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쓰레기로 뒤덮인 지구…1950년보다 생산 200배 증가
입력 2025.08.04 (16:40)
수정 2025.08.04 (16: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썩지도 않고, 재활용되지도 않은 채 지구를 뒤덮은 것은 1950년 이후 생산량 자체가 200배 넘게 불어났기 때문이라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 의학 저널 랜싯은 현지 시각 3일 '건강과 플라스틱에 대한 카운트다운'에 돌입한다고 선언하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1950년 플라스틱 생산량은 2메가톤(Mt)에서 2022년 475Mt로 200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러한 추세에서는 2060년이 되면 플라스틱 생산량이 1,200Mt에 달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도 급증하면서 현재 8,000Mt이 지구를 뒤덮은 채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에 반해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10%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플라스틱은 또한 인체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는 반면 위험 요소로는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질병과 사망을 유발해 매년 1조 5,000억 달러(약 2,076조 원) 가 넘는 건강 관련 손실을 부르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이러한 영향은 저소득층, 위기 계층에 불균형적으로 집중된다"고도 꼬집었습니다.
이에 따라 랜싯은 이날부터 독립적이고, 지표에 기반한 국제 모니터링 체계를 출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플라스틱 노출을 줄이고, 인간과 지구 건강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진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지리적, 시간적 대표성을 갖춘 지표를 식별하고 추적하며 정기적으로 보고할 것"이라고 랜싯은 설명했습니다.
이 카운트다운은 또한 국제 사회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는 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협상을 이어가는 와중에 나온 것이기도 합니다.
앞서 2022년 3월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는 플라스틱 오염 대응 협약을 위해 국제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번에 제네바에서 관련 회의가 속개됩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 의학 저널 랜싯은 현지 시각 3일 '건강과 플라스틱에 대한 카운트다운'에 돌입한다고 선언하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1950년 플라스틱 생산량은 2메가톤(Mt)에서 2022년 475Mt로 200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러한 추세에서는 2060년이 되면 플라스틱 생산량이 1,200Mt에 달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도 급증하면서 현재 8,000Mt이 지구를 뒤덮은 채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에 반해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10%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플라스틱은 또한 인체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는 반면 위험 요소로는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질병과 사망을 유발해 매년 1조 5,000억 달러(약 2,076조 원) 가 넘는 건강 관련 손실을 부르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이러한 영향은 저소득층, 위기 계층에 불균형적으로 집중된다"고도 꼬집었습니다.
이에 따라 랜싯은 이날부터 독립적이고, 지표에 기반한 국제 모니터링 체계를 출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플라스틱 노출을 줄이고, 인간과 지구 건강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진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지리적, 시간적 대표성을 갖춘 지표를 식별하고 추적하며 정기적으로 보고할 것"이라고 랜싯은 설명했습니다.
이 카운트다운은 또한 국제 사회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는 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협상을 이어가는 와중에 나온 것이기도 합니다.
앞서 2022년 3월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는 플라스틱 오염 대응 협약을 위해 국제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번에 제네바에서 관련 회의가 속개됩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플라스틱 쓰레기로 뒤덮인 지구…1950년보다 생산 200배 증가
-
- 입력 2025-08-04 16:40:02
- 수정2025-08-04 16:42:18

플라스틱 쓰레기가 썩지도 않고, 재활용되지도 않은 채 지구를 뒤덮은 것은 1950년 이후 생산량 자체가 200배 넘게 불어났기 때문이라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 의학 저널 랜싯은 현지 시각 3일 '건강과 플라스틱에 대한 카운트다운'에 돌입한다고 선언하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1950년 플라스틱 생산량은 2메가톤(Mt)에서 2022년 475Mt로 200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러한 추세에서는 2060년이 되면 플라스틱 생산량이 1,200Mt에 달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도 급증하면서 현재 8,000Mt이 지구를 뒤덮은 채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에 반해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10%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플라스틱은 또한 인체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는 반면 위험 요소로는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질병과 사망을 유발해 매년 1조 5,000억 달러(약 2,076조 원) 가 넘는 건강 관련 손실을 부르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이러한 영향은 저소득층, 위기 계층에 불균형적으로 집중된다"고도 꼬집었습니다.
이에 따라 랜싯은 이날부터 독립적이고, 지표에 기반한 국제 모니터링 체계를 출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플라스틱 노출을 줄이고, 인간과 지구 건강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진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지리적, 시간적 대표성을 갖춘 지표를 식별하고 추적하며 정기적으로 보고할 것"이라고 랜싯은 설명했습니다.
이 카운트다운은 또한 국제 사회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는 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협상을 이어가는 와중에 나온 것이기도 합니다.
앞서 2022년 3월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는 플라스틱 오염 대응 협약을 위해 국제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번에 제네바에서 관련 회의가 속개됩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 의학 저널 랜싯은 현지 시각 3일 '건강과 플라스틱에 대한 카운트다운'에 돌입한다고 선언하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1950년 플라스틱 생산량은 2메가톤(Mt)에서 2022년 475Mt로 200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러한 추세에서는 2060년이 되면 플라스틱 생산량이 1,200Mt에 달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도 급증하면서 현재 8,000Mt이 지구를 뒤덮은 채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에 반해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10%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플라스틱은 또한 인체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는 반면 위험 요소로는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질병과 사망을 유발해 매년 1조 5,000억 달러(약 2,076조 원) 가 넘는 건강 관련 손실을 부르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이러한 영향은 저소득층, 위기 계층에 불균형적으로 집중된다"고도 꼬집었습니다.
이에 따라 랜싯은 이날부터 독립적이고, 지표에 기반한 국제 모니터링 체계를 출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플라스틱 노출을 줄이고, 인간과 지구 건강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진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지리적, 시간적 대표성을 갖춘 지표를 식별하고 추적하며 정기적으로 보고할 것"이라고 랜싯은 설명했습니다.
이 카운트다운은 또한 국제 사회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는 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협상을 이어가는 와중에 나온 것이기도 합니다.
앞서 2022년 3월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는 플라스틱 오염 대응 협약을 위해 국제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번에 제네바에서 관련 회의가 속개됩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