족들이 먹던 굉장히 특별한 음식입니다."]

우리도 몰랐던 역사를 미국 유명 홈쇼핑 채널에서 안내해 주네요.

지글지글 굽는 소리만 들어도 침이 고이는데요.

한입 베어물면 입안 가득 육즙이 터지는 그 맛에 미국인들도 참을 수 없겠죠?

[유튜버 '린자' : "만두가 황금색이 되면 뒤집으세요. 그게 바삭함의 비법이죠. 정말 바삭해."]

우리나라 냉동 만두의 인기가 미국에서도 급속도로 퍼졌습니다.

덤플링이라는 영어 대신 'M.A.N.D.U', 우리말 만두가 보통명사가 됐을 정도입니다.

6년 전 미국에서 8%도 안 됐던 비비고의 가정용 만두 점유율은 지난해 41%, 독과점 수준으로 뛰었습니다.

미국에선 줄곧 일본의 '링링 교자'가 1위였지만 4년 전 역전한 건데요.

독일과 네덜란드에서도 비비고가 시장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입니다.

[남보라/배우/KBS 편스토랑 : "(만두 100개의 만두소가 완성됐습니다. 여러분.) 자 본격적으로 만두를 싸 봅시다. 100장 금방 싸지 않을까?"]

예전엔 집에서 직접 만드는 분도 많았는데요.

요새 만두는 얇고 쫄깃한 만두피부터 육즙을 촉촉하게 가두는 만두소 기법까지, 첨단 식품기술의 집약체입니다.

한국에선 호불호가 있는 식재료 고수를 미국 제품에는 첨가하는 현지화 전략.

그리고 지방이 적은 닭고기와 채소를 늘린 것도 "한국 음식은 건강하다"는 세계인의 인식과 맞아떨어졌습니다.

국내에서는 CJ외에도 해태와 풀무원, 동원과 오뚜기가 다툼을 벌이고 있는데, 경쟁을 통한 혁신도 K 만두의 성장 배경입니다.

[영화 '쿵푸 팬더' : "만두 먹어~"]

만두의 기원에 대해서는 메소포티미아설과 중국설이 대립하고 있습니다.

삼국지에선 제갈공명이 창안했다고도 나오죠.

원조로 자부하는 중국에서는 CJ가 신청한 만두 모양에 대해 미국 특허가 승인되자 날 선 반응을 보였습니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어이없다"는 게시물을 올리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긴장과는 별도로 중국에서 한국 만두는 매년 천억 원 넘는 매출을 올리며 잘 팔립니다.

뿐만 아니라 풀무원 냉동김밥이 1년 새 100억 원어치나 팔리는 등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큰데요.

김밥, 불닭면, 그리고 만두… K-푸드의 인기는 어디까지 계속될까요.

'박대기의 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유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 접수한 K-만두, 인기 비결은? [박대기의 핫클립]
    • 입력 2025-07-23 18:10:29
    • 수정2025-07-23 18:16:19
    경제콘서트
'박대기의 핫클립'입니다.

'겉바속촉' 겉은 바삭, 속은 촉촉한 만두입니다.

집집마다 냉동실에 비상용으로 쟁여두는 우리나라 만두가 세계적으로 큰 인기입니다.

[미국 홈쇼핑 진행자 : "이건 한국어로 만두라고 하는데, 덤플링을 가리킵니다. 만두는 원래 한국의 왕족들이 먹던 굉장히 특별한 음식입니다."]

우리도 몰랐던 역사를 미국 유명 홈쇼핑 채널에서 안내해 주네요.

지글지글 굽는 소리만 들어도 침이 고이는데요.

한입 베어물면 입안 가득 육즙이 터지는 그 맛에 미국인들도 참을 수 없겠죠?

[유튜버 '린자' : "만두가 황금색이 되면 뒤집으세요. 그게 바삭함의 비법이죠. 정말 바삭해."]

우리나라 냉동 만두의 인기가 미국에서도 급속도로 퍼졌습니다.

덤플링이라는 영어 대신 'M.A.N.D.U', 우리말 만두가 보통명사가 됐을 정도입니다.

6년 전 미국에서 8%도 안 됐던 비비고의 가정용 만두 점유율은 지난해 41%, 독과점 수준으로 뛰었습니다.

미국에선 줄곧 일본의 '링링 교자'가 1위였지만 4년 전 역전한 건데요.

독일과 네덜란드에서도 비비고가 시장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입니다.

[남보라/배우/KBS 편스토랑 : "(만두 100개의 만두소가 완성됐습니다. 여러분.) 자 본격적으로 만두를 싸 봅시다. 100장 금방 싸지 않을까?"]

예전엔 집에서 직접 만드는 분도 많았는데요.

요새 만두는 얇고 쫄깃한 만두피부터 육즙을 촉촉하게 가두는 만두소 기법까지, 첨단 식품기술의 집약체입니다.

한국에선 호불호가 있는 식재료 고수를 미국 제품에는 첨가하는 현지화 전략.

그리고 지방이 적은 닭고기와 채소를 늘린 것도 "한국 음식은 건강하다"는 세계인의 인식과 맞아떨어졌습니다.

국내에서는 CJ외에도 해태와 풀무원, 동원과 오뚜기가 다툼을 벌이고 있는데, 경쟁을 통한 혁신도 K 만두의 성장 배경입니다.

[영화 '쿵푸 팬더' : "만두 먹어~"]

만두의 기원에 대해서는 메소포티미아설과 중국설이 대립하고 있습니다.

삼국지에선 제갈공명이 창안했다고도 나오죠.

원조로 자부하는 중국에서는 CJ가 신청한 만두 모양에 대해 미국 특허가 승인되자 날 선 반응을 보였습니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어이없다"는 게시물을 올리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긴장과는 별도로 중국에서 한국 만두는 매년 천억 원 넘는 매출을 올리며 잘 팔립니다.

뿐만 아니라 풀무원 냉동김밥이 1년 새 100억 원어치나 팔리는 등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큰데요.

김밥, 불닭면, 그리고 만두… K-푸드의 인기는 어디까지 계속될까요.

'박대기의 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유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