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했던 해수부 노조가 '해양수도 부산' 건설을 위한 동반자를 자청했습니다.
부산시는 해수부 노조를 만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거듭 약속했고, 해수부 노조는 "부·울·경 성장의 엔진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통령 지시로 시작된 연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해수부 직원들은 혼돈 속 냉담한 반응을 보였지만 이제, 기류가 '찬성' 쪽으로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해수부 위상 강화를 위한 절호의 기회라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입니다.
또 이 대통령이 해수부 직원들의 희생에 충분한 보상을 약속한 것도 한몫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부산 타운홀미팅/지난 25일 :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억울하지 않게 필요한 대책들을 충분하게 수립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해수부 양대 노조가 부산시와 처음으로 회동했습니다.
부산시는 1차 공공기관이 이전했을 당시 그 이상의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의 정주율도 80%가 넘고 만족도도 거의 80% 내외가 되고 있습니다."]
해수부 노조는 "해수부 이전은 국정 과제이고 부산·울산·경남의 새로운 성장 엔진을 장착하는 것"이라고 화답했습니다.
[윤병철/국가공무원노조 해수부지부 위원장 : "연내 부산으로 이전하면 최대한 빨리 부산에 이전한 날, 바로 업무에 최선의 집중을 할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과도 만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이전 기관 환대 특별위원회는 해수부 노조와의 간담회에서,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도 해수부 노조와 현안 간담회를 열고 부산 이주와 정착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점검했습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장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