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직관리 “미국이 핵 가진 북 용인할 가능성 배제 안 해”

입력 2025.08.06 (06:53) 수정 2025.08.06 (07: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르면 이달 중 열릴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핵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의 한 전직 고위 외교 당국자는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를 억제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며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용인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습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국무부 군축 및 국제안보 차관을 맡았던 로버트 조지프는 현지시간 5일 공개된 워싱턴타임즈재단 주최 한반도 안보 관련 온라인 세미나에서 이 같은 견해를 밝혔습니다.

북한이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을 중단할 의향이 없다는 판단을 밝힌 조지프 전 차관은 “미국이 (북한 비핵화를 포기하는 쪽으로) 굴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핵무장한 북한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고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주장의 근거에 대해 조지프 전 차관은 “그들이 (핵탄두) 200기를 보유하건, 400기를 보유하건 간에 우리는 10배 많이 보유하고 있어 북한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조지프 전 차관은 다만 실제로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하자는 논의가 정부 안에서 이뤄지는 것을 본 적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란 핵문제의 경우 미 국방부의 일부 인사가 핵무장한 이란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이 지난달 29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를 통해 북미 정상 관계가 나쁘지 않다면서도 비핵화 협상엔 선을 그은 가운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비핵화 목표에서 사실상 물러설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이었습니다.

존 델러리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외교에서 비핵화 진전보다는 북한의 대러시아 군사지원 중단과 핵무기 동결을 실질적 목표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델러리 교수는 또 미국이 미중 사이에서의 ‘택일’을 한국에 과도하게 요구할 경우 결과적으로 한국이 중국 쪽으로 경도되는 결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전직관리 “미국이 핵 가진 북 용인할 가능성 배제 안 해”
    • 입력 2025-08-06 06:53:00
    • 수정2025-08-06 07:03:52
    국제
이르면 이달 중 열릴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핵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의 한 전직 고위 외교 당국자는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를 억제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며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용인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습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국무부 군축 및 국제안보 차관을 맡았던 로버트 조지프는 현지시간 5일 공개된 워싱턴타임즈재단 주최 한반도 안보 관련 온라인 세미나에서 이 같은 견해를 밝혔습니다.

북한이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을 중단할 의향이 없다는 판단을 밝힌 조지프 전 차관은 “미국이 (북한 비핵화를 포기하는 쪽으로) 굴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핵무장한 북한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고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주장의 근거에 대해 조지프 전 차관은 “그들이 (핵탄두) 200기를 보유하건, 400기를 보유하건 간에 우리는 10배 많이 보유하고 있어 북한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조지프 전 차관은 다만 실제로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하자는 논의가 정부 안에서 이뤄지는 것을 본 적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란 핵문제의 경우 미 국방부의 일부 인사가 핵무장한 이란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이 지난달 29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를 통해 북미 정상 관계가 나쁘지 않다면서도 비핵화 협상엔 선을 그은 가운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비핵화 목표에서 사실상 물러설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이었습니다.

존 델러리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외교에서 비핵화 진전보다는 북한의 대러시아 군사지원 중단과 핵무기 동결을 실질적 목표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델러리 교수는 또 미국이 미중 사이에서의 ‘택일’을 한국에 과도하게 요구할 경우 결과적으로 한국이 중국 쪽으로 경도되는 결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