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 7천억 원…반도체 6분기 만에 최저
입력 2025.07.31 (10:03)
수정 2025.07.31 (10: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000억 원에 그치면서 6분기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에서 크게 부진하고, 고객사 수주 난항을 겪었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에서 2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영향입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 6,76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31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74조 5,663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0.67% 늘었습니다. 순이익은 5조 1,164억 원으로 48.01% 줄었습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은 매출 27조 9,000억 원, 영업이익 4,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조 원대 적자를 기록한 2023년 4분기 이후 최저치였습니다.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처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1%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전 분기 대비 8,000억 원 줄었습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사업에서 HBM3E(5세대 HBM)와 고용량 DDR5 제품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했고, 데이터센터용 SSD 판매도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시스템 LSI 사업부는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GAA(게이트 올 어라운드) 공정을 적용한 SoC(시스템 온 칩)를 공급하며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지만, 첨단제품 개발 비용이 올라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습니다.
파운드리 사업부는 전 분기보다는 매출이 큰 폭으로 개선됐지만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으로 재고 충당금이 발생했습니다. 또 성숙 공정 라인에서 저조한 가동률이 지속되면서 실적이 부진했습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완제품을 담당하는 DX부문은 매출 43조 6,000억 원, 영업이익 3조 3,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갤럭시 S25 출시 효과 감소와 TV 시장의 경쟁 심화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조 4,000억 원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에서 크게 부진하고, 고객사 수주 난항을 겪었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에서 2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영향입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 6,76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31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74조 5,663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0.67% 늘었습니다. 순이익은 5조 1,164억 원으로 48.01% 줄었습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은 매출 27조 9,000억 원, 영업이익 4,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조 원대 적자를 기록한 2023년 4분기 이후 최저치였습니다.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처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1%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전 분기 대비 8,000억 원 줄었습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사업에서 HBM3E(5세대 HBM)와 고용량 DDR5 제품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했고, 데이터센터용 SSD 판매도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시스템 LSI 사업부는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GAA(게이트 올 어라운드) 공정을 적용한 SoC(시스템 온 칩)를 공급하며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지만, 첨단제품 개발 비용이 올라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습니다.
파운드리 사업부는 전 분기보다는 매출이 큰 폭으로 개선됐지만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으로 재고 충당금이 발생했습니다. 또 성숙 공정 라인에서 저조한 가동률이 지속되면서 실적이 부진했습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완제품을 담당하는 DX부문은 매출 43조 6,000억 원, 영업이익 3조 3,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갤럭시 S25 출시 효과 감소와 TV 시장의 경쟁 심화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조 4,000억 원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 7천억 원…반도체 6분기 만에 최저
-
- 입력 2025-07-31 10:03:26
- 수정2025-07-31 10:13:12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000억 원에 그치면서 6분기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에서 크게 부진하고, 고객사 수주 난항을 겪었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에서 2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영향입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 6,76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31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74조 5,663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0.67% 늘었습니다. 순이익은 5조 1,164억 원으로 48.01% 줄었습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은 매출 27조 9,000억 원, 영업이익 4,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조 원대 적자를 기록한 2023년 4분기 이후 최저치였습니다.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처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1%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전 분기 대비 8,000억 원 줄었습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사업에서 HBM3E(5세대 HBM)와 고용량 DDR5 제품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했고, 데이터센터용 SSD 판매도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시스템 LSI 사업부는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GAA(게이트 올 어라운드) 공정을 적용한 SoC(시스템 온 칩)를 공급하며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지만, 첨단제품 개발 비용이 올라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습니다.
파운드리 사업부는 전 분기보다는 매출이 큰 폭으로 개선됐지만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으로 재고 충당금이 발생했습니다. 또 성숙 공정 라인에서 저조한 가동률이 지속되면서 실적이 부진했습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완제품을 담당하는 DX부문은 매출 43조 6,000억 원, 영업이익 3조 3,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갤럭시 S25 출시 효과 감소와 TV 시장의 경쟁 심화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조 4,000억 원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에서 크게 부진하고, 고객사 수주 난항을 겪었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에서 2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영향입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 6,76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31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74조 5,663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0.67% 늘었습니다. 순이익은 5조 1,164억 원으로 48.01% 줄었습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은 매출 27조 9,000억 원, 영업이익 4,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조 원대 적자를 기록한 2023년 4분기 이후 최저치였습니다.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처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1%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전 분기 대비 8,000억 원 줄었습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사업에서 HBM3E(5세대 HBM)와 고용량 DDR5 제품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했고, 데이터센터용 SSD 판매도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시스템 LSI 사업부는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GAA(게이트 올 어라운드) 공정을 적용한 SoC(시스템 온 칩)를 공급하며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지만, 첨단제품 개발 비용이 올라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습니다.
파운드리 사업부는 전 분기보다는 매출이 큰 폭으로 개선됐지만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으로 재고 충당금이 발생했습니다. 또 성숙 공정 라인에서 저조한 가동률이 지속되면서 실적이 부진했습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완제품을 담당하는 DX부문은 매출 43조 6,000억 원, 영업이익 3조 3,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갤럭시 S25 출시 효과 감소와 TV 시장의 경쟁 심화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조 4,000억 원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도윤 기자 dobby@kbs.co.kr
이도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