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망록 쓰는게 유행이라는데” 이 대통령 고위공직자 특강 [지금뉴스]
입력 2025.08.03 (09:00)
수정 2025.08.03 (0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신임 장·차관 등 중앙부처 고위공직자들에게 적극 행정을 주문하면서 "직권남용죄의 남용을 막기 위한 장치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별관 대강당에서 열린 고위공직자 워크숍에서 "돈을 받아먹었다든지 권력을 폭력적으로 남용해 질서를 어지럽혔다면 모르겠지만, 정상적 행정에 형사사법의 잣대를 들이대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남용 기준이 뭐냐. 부하가 하기 싫었는데 하면 남용이고, 흔쾌히 하고 싶어서 했으면 무죄냐. 이게 말이 되느냐. 불안해서 지시를 어떻게 하느냐"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사후적으로 평가해서 책임을 물으면 인간에게 신의 능력을 요구하는 것 아니냐"며 "정책 감사도 악용의 소지가 너무 크기 때문에 폐지하는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문제의 근본 원인에 대해 "제일 큰 책임은 정치의 상실에 있다"며 "서로 제거하려고 하고 편이 갈려서 '잘해도 적, 못해도 내 편'이 돼 버렸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이날 워크숍은 새 정부의 비전에 대한 공직사회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김민석 국무총리를 포함해 중앙부처 장·차관과 실장급 이상 공직자 및 대통령실 비서관 등 28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국민주권 정부 국정운영 방향과 고위공직자의 자세'란 주제로 약 1시간 6분간 특강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별관 대강당에서 열린 고위공직자 워크숍에서 "돈을 받아먹었다든지 권력을 폭력적으로 남용해 질서를 어지럽혔다면 모르겠지만, 정상적 행정에 형사사법의 잣대를 들이대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남용 기준이 뭐냐. 부하가 하기 싫었는데 하면 남용이고, 흔쾌히 하고 싶어서 했으면 무죄냐. 이게 말이 되느냐. 불안해서 지시를 어떻게 하느냐"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사후적으로 평가해서 책임을 물으면 인간에게 신의 능력을 요구하는 것 아니냐"며 "정책 감사도 악용의 소지가 너무 크기 때문에 폐지하는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문제의 근본 원인에 대해 "제일 큰 책임은 정치의 상실에 있다"며 "서로 제거하려고 하고 편이 갈려서 '잘해도 적, 못해도 내 편'이 돼 버렸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이날 워크숍은 새 정부의 비전에 대한 공직사회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김민석 국무총리를 포함해 중앙부처 장·차관과 실장급 이상 공직자 및 대통령실 비서관 등 28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국민주권 정부 국정운영 방향과 고위공직자의 자세'란 주제로 약 1시간 6분간 특강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망록 쓰는게 유행이라는데” 이 대통령 고위공직자 특강 [지금뉴스]
-
- 입력 2025-08-03 09:00:37
- 수정2025-08-03 09:01:05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신임 장·차관 등 중앙부처 고위공직자들에게 적극 행정을 주문하면서 "직권남용죄의 남용을 막기 위한 장치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별관 대강당에서 열린 고위공직자 워크숍에서 "돈을 받아먹었다든지 권력을 폭력적으로 남용해 질서를 어지럽혔다면 모르겠지만, 정상적 행정에 형사사법의 잣대를 들이대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남용 기준이 뭐냐. 부하가 하기 싫었는데 하면 남용이고, 흔쾌히 하고 싶어서 했으면 무죄냐. 이게 말이 되느냐. 불안해서 지시를 어떻게 하느냐"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사후적으로 평가해서 책임을 물으면 인간에게 신의 능력을 요구하는 것 아니냐"며 "정책 감사도 악용의 소지가 너무 크기 때문에 폐지하는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문제의 근본 원인에 대해 "제일 큰 책임은 정치의 상실에 있다"며 "서로 제거하려고 하고 편이 갈려서 '잘해도 적, 못해도 내 편'이 돼 버렸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이날 워크숍은 새 정부의 비전에 대한 공직사회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김민석 국무총리를 포함해 중앙부처 장·차관과 실장급 이상 공직자 및 대통령실 비서관 등 28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국민주권 정부 국정운영 방향과 고위공직자의 자세'란 주제로 약 1시간 6분간 특강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별관 대강당에서 열린 고위공직자 워크숍에서 "돈을 받아먹었다든지 권력을 폭력적으로 남용해 질서를 어지럽혔다면 모르겠지만, 정상적 행정에 형사사법의 잣대를 들이대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남용 기준이 뭐냐. 부하가 하기 싫었는데 하면 남용이고, 흔쾌히 하고 싶어서 했으면 무죄냐. 이게 말이 되느냐. 불안해서 지시를 어떻게 하느냐"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사후적으로 평가해서 책임을 물으면 인간에게 신의 능력을 요구하는 것 아니냐"며 "정책 감사도 악용의 소지가 너무 크기 때문에 폐지하는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문제의 근본 원인에 대해 "제일 큰 책임은 정치의 상실에 있다"며 "서로 제거하려고 하고 편이 갈려서 '잘해도 적, 못해도 내 편'이 돼 버렸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이날 워크숍은 새 정부의 비전에 대한 공직사회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김민석 국무총리를 포함해 중앙부처 장·차관과 실장급 이상 공직자 및 대통령실 비서관 등 28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국민주권 정부 국정운영 방향과 고위공직자의 자세'란 주제로 약 1시간 6분간 특강했습니다.
-
-
김세정 기자 mabelle@kbs.co.kr
김세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재명 정부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