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도대체 어떤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길래 원전이 이런 비리 백화점이 된 걸까요?
원전 사업자인 한국 수력원자력의 퇴직자 열 명 가운데 세 명이 퇴직한 뒤에 원전관련 업체에 재취업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비리를 부른 또 다른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계속해서 양성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원전 설비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이 업체는 직원 수가 20여 명에 불과합니다.
이 작은 회사에도 한국수력원자력의 고위직 출신 퇴직자가 근무중입니다.
물론 명분은 있습니다.
<녹취> 한수원(간부 출신 직원) : "사고 나서 문제 생기면 우리가 밤에도 뛰어가서 해줘요. 업무의 흐름이나 절차에 대해서 맥을 확확 짚을 수 있는 능력들이 다 있는 거 아니예요?"
문제는 부작용입니다.
업체들에게 한수원은 일감을 주는 유일한 원청업체기 때문입니다.
업체들은 한수원 퇴직자에게 일자리를 주고, 이들은 일감을 가져오는 공생관계가 형성됐다는 겁니다.
<인터뷰> 서균열(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 "이런 분들을 영입하지 못했거나 안 한 기업들은 특히 영세기업들은 원자력산업이라고 하는 울타리에 들어오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장벽이 높은 것이지요."
결국 지난 10년간 원전 관련 업체에 재취업한 한수원 퇴직자는 10명 중 3명꼴로 원전 설계부터 전 업체가 망라돼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한수원은 지난해 5월부터 퇴임 임직원의 관련업체 취업을 3년간 제한하는 규정을 마련했지만 한전kps 등 한국전력 계열사들에 대해서는 예외 조항을 뒀습니다.
이번 사건과 관련된 한전기술도 바로 이 예외 계열사에 속합니다.
전문기술 활용도 중요하지만 잘못된 공생관계는 비리의 온상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이번 사건의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