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계엄해제 방해’ 관련 조경태·김예지 의원 참고인 조사

입력 2025.08.11 (10:05)

수정 2025.08.11 (10:11)

KBS 뉴스 이미지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과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벌입니다.

내란 특검팀은 오늘(11일) 오전 8시쯤부터 조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 의원은 특검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고검에 출석하면서 “아직도 내란은 끝나지 않았다, 이렇게 보고 있다”며 “당내에 내란 동조 세력이 존재한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세력들은 빨리 우리 당을 떠나주길 바라고, 만약에 그렇지 않다면 당 대표가 되어서 이들을 몰아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저는 헌법기관의 일원으로서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며 “이와 관련해 그날 새벽 경험했던 내용에 대해 소상히 말씀드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회 계엄 해제 표결 당일 국민의힘 지도부에서 어떻게 상황을 전달했는지를 묻자 “주로 단체 대화방을 통해서 (이뤄졌고) 대화가 엉켰던 것 같다”며 “혼선을 빚어진 것은 틀림이 없고, 저는 바로 국회로 들어갔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의원은 비상계엄 선포 이튿날인 지난해 12월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 참여한 당시 국민의힘 의원 18명 중 한 명입니다.

계엄 선포 직후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비상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변경한 후, 다시 소집 장소를 국회로 공지하고 한 차례 더 여의도 당사로 변경한 바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은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고, 국회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석 190명·찬성 190명으로 가결됐습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약 1시간 뒤 추 전 원내대표와 나경원 의원과 통화한 기록을 확보했는데, 추 전 원내대표가 윤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의총 소집 장소를 여러 번 변경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특검팀은 상당수 국민의힘 의원이 계엄 해제 표결에 참석하지 못한 배경에 윤석열 전 대통령과 추 전 원내대표 등이 관여돼 있는 것은 아닌지 수사하고 있습니다.

특검팀은 오늘 오후 2시부터는 조 의원과 마찬가지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 가운데 한 명인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입니다.

특검팀은 앞서 김상욱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우원식 국회의장 등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면서 계엄 당일 국회 표결 전후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특검팀은 추후 추 전 원내대표 등을 소환해 관련 의혹을 캐물을 것으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