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적 타결’ 협상단…“조선 협력 ‘MASGA’ 주목”
입력 2025.07.31 (19:06)
수정 2025.07.31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협상단도 현지에서 브리핑을 열고, 경과를 자세히 전했습니다.
이번 합의 가운데 특히 1,500억 달러 규모 조선업 협력, 이른바 'MASGA' 프로젝트 등이 우리 기업에도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양민효 기자입니다.
[리포트]
관세 부과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을 이루기까지, 미국과 줄다리기 협상을 벌여 온 한국 협상단은 이번 합의가 '상호 호혜적' 결과라고 자평했습니다.
상호 관세는 15%, 자동차와 부품 관세도 일본과 동일한 15%로 인하됐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품목 관세도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는 것입니다.
협상단을 이끌어 온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특히 가장 주목할 부분은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이른바 'MASGA' 프로젝트라고 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돕는 새로운 기회이자, 사실상 '우리 사업으로 진행'될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가진 우리 조선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도우면서 새로운 기회와 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국 내 선박 건조가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트럼프가 소셜미디어에 밝힌 3500억 달러 금액은 조선업 분야 1500억 달러와 대미 금융 패키지 2000억 달러를 합친 것으로, 경제 규모를 감안해 일본의 36%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농축산물과 관련해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되, 검역 절차 개선 등 비관세 장벽 관련 논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국 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습니다."]
협상단은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일본 등 경쟁국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 인하로, 우리 기업들이 동등하거나 더 나은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이번 합의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우리 협상단도 현지에서 브리핑을 열고, 경과를 자세히 전했습니다.
이번 합의 가운데 특히 1,500억 달러 규모 조선업 협력, 이른바 'MASGA' 프로젝트 등이 우리 기업에도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양민효 기자입니다.
[리포트]
관세 부과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을 이루기까지, 미국과 줄다리기 협상을 벌여 온 한국 협상단은 이번 합의가 '상호 호혜적' 결과라고 자평했습니다.
상호 관세는 15%, 자동차와 부품 관세도 일본과 동일한 15%로 인하됐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품목 관세도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는 것입니다.
협상단을 이끌어 온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특히 가장 주목할 부분은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이른바 'MASGA' 프로젝트라고 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돕는 새로운 기회이자, 사실상 '우리 사업으로 진행'될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가진 우리 조선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도우면서 새로운 기회와 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국 내 선박 건조가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트럼프가 소셜미디어에 밝힌 3500억 달러 금액은 조선업 분야 1500억 달러와 대미 금융 패키지 2000억 달러를 합친 것으로, 경제 규모를 감안해 일본의 36%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농축산물과 관련해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되, 검역 절차 개선 등 비관세 장벽 관련 논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국 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습니다."]
협상단은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일본 등 경쟁국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 인하로, 우리 기업들이 동등하거나 더 나은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이번 합의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극적 타결’ 협상단…“조선 협력 ‘MASGA’ 주목”
-
- 입력 2025-07-31 19:06:06
- 수정2025-07-31 19:47:20

[앵커]
우리 협상단도 현지에서 브리핑을 열고, 경과를 자세히 전했습니다.
이번 합의 가운데 특히 1,500억 달러 규모 조선업 협력, 이른바 'MASGA' 프로젝트 등이 우리 기업에도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양민효 기자입니다.
[리포트]
관세 부과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을 이루기까지, 미국과 줄다리기 협상을 벌여 온 한국 협상단은 이번 합의가 '상호 호혜적' 결과라고 자평했습니다.
상호 관세는 15%, 자동차와 부품 관세도 일본과 동일한 15%로 인하됐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품목 관세도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는 것입니다.
협상단을 이끌어 온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특히 가장 주목할 부분은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이른바 'MASGA' 프로젝트라고 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돕는 새로운 기회이자, 사실상 '우리 사업으로 진행'될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가진 우리 조선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도우면서 새로운 기회와 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국 내 선박 건조가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트럼프가 소셜미디어에 밝힌 3500억 달러 금액은 조선업 분야 1500억 달러와 대미 금융 패키지 2000억 달러를 합친 것으로, 경제 규모를 감안해 일본의 36%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농축산물과 관련해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되, 검역 절차 개선 등 비관세 장벽 관련 논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국 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습니다."]
협상단은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일본 등 경쟁국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 인하로, 우리 기업들이 동등하거나 더 나은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이번 합의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우리 협상단도 현지에서 브리핑을 열고, 경과를 자세히 전했습니다.
이번 합의 가운데 특히 1,500억 달러 규모 조선업 협력, 이른바 'MASGA' 프로젝트 등이 우리 기업에도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양민효 기자입니다.
[리포트]
관세 부과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을 이루기까지, 미국과 줄다리기 협상을 벌여 온 한국 협상단은 이번 합의가 '상호 호혜적' 결과라고 자평했습니다.
상호 관세는 15%, 자동차와 부품 관세도 일본과 동일한 15%로 인하됐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품목 관세도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는 것입니다.
협상단을 이끌어 온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특히 가장 주목할 부분은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이른바 'MASGA' 프로젝트라고 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돕는 새로운 기회이자, 사실상 '우리 사업으로 진행'될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가진 우리 조선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도우면서 새로운 기회와 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국 내 선박 건조가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트럼프가 소셜미디어에 밝힌 3500억 달러 금액은 조선업 분야 1500억 달러와 대미 금융 패키지 2000억 달러를 합친 것으로, 경제 규모를 감안해 일본의 36%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농축산물과 관련해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되, 검역 절차 개선 등 비관세 장벽 관련 논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국 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습니다."]
협상단은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일본 등 경쟁국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 인하로, 우리 기업들이 동등하거나 더 나은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이번 합의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