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트럼프 압박에 “캄보디아와 휴전 원해, 가능한 빨리 양자 대화”

입력 2025.07.27 (10:46) 수정 2025.07.27 (10: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국 정부가 최근 사흘 동안 국경을 사이에 두고 무력 충돌을 벌인 캄보디아와 휴전하는 데 동의하고 사태 해결을 위한 양자 대화에도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태국 외교부는 현지 시각 26일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원칙적으로 (캄보디아와)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태국·캄보디아 정상과 각각 전화 통화를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양국이) 빠르게 휴전 협정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뒤 추가로 나온 입장입니다.

태국 외무부는 “총리 권한대행인 품탐 웨차야차이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이 ‘평화적 해결을 위한 조치와 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양자 대화를 하고 싶다’는 의사를 캄보디아 측에 전달해달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향후 휴전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캄보디아의 진지한 의지를 보고 싶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태국은 휴전 구상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검토도 하겠지만, 캄보디아가 먼저 적대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휴전 중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무역 협상을 중단하겠다고 압박하자 전제 조건 없이 양자 대화에 나서겠다고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측은 미국과 ‘무역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기를 원하는데 우리는 싸움이 끝날 때까지 그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이 알려진 이후 캄보디아 측의 추가 입장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지만,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이미 소셜미디어를 통해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의 휴전 제안에 동의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국경을 맞닿은 이웃 국가인 태국과 캄보디아는 지난 5월 말 태국 북동부 우본라차타니주 남위안 지역 국경지대에서 발생한 소규모 교전으로 캄보디아 군인 1명이 숨진 뒤 지속해서 갈등을 빚었습니다.

지난 24일부터 사흘동안은 전투기까지 동원한 무력 충돌을 했으며 양국 민간인과 군인 등 33명이 숨지고 130여명이 다쳤습니다. 이번 교전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08∼2011년 양국의 국경 분쟁 당시 28명을 넘어섰습니다.

또 두 나라 국경을 따라 교전이 확대되면서 16만명 이상이 피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27일 오전 현재 태국과 캄보디아가 무력 충돌을 재개한 정황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태국, 트럼프 압박에 “캄보디아와 휴전 원해, 가능한 빨리 양자 대화”
    • 입력 2025-07-27 10:46:55
    • 수정2025-07-27 10:49:46
    국제
태국 정부가 최근 사흘 동안 국경을 사이에 두고 무력 충돌을 벌인 캄보디아와 휴전하는 데 동의하고 사태 해결을 위한 양자 대화에도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태국 외교부는 현지 시각 26일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원칙적으로 (캄보디아와)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태국·캄보디아 정상과 각각 전화 통화를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양국이) 빠르게 휴전 협정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뒤 추가로 나온 입장입니다.

태국 외무부는 “총리 권한대행인 품탐 웨차야차이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이 ‘평화적 해결을 위한 조치와 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양자 대화를 하고 싶다’는 의사를 캄보디아 측에 전달해달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향후 휴전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캄보디아의 진지한 의지를 보고 싶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태국은 휴전 구상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검토도 하겠지만, 캄보디아가 먼저 적대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휴전 중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무역 협상을 중단하겠다고 압박하자 전제 조건 없이 양자 대화에 나서겠다고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측은 미국과 ‘무역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기를 원하는데 우리는 싸움이 끝날 때까지 그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이 알려진 이후 캄보디아 측의 추가 입장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지만,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이미 소셜미디어를 통해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의 휴전 제안에 동의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국경을 맞닿은 이웃 국가인 태국과 캄보디아는 지난 5월 말 태국 북동부 우본라차타니주 남위안 지역 국경지대에서 발생한 소규모 교전으로 캄보디아 군인 1명이 숨진 뒤 지속해서 갈등을 빚었습니다.

지난 24일부터 사흘동안은 전투기까지 동원한 무력 충돌을 했으며 양국 민간인과 군인 등 33명이 숨지고 130여명이 다쳤습니다. 이번 교전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08∼2011년 양국의 국경 분쟁 당시 28명을 넘어섰습니다.

또 두 나라 국경을 따라 교전이 확대되면서 16만명 이상이 피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27일 오전 현재 태국과 캄보디아가 무력 충돌을 재개한 정황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