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미국에 관세 유예 요구 않을 것”…50% 맞대응 ‘전운’

입력 2025.07.16 (07:30)

수정 2025.07.16 (07:35)

KBS 뉴스 이미지
브라질 정부가 자국산 제품에 50% 관세 부과를 예고한 미국 정부와 협상을 통한 무역 긴장 완화 의향을 밝히면서도 미국 측에 관세 개시일을 늦춰 달라는 요구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습니다.

제라우두 아우키밍 브라질 부통령 겸 산업통상부 장관은 현지 시각 15일 브라질경제인협회를 비롯한 업계 대표들과 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업체들은 관세 시행 날짜를 최대 90일 미루는 방향으로 미국과 협상해 줄 것을 우리에게 요청했다”며 “이는 관세 인상 준비를 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업계 의견”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관세 인상 철회 협상을 최우선 순위 과제로 삼되, 미국이 예고한 (관세 시행) 시점이 너무 가까운 점에 대해서도 어필해 줄 것을 업계에서 바라고 있다”며 “다만, 우리 정부는 미국에 관세 개시일을 늦춰 달라는 요구를 하지 않을 계획이며, 오는 31일까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선제공격에 물러서지 않겠다’는 룰라 정부의 의지를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룰라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에 대한 50%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하자 경제호혜주의법에 따른 맞불 관세를 브라질의 대응 수단 중 하나로 일찌감치 공언한 바 있습니다.

룰라는 지난 14일 관련 대통령령 서명을 통해 미국이 실제로 50%의 ‘관세 폭탄’을 던질 경우 브라질 역시 같은 비율의 관세 부과로 응수할 수 있다는 법적 수단을 확보해 놨습니다.

현지 언론들은 브라질 업계가 정부의 즉각적인 맞불 관세 가능성에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전달하면서도 정책 방향성에 이해를 구하는 정부에 큰 틀에서 동조하며 협력하겠다는 의견을 표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브라질 소고기 수출업체들은 이미 생산량 조정에 착수했다고 G1은 보도했습니다.

이들 업체는 주로 미국 식품 가공 업체에서 원하는 물량을 공급하고 있는데, 이미 8월 상반기까지 생산량을 비축해 놓은 상태에서 추가 도축을 중단한 상태라고 합니다.

마투그로수두술주(州) 육류가공산업연합회(Sincadems)는 G1에 “미국 시장에 수출될 제품의 비축량 초과 사태를 막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미국과의 합의가 어려워질 경우 중국을 비롯한 다른 수출처로 물량을 돌릴 준비를 하고 있다”고 역설했습니다.

브라질은 약 2억 마리의 소를 사육하는, 세계 최대 소고기 수출국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