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자포리자 원전 부근서 연기…“방사선 증가 없어”

입력 2025.08.13 (05:14) 수정 2025.08.13 (05: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지시각 12일 우크라이나 남부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의 화물 항구 근처에서 연기가 관찰됐습니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부는 성명에서 "정확한 화재 위치와 피해 규모를 파악 중"이라며 "화물항은 원전의 보호 구역 외부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부는 "이는 유럽 최대 규모 원전을 러시아가 점거한 상황이 제기하는 위협을 재차 환기하는 사건"이라며 "원전 부지에서 어떤 도발이나 군사행동도 유럽 대륙 전체에 예측불가능한 파국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냉각탑 근처에서 불이 났다는 소식이 있고 난 뒤 원전에 있는 IAEA 직원들이 발전소 관리 건물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IAEA는 방사선 수치 증가나 안전 영향, 사상자 등이 없다는 사실을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이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가 임명한 자포리자 수장 예브게니 발리츠키는 우크라이나군이 원전 인근 지역을 포격하려고 했으며, 이 때문에 마른 풀밭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시설 주변에 연기가 난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발리츠키는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자포리자 원전에는 아무런 위험이 없다"며 원전과 인근 에네르고다르 마을의 방사선 수치가 정상 수준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해 8월 11일에도 자포리자 원전 냉각탑에서 화재가 난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공격용 무인기(드론)를 원인으로 지목했고,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방화 자작극이라고 주장하는 등 서로 책임을 떠넘겼습니다.

유럽 최대의 원자력발전소인 자포리자 원전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2월 이후 러시아가 점령 중입니다.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러시아, 동유럽으로까지 전력을 공급하던 자포리자 원전은 현재는 안전 문제로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러시아군 점령 이후 자포리자 원전에는 IAEA 전문가팀이 상주하며 원전 안전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크라 자포리자 원전 부근서 연기…“방사선 증가 없어”
    • 입력 2025-08-13 05:14:02
    • 수정2025-08-13 05:16:43
    국제
현지시각 12일 우크라이나 남부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의 화물 항구 근처에서 연기가 관찰됐습니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부는 성명에서 "정확한 화재 위치와 피해 규모를 파악 중"이라며 "화물항은 원전의 보호 구역 외부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부는 "이는 유럽 최대 규모 원전을 러시아가 점거한 상황이 제기하는 위협을 재차 환기하는 사건"이라며 "원전 부지에서 어떤 도발이나 군사행동도 유럽 대륙 전체에 예측불가능한 파국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냉각탑 근처에서 불이 났다는 소식이 있고 난 뒤 원전에 있는 IAEA 직원들이 발전소 관리 건물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IAEA는 방사선 수치 증가나 안전 영향, 사상자 등이 없다는 사실을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이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가 임명한 자포리자 수장 예브게니 발리츠키는 우크라이나군이 원전 인근 지역을 포격하려고 했으며, 이 때문에 마른 풀밭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시설 주변에 연기가 난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발리츠키는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자포리자 원전에는 아무런 위험이 없다"며 원전과 인근 에네르고다르 마을의 방사선 수치가 정상 수준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해 8월 11일에도 자포리자 원전 냉각탑에서 화재가 난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공격용 무인기(드론)를 원인으로 지목했고,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방화 자작극이라고 주장하는 등 서로 책임을 떠넘겼습니다.

유럽 최대의 원자력발전소인 자포리자 원전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2월 이후 러시아가 점령 중입니다.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러시아, 동유럽으로까지 전력을 공급하던 자포리자 원전은 현재는 안전 문제로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러시아군 점령 이후 자포리자 원전에는 IAEA 전문가팀이 상주하며 원전 안전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