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노근리 양민 학살 허용 서한 검토 시인

입력 2007.04.14 (08:07)

<앵커 멘트>

미군 당국이 지난 2001년 노근리 사건 진상조사 때 피난민에 대한 총격을 허용하는 내용의 무초 대사 서신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그 사실을 숨겨왔다고 AP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워싱턴에서 민경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군 당국은 한국전 당시 방어선에 접근하는 피난민들을 향해 총격을 허용하는 내용이 담긴 당시 무초 대사 서신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고 AP 통신이 전했습니다.

그러나 미군은 6년전 노근리 총격사건 진상조사 당시 이같은 사실을 밝히지 않았고 노근리 총격사건이 고의적인 게 아닌 것으로 발표한 바 있습니다.

무초 대사 서신의 존재는 하버드 대학의 역사학자 사 콘웨이 란쯔 씨가 쓴 "병립적 피해"라는 책을 통해 지난해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지난 2001년 진상조사 이후 미군은 줄곧 무초 대사 서신의 존재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취해왔지만 최근 이메일을 통해 입장을 바꿨다고 AP는 전했습니다.

즉, 무초 대사의 서신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피난민에 대한 총격 허용이 승인된 정책이 아니고 다만 제안이었기 때문에 특별한 신경을 쓰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같은 주장에 대해 역사학자들은 피난민에 대한 총격 허용이 한미 고위층 사이에서 합의된 결정이라고 서신에 명시된 만큼 책임을 면하기 위한 변명에 불과하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지난 1999년 노근리 학살사건 보도 이후 한국에서는 60여건의 양민학살 주장이 제기됐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비밀이 해제된 문서와 각종 증언 등을 통해 사실로 입증되고 있다고 AP는 전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민경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