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4주째 둔화…“매수 관망세 지속”

입력 2025.07.24 (14:03) 수정 2025.07.24 (14: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6.27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가 이어지며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4주 연속 둔화 흐름을 보였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오늘(24일) 발표한 ‘2025년 7월 3주(7.21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6% 올라 2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상승 폭은 전주(0.19%)보다 0.03%P 감소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5월 첫째 주 이후 8주 연속 상승 폭을 계속 키워오다 6월 5째주부터 상승 폭이 축소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됐다”면서도 “매수 관망세가 지속돼 거래가 감소했다”고 분석했습니다.

강남3구 중 서초구(0.32%→0.28%), 강남구(0.15%→0.14%)는 상승 폭이 감소했지만 송파구(0.36%→0.43%)는 상승했습니다.

성동구(0.45%→0.37%), 마포구(0.24%→0.11%), 용산구(0.26%→0.24%), 양천구(0.29%→0.27%), 영등포구(0.26%→0.22%) 등으로 서울 내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상승 폭이 증가한 곳은 중랑구(0.03%→0.05%), 강서구(0.09%→0.13%) 입니다.

전국 아파트값은 0.01% 올라 전주(0.02%)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도 0.01% 올라 전주(0.02%)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서울(0.07%→0.06%)은 상승 폭이 줄었고, 지방(0.00%→0.00%)은 보합, 세종은 0.08%→0.11%, 과천은 0.38%→0.33%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4주째 둔화…“매수 관망세 지속”
    • 입력 2025-07-24 14:03:21
    • 수정2025-07-24 14:04:27
    경제
6.27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가 이어지며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4주 연속 둔화 흐름을 보였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오늘(24일) 발표한 ‘2025년 7월 3주(7.21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6% 올라 2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상승 폭은 전주(0.19%)보다 0.03%P 감소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5월 첫째 주 이후 8주 연속 상승 폭을 계속 키워오다 6월 5째주부터 상승 폭이 축소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됐다”면서도 “매수 관망세가 지속돼 거래가 감소했다”고 분석했습니다.

강남3구 중 서초구(0.32%→0.28%), 강남구(0.15%→0.14%)는 상승 폭이 감소했지만 송파구(0.36%→0.43%)는 상승했습니다.

성동구(0.45%→0.37%), 마포구(0.24%→0.11%), 용산구(0.26%→0.24%), 양천구(0.29%→0.27%), 영등포구(0.26%→0.22%) 등으로 서울 내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상승 폭이 증가한 곳은 중랑구(0.03%→0.05%), 강서구(0.09%→0.13%) 입니다.

전국 아파트값은 0.01% 올라 전주(0.02%)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도 0.01% 올라 전주(0.02%)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서울(0.07%→0.06%)은 상승 폭이 줄었고, 지방(0.00%→0.00%)은 보합, 세종은 0.08%→0.11%, 과천은 0.38%→0.33%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