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다음주 반도체 관세 설정…미국서 생산 안 하면 높은 관세”
입력 2025.08.15 (22:54)
수정 2025.08.15 (22: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 "반도체(관세)는 다음 주 중 어느 시점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미·러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 내에서 기자들을 만나 "나는 아직 관세는 설정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 설정 시점을 언급하기 직전 "나는 다음주와 그 다음주에 철강과 반도체에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철강은 이미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품목입니다.
철강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는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관세로,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부과하는 것입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미국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 적절한 조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으며, 미 상무부는 이미 반도체에 대한 국가안보 위협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지난달 27일 이 법 조항에 근거한 반도체 관세를 "2주 후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반도체 관세 언급은 자신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활황이며, 푸틴 대통령이 이에 관심을 보이며 경제 협력을 원한다고 말하면서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많은 경제 참모들을 데리고 왔다며 회담에서 경제 문제를 논의할 것인지를 묻자 "우리가 (회담에서) 진전을 이룬다면 논의할 것"이라며 "왜냐하면 그게 그들(러시아)이 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푸틴은 1년 전 (전임 대통령) 바이든의 경제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트럼프 경제에는 관심이 있다"면서 자동차, 인공지능(AI) 공장 등 수백 개의 공장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으로 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율에 대해서도 "(미국에) 들어와 (공장을) 짓는 기회를 주기 위해 초기에는 낮을 것"이라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매우 높아질 것이며, 이곳에 짓지 않는다면 매우 높은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미·러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 내에서 기자들을 만나 "나는 아직 관세는 설정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 설정 시점을 언급하기 직전 "나는 다음주와 그 다음주에 철강과 반도체에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철강은 이미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품목입니다.
철강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는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관세로,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부과하는 것입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미국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 적절한 조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으며, 미 상무부는 이미 반도체에 대한 국가안보 위협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지난달 27일 이 법 조항에 근거한 반도체 관세를 "2주 후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반도체 관세 언급은 자신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활황이며, 푸틴 대통령이 이에 관심을 보이며 경제 협력을 원한다고 말하면서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많은 경제 참모들을 데리고 왔다며 회담에서 경제 문제를 논의할 것인지를 묻자 "우리가 (회담에서) 진전을 이룬다면 논의할 것"이라며 "왜냐하면 그게 그들(러시아)이 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푸틴은 1년 전 (전임 대통령) 바이든의 경제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트럼프 경제에는 관심이 있다"면서 자동차, 인공지능(AI) 공장 등 수백 개의 공장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으로 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율에 대해서도 "(미국에) 들어와 (공장을) 짓는 기회를 주기 위해 초기에는 낮을 것"이라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매우 높아질 것이며, 이곳에 짓지 않는다면 매우 높은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다음주 반도체 관세 설정…미국서 생산 안 하면 높은 관세”
-
- 입력 2025-08-15 22:54:16
- 수정2025-08-15 22:55:1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 "반도체(관세)는 다음 주 중 어느 시점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미·러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 내에서 기자들을 만나 "나는 아직 관세는 설정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 설정 시점을 언급하기 직전 "나는 다음주와 그 다음주에 철강과 반도체에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철강은 이미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품목입니다.
철강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는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관세로,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부과하는 것입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미국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 적절한 조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으며, 미 상무부는 이미 반도체에 대한 국가안보 위협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지난달 27일 이 법 조항에 근거한 반도체 관세를 "2주 후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반도체 관세 언급은 자신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활황이며, 푸틴 대통령이 이에 관심을 보이며 경제 협력을 원한다고 말하면서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많은 경제 참모들을 데리고 왔다며 회담에서 경제 문제를 논의할 것인지를 묻자 "우리가 (회담에서) 진전을 이룬다면 논의할 것"이라며 "왜냐하면 그게 그들(러시아)이 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푸틴은 1년 전 (전임 대통령) 바이든의 경제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트럼프 경제에는 관심이 있다"면서 자동차, 인공지능(AI) 공장 등 수백 개의 공장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으로 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율에 대해서도 "(미국에) 들어와 (공장을) 짓는 기회를 주기 위해 초기에는 낮을 것"이라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매우 높아질 것이며, 이곳에 짓지 않는다면 매우 높은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미·러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 내에서 기자들을 만나 "나는 아직 관세는 설정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 설정 시점을 언급하기 직전 "나는 다음주와 그 다음주에 철강과 반도체에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철강은 이미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품목입니다.
철강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는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관세로,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부과하는 것입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미국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 적절한 조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으며, 미 상무부는 이미 반도체에 대한 국가안보 위협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지난달 27일 이 법 조항에 근거한 반도체 관세를 "2주 후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반도체 관세 언급은 자신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활황이며, 푸틴 대통령이 이에 관심을 보이며 경제 협력을 원한다고 말하면서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많은 경제 참모들을 데리고 왔다며 회담에서 경제 문제를 논의할 것인지를 묻자 "우리가 (회담에서) 진전을 이룬다면 논의할 것"이라며 "왜냐하면 그게 그들(러시아)이 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푸틴은 1년 전 (전임 대통령) 바이든의 경제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트럼프 경제에는 관심이 있다"면서 자동차, 인공지능(AI) 공장 등 수백 개의 공장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으로 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율에 대해서도 "(미국에) 들어와 (공장을) 짓는 기회를 주기 위해 초기에는 낮을 것"이라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매우 높아질 것이며, 이곳에 짓지 않는다면 매우 높은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윤진 기자 jin@kbs.co.kr
윤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